$\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약재 70종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4종의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를 조사한 결과 모든 공시균주에 대하여 항균성을 나타내는 한약재는 황련, 소목, 오배자, 대황단삼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낸 오배자와 황련을 물, 에탄올, 메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항균성을 조사한 결과 황련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한 항균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황련의 항균성은 berberine에 의한 것으로 가정하고 열수 추출물 중 berberine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13.88%로 조사되었다. Berberine에 의한 항균성과 다른 항생제와의 항균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berberine chloride와 3종의 항생제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600 mg/l 이상의 berberine chloride 농도에서 KCCM 35494 S. epidermidis에 대한 항균성만 나타내었으며 다른 공시균주에 대한 항균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 사용한 공시균주에 대한 C. japonica 열수 추출물의 항균성은 고 농도의 berberine 또는 다른 물질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으며 이 물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70 kinds of oriental medicinal herbs on four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 epidermidi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C. japonica, C. sappan, R. javanica, R. tanguticum, and S. miltiorrhiza had an antibacterial activity on a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를 사용하여 피부 염증에 관여하는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S. aureus를 대상으로 항균 활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피부 염증 유발 세균에 대한 한약재의 항균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의학 중 본초학을 바탕으로 문헌 조사를 진행하여 한약재를 선발하였다. 한약재의 구입은 대구시 수성구 상동 소재 대원약업사에서 생약제제로 포장되어 판매하는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를 위한 추출물을 제조할 때 마다 구입하여 사용하였다(Tabl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사용되는 여드름의 약물치료의 방법은? 여드름의 약물치료는 피지 과잉생산 억제, 모낭벽의 과각화 방지, P. acnes의 증식억제 및 염증반응의 방지 측면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는 여드름이 있는 부위에 직접 발라주는 국소 요법제와 내복약을 통한 전신 요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erythromycin, isotretinoin, benzoyl peroxide, vitamin A acid, triclosan 및 azelaic acid 등의 약물은 많은 부작용과 내성균주의 출현 등의 문제점이 보고되고 있다[10,21].
피부 상재균 중 피부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세균의 종류는? 본 연구자들도 한약재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분야 중에서 피부 질환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염증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 상재균 중 피부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세균으로는 Staphylococcus epidermidis, S. aureus, Streptococcus pyogenes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특히 피부 여드름 유발 원인세균으로는 Propionibacterium acnes가 알려져 있다. 여드름의 약물치료는 피지 과잉생산 억제, 모낭벽의 과각화 방지, P.
한방 생약기술 및 다양한 약용 한방자원의 사용을 바탕으로 천연물 유래의 예방, 완화 및 치료제 개발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기존 피부약의 문제점은? acnes의 증식억제 및 염증반응의 방지 측면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는 여드름이 있는 부위에 직접 발라주는 국소 요법제와 내복약을 통한 전신 요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erythromycin, isotretinoin, benzoyl peroxide, vitamin A acid, triclosan 및 azelaic acid 등의 약물은 많은 부작용과 내성균주의 출현 등의 문제점이 보고되고 있다[10,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kri, I. M. and C. W. I. Douglas. 2005. Inhibitory effect of garlic extract on oral bacteria. Arch. Oral. Biol. 50, 645-651. 

  2. Cho, C. H., G. Y. Yoo, S. Y. Kim, G. S. Lee, J. H. Kim, J. O. H, and H. J. Chae. 2009. Antimicrobial activity and cell cytotoxicity of Korean Plum-yem extract. J. Appl. Biol. Chem. 52, 45-50. 

  3. Choi, H. Y.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Paeonia japonica extract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 effects in Sulgidduk.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35-444. 

  4. Choi, H. S., J. S. Kim, D. S. Jang, Y. B. Yu, Y. C. Kim, and J. S. Lee. 2005.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alla rhois extracts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J. Fish Pathol. 18, 239-245. 

  5. Didry, N, L. Dubreuil, F. Trotin, and M. Pinkas. 1998. Antimicrobial activity of aerial parks of Drosera peltata smith on oral bacteria. J. Ethnopharmacol. 60, 91-96. 

  6. Choi, I.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Rhus javanica extracts against animal husbandry disease related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Nutri. 32, 1214-1220. 

  7. Gendron, R., D. Grenier, and L. F. Maheu. 2000. The oral cavity as a reservoir of bacterial pathogens for focal infections. Microbes and Infection 2, 897-906. 

  8. Jang, G. H., B. Y. Ahn, S. H. Oh, D. S. Choi, and Y. J. Kown. 2000. Anticariogenic effects of Coptis chinensis franch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396-1402. 

  9. Kim, J. Y., Y. S. Yi, and Y. H. Lim. 2009. Biological and antifungal activity of herbal plant extracts against Candida specie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 42-48. 

  10. Kim, J. E., E. H. Kim, and S. N. Park. 2010. Antibacterial activity of Persicaria hydropiper extracts and its application of cosmetic material.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112-115. 

  11. Kim, K. D. and S. J. Kim. 2007.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effect of herbal extracts and it’s cosmetic application. J. Kor. Soc. Cosm. 13, 221-227. 

  12. Kim, S. H. 2010. Dyeing properties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Mulberry fiber/cotton blended fabrics with Inonotus obliquu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 472-479. 

  13. Kim, Y. H., J. Y. Peak, H. Y. Kown, J. W. Lee, O. H. Yoon, and M. D. Han. 2009.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thyl acetate extract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Korean J. Food & Nutr. 22, 367-376. 

  14. Koru, O, F. Toksoy, C. H. Acikel, Y. M. Tunca, M. Baysallar, A. U. Guclu, E. Akca, A. O. Tuylu, K. Sorkun, M. Tanyuksel, and B. Salih. 2007.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propolis samples from different geographical origins against certain oral pathogens. Anaerobe 13, 140-145. 

  15. Kwon, H. J., Y. H. Kim, K. W. Nam, S. K. Kim, I. S. Bang, and M. D. Han. 2010.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aesalpinia sappan L. extract and structural analysis of its related Brazilin.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105-111. 

  16. Lee, S. K., J. H. Park, and Y. T. Kim. 2009. A study on the antioxidation and antibicrobial effect of Megmoondong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water extracts. Korean J. Food & Nutr. 22, 279-285. 

  17. Lim, H. A. and S. I. Yun. 2009. Antimicrobial acticities of Capsella bursa-pastoris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6, 562-566. 

  18. Park, K. N., E. J. Jeong, and S. H. Lee. 2007. Antimicrobial activity of Turmeric(Curcuma aromatic Salab.) extracts against various pathogens and spoilage bacteria isolated from Tofu. Korean J. Food. Preserv. 14, 207-212. 

  19. Ryu, H. Y., S. M. Ahn, J. S. Kim, I. C. Jung, and H. Y. Sohn. 2010. Antimicrobial activity of fruit of Crataegus pinnatifide Bunge against multidrug resistant pathogenic Pseudomonas aeruginosa and Candida sp.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77-83. 

  20. Santos, F. A., E. M. A. Bastos, M. Uzeda, M. A. R. Carvalho, L. M. Farias, E. S. A. Moreira, and F. C. Braga. 2002. Antibacterial activity of Brazilian propolis and fractions against oral anaerobic bacteria. J. Ethnopharmacol. 80, 1-7. 

  21. Sohn, H. Y., Y. S. Kim, E. J. Kim, Y. S. Kwon, and K. H. Son. 2006. Screening of anti-acne activity of natural products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4, 265-272. 

  22. Song, J. H. 2009. Current status and future strategie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Korea. Kor. J. Med. 77, 143-151. 

  23. Yang, H. J., E. H. Kim, S. T. Kang, and S. N. Park. 2009. Antibacterial activity of Platycarya strobilacea extract and stability of the extract-containing cream.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 170-175. 

  24. Yu, Y. E., E. Y. Park, D. H. Jung, S. H. Byun, S. C. Kim, and S. M. Park. 2010.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dye for natural dyeing using natural substance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32-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