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부 상재균에 대한 니아울리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Niaouli (Melaleuca quinquenervia) Leaf Extracts against Skin Flora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0 no.3, 2014년, pp.313 - 320  

장하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박수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피부 상재균에 대한 니아울리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피부 상재균의 종류는 그람 양성균인 Bacillus subtilis (B.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와 그람 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E. coli) 및 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 효모균인 Plasmodium ovale (P. ovale)이다. 이들 피부 상재균에 대한 니아울리 잎추출물 또는 분획의 항균활성은 disc diffusion assay 및 broth dilution assay 측정법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피부 상재균인 B. subtilis, S. aureus, P. acnes, E. coli 및 P. aeruginosa에 대한 니아울리 잎 50%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성장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각각 0.25%, 0.50%, 1.00%, 0.13% 및 0.25%, 물 분획에서의 MIC는 0.25%, 0.25%, 4,00%, 0.25% 및 0.25%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P. ovale인 비듬균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비교 물질로 사용한 메틸 파라벤의 MIC는 각각 0.25%, 0.25%, 0.25%, 0.13% 및 0.50%를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상재균에 대한 최소사멸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는 5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각각 2.00%, 2.00%, 1.00%, 0.50% 및 2.00%였고, 물 분획에서는 0.50%, 0.25%, 4.00%, 0.50% 및 1.00%를 나타내었다. 비교 물질로 사용한 메틸 파라벤의 MBC는 각각 1.00%, 0.5%, 0.50%, 0.5% 및 1.00%로 추출물의 물 분획에서는 P. acnes를 제외한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50% 에탄올 추출물도 메틸 파라벤에 근접하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니아울리 잎 50% 에탄올 추출물/분획은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방부제로서 화장품에 응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niaouli leaf extracts was evaluated against skin flora. The skin flora used for experiments were three gram-positive bacteria such as Bacillus subtilis (B.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 and two gram-neg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추출 용매별 니아울리 잎의 분획별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들 추출물의 수율과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이 중 가장 우수한 추출 분획은 50% 에탄올 추출물과 물 분획임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니아울리 잎 추출물을 화장품의 소재로 이용할 목적으로, 항균활성이 높은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 분획 조건을 확립하였고 각각의 조건별 추출물에 대하여 추출 수율 및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니아울리 잎 추출물/분획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고, 니아울리 잎 추출물에 우수한 항균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니아울리 잎 추출물이 화장품 및 식품 산업에서 합성 방부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방부제로써 이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장품에 있어서 천연 항균제의 개발이 절실한 이유는 무엇인가? 화장품은 제품의 부적절한 방부 시스템 또는 사용 시에 오염된 세균의 작용으로 향취이상, 색상변화, 점도변화 및 곰팡이 번식 등의 제품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여 품질의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고 안질환 등 인체에 유해한 질병이 나타날 수도 있다[5]. 그러므로 과잉의 피부 상재균이나 기타 세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화장품의 제형 안정성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방부제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합성 방부제인 파라벤류(메틸 파라벤 등)는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고 안전성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인체에 무해하며 유해한 세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각종 세균으로부터 화장품의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천연 항균제(또는 방부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니아울리는 무엇인가? 니아울리(Niaouli, Melaleuca quinquenervia)는 4 - 12 m의 높이로 자라는 키 큰 나무이며 뉴칼레도니아 지역 또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동부 해안 등에서 자생한다[8,9]. 니아울리 추출물 관련 주 연구로는 니아울리 에션셜 오일에 있어서 Candida albicans (C.
니아울리 추출물 성분의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니아울리(Niaouli, Melaleuca quinquenervia)는 4 - 12 m의 높이로 자라는 키 큰 나무이며 뉴칼레도니아 지역 또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동부 해안 등에서 자생한다[8,9]. 니아울리 추출물 관련 주 연구로는 니아울리 에션셜 오일에 있어서 Candida albicans (C. albicans), E.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 typhimurium) 및 S. aureus 등에 대한 항균활성이 일부 보고되고 있다[10-14]. 그러나 니아울리 오일이 아닌 잎 추출물 또는 분획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이나 항산화 활성 및 성분 분석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 H. Choi, D. H. Won, J. P. Hwang, and S. N. Park, Antioxidative effect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Juncus effusus L.,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8(3), 275 (2012). 

  2. N. R. Jo, S. A. Park, J. H. Ha, S. H. Jeon, and S. N. Park, Cellular protective effec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resveratrol, Appl. Chem. Eng., 24(5), 483 (2013). 

  3. G. N. Lim, M. A. Park, and S. N. Park,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Sorbus commixta twig extracts,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28(4), 482 (2011). 

  4. E. H. Kim, J. E. Kim, and S. N. Park,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Persicaria hydropiper L.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5(4), 293 (2009). 

  5. H. J. Kim, J. Y. Bae, H. N. Jang, and S. N. Park, Comparative study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Glycyrrhiza uralensis and Glycyrrhiza glabra extracts with various countries of origin as natural antiseptic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3), 358 (2013). 

  6. H. G. Yang, H. J. Kim, H. S. Kim, and S. N. Park,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extract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0(3), 250 (2012). 

  7. S. Y. Kim, M. H. Lee, N. R. Jo, and S. N. Park, Antibaterial activity and skin moisturizing effect of Cedrela sinensis A. juss shoots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6(4), 315 (2010). 

  8. B. F. Ireland, D. B. Hibbert, R. J. Goldsack, J. C. Doran, and J. J. Brophy, Chemical variation in the leaf essential oil of Melaleuca quinquenervia (Cav.) S. T. Blake, Biochem. Syst. Ecol., 30(5), 457 (2002). 

  9. B. L. Trilles, I. Bombarda, S. Bouraima-Madjebi, P. Raharivelomanana, J. P. Bianchini, and E. M. Gaydou, Occurrence of various chemotypes in niaouli [Melaleuca quinquenervia (Cav.) S. T. Blake] essential oil from New Caledonia, Flavour Fragr. J., 21(4), 677 (2006). 

  10. C. W. Lin, C. W. Yu, S. C. Wu, and K. H. Yih, DPPH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phenolic contents and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of forty- two kinds of essential oils, J. Food Drug Anal., 17(5), 386 (2009). 

  11. M. Oussalah, S. Caillet, L. Saucier, and M. Lacroix, Antimicrobial effects of selected plant essential oils on the growth of a Pseudomonas putida strain isolated from meat, Meat Sci., 73(2), 236 (2006). 

  12. J. M. Wilkinson and H. M. A. Cavanagh,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Australian native plants, Phytotherapy Res., 19(7), 643 (2005). 

  13. K. A. Hammer, C. F. Carson, and T. V. Riley,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and other plant extracts, J. Appl. Microbiol., 86(6), 985 (1999). 

  14. J. R. Hood, J. M. Wilkinson, and H. M. A. Cavanagh, Evaluation of common antibacterial screening methods utilized in essential oil research, J. Essent. Oil Res., 15(6), 428 (2003). 

  15. F. A. Moharram, M. S. Marzouk, S. A. A. El-Toumy, A. A. E. Ahmed, and E. A. Aboutabl, Polyphenols of Melaleuca quinquenervia leaves - pharmacological studies of grandinin, Phytother. Res., 17(7), 767 (2003). 

  16. M. G. Soni, G. A. Burdock, S. L. Taylor, and N. A. Greenberg, Safety assessment of propyl paraben : a review of the published literature, Food Chem. Toxicol., 39(6), 513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