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산화 기능과 면역 억제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melatonin이 혈관 내피층에서는 어떤 기능을 갖는지 알기 위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 혈관기능과 관련된 혈관내피세포의 성장, 사멸, 이동에 melatonin은 특이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고, 백혈구의 혈관내피세포 부착과 백혈구 동종간의 응집에도 melatonin의 역할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melatonin은 PP2A를 통해 eNOS의 활성을 억제하여 산화질소의 양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혈관내피세포의 탈착이 유발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해보면, 혈액 내 고농도의 melatonin은 PP2A 및 eNOS의 활성을 변화시켜 혈관내피세포의 탈착을 상승시킴으로써 혈관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혈전 형성에 의한 병리적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a series of experiments to know whether melatonin, an anti-oxidative and immunosuppressive agen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ndothelial cells. It was revealed that melatonin had little or no effect on endothelial proliferation, cell death or migration. Additionally,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혈관계에서는 혈관 확장, 혈소판 응집 억제, 호중구의 부착 억제, 동맥경화의 발생 억제와 같은 기능을 갖고 있으며[4], eNOS에 의해 L-arginine으로부터 합성된다[15]. 따라서 melatonin이 이와 같이 중요한 산화질소의 생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Fig.
  • 혈관내피세포의 탈착을 야기하는 요인 중 하나는 산화질소 생산의 감소이다[23]. 따라서 일차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산화질소의 생산이 melatonin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는지 규명하였다[20]. 또한 melatonin이 병리적 기능 중의 하나인 혈관내피세포 탈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여, melatonin이 혈관의 병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및 역할을 본 논문을 통하여 보고한다.
  • 따라서 일차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산화질소의 생산이 melatonin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는지 규명하였다[20]. 또한 melatonin이 병리적 기능 중의 하나인 혈관내피세포 탈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여, melatonin이 혈관의 병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및 역할을 본 논문을 통하여 보고한다.
  • 또한 혈관내피세포가 혈관에서 탈착되어 내피하층이 드러나게 되면 내피하조직의 콜라겐, 기저막 등이 혈액에 노출되어 혈전이 형성될 수 있다[12]. 본 연구에서는 내피세포의 탈착을 세포수준에서 측정해보았다. 세포수준에서 측정한 탈착실험은 Ca2+와 Mg2+ 이온이 없는 PBS에 melatonin을 첨가한 후 세포를 30 분 동안 배양하여 탈착된 세포를 세어 평가하였다.
  • eNOS의 탈인산화는 protein phosphatases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Ser 1179와 Thr 497의 탈인산화에는 protein phosphatase 2A (PP2A)가 관여하며, Ser 116의 탈인산화에는 protein phosphatase 2B (PP2B)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앞의 실험에서 고농도의 melatonin이 eNOS의 인산화를 억제하며 동시에 혈관내피세포의 탈착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므로 protein phosphatases와 내피세포 탈착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을 위해 PP2A의 억제자인 okadaic acid와 PP2B의 억제자인 cyclosporin A를 사용하였고, 각 억제자들은 30분간 전처리한 후 1 mM의 melatonin을 처리하여 eNOS의 탈인산화와 내피세포의 탈착 정도를 측정하였다.
  • 이와 같은 가능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자들은 melatonin이 혈관내피세포의 동맥경화 발생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혈관내피세포의 세포기능들은 혈관내피세포의 성장과 세포사멸, 혈관의 상처를 치유하고 혈관 형성에 중요한 과정인 혈관내피세포의 이동, 죽상 동맥경화의 발달의 과정 중 하나인 혈관내피세포와 단핵구간의 부착, 혈관 상처 치유에 중요한 과정인 혈구세포의 응집 등이다.

가설 설정

  • Proteins of the lysed cells were resolved by SDS-PAGE, electrotransferred to PVDF membranes and immunoblotted with antibodies specific for caspase-3 (Cas-3) or actin. C. Confluent BAECs were incubated with none, 20% FBS or various concentrations of melatonin after synchronized with 2 mM thymidine for 24 hr. Then the cells were wounded with a scraper and additionally incubated for 24 hr.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elatonin 의 주기별 혈중 농도가 변하는 이유는? Melatonin (N-acetyl-5-methoxytryptamine)은 송과선(pineal gland)의 송과선세포(pinealocyte)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tryptophan 5–hydroxylase, serotonin N-acetyltransferase와 같은 효소가 관여하는 일련의 대사 과정을 통해 L-tryptophan으로부터 합성된다[24]. Melatonin의 합성은 빛에 의해 저해되기 때문에 밤낮을 주기로 혈중 melatonin의 농도가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혈중 melatonin의 농도가 상승하면, 체온은 떨어지며 수면을 유도하게 되는데[19], 이와 같이 melatonin은 주기적 농도 변화를 통하여 생물학적인 리듬을 조절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1].
Melatonin 이란? Melatonin (N-acetyl-5-methoxytryptamine)은 송과선(pineal gland)의 송과선세포(pinealocyte)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tryptophan 5–hydroxylase, serotonin N-acetyltransferase와 같은 효소가 관여하는 일련의 대사 과정을 통해 L-tryptophan으로부터 합성된다[24]. Melatonin의 합성은 빛에 의해 저해되기 때문에 밤낮을 주기로 혈중 melatonin의 농도가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N-acetyl-5-methoxytryptamine이 세포 내 소기관을 쉽게 통과하여 라디칼에 직접 작용할 수 있는 이유는? 이 경우 melatonin은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진시키거나, 산화촉진효소의 활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효과적인 항산화 기능을 수행한다[11]. Melatonin은 비극성인 친지질성 분자이기 때문에 세포막뿐만 아니라 세포 내 소기관의 막도 쉽게 통과할 수 있어 세포막에 존재하는 수용체에 작용하거나 세포 내의 다양한 장소에 위치하는 라디칼에도 직접 작용하기도 한다. Melatonin의 또 다른 역할은 다양한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촉진시킴으로써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tun, A. and B. Ugur-Altun. 2007. Melatonin: therapeutic and clinical utilization. Int. J. Clin. Pract. 61, 835-845. 

  2. Carrillo-Vico, A., J. M. Guerrero, P. J. Lardone, and R. J. Reiter. 2005. A review of the multiple actions of melatonin on the immune system. Endocrine 27, 189-200. 

  3. Carrillo-Vico, A., R. J. Reiter, P. J. Lardon, J. L. Herrera, R. Fernandez-Montesinos, J. M. Guerrero, and D. Pozo. 2006. The modulatory role of melatonin on immune responsiveness. Curr. Opin. Investig. Drugs 7, 423-431. 

  4. Choi, S., J. Park, J. Kim, K. In, and H. Park. 2008.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 acts as an important regulator for vascular functions. J. Life Science 18, 701-707. 

  5. Galkina, E. and K. Ley. 2009. Immune and inflammatory mechanisms of atherosclerosis. Annu. Rev. Immunol. Rev. 27, 165-197. 

  6. Greif, D. M., R. Kou, and T. Michel. 2002. Site-specific dephosphorylation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by protein phosphatase 2A: evidence for crosstalk between phosphorylation sites. Biochemistry 41, 15845-15853. 

  7. Hardeland, R., S. R. Pandi-Perumal, and D. P. Cardinali. 2006. Melatonin. Int. J. Biochem. Cell Biol. 38, 313-316. 

  8. Holmen, C., E. Elsheikh, P. Stenvinke, A. R. Qureshi, E. Pettersson, S. Jalkanen, and S. Sumitran-Holgersson. 2005. Circulating inflammatory endothelial cells contribute to endothelial progenitor cell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vasculitis and kidney involvement. J. Am. Soc. Nephrol. 16, 3110-3120. 

  9. Ianas, O., R. Olinescu, and I. Badescu. 1991. Melatonin involvement in oxidative processes. Endocrinologie 29, 147-153. 

  10. Kaperonis, E. A., C. D. Liapis, J. D. Kakisis, D. Dimitroulis, and V. G. Papavassiliou. 2006. Inflammation and atherosclerosis. Eur. J. Vasc. Endovasc. Surg. 31, 386-393. 

  11. Karbownik, M. and R. J. Reiter. 2000. Antioxidative effects of melatonin in protection against cellular damage caused by ionizing radiation. Proc. Soc. Exp. Biol. Med. 225, 9-22. 

  12. Kushak, R. I., E. Nestoridi, J. Lamber, M. K. Selig, J. R. Ingelfinger, and E. F. Grabowski. 2005. Detached endothelial cells and microparticles as sources of tissue factor activity. Thromb. Res. 116, 409-419. 

  13. Lewy, A. J., R. L. Sack, L. S. Miller, and T. M. Hoban. 1987. Antidepressant and circadian phase-shifting effects of light. Science 235, 352-354. 

  14. Libby, P., P. M. Ridker, and A. Maseri. 2002. Inflammation and Atherosclerosis. Circulation 105, 1135-1143. 

  15. Moncada, S. and A. Higgs. 1993. The L-arginine-nitric oxide pathway. N. Engl. J. Med. 329, 2002-2012. 

  16. Paulis, L. and F. Simko. 2007. Blood pressure modulation and cardiovascular protection by melatonin: potential mechanisms behind. Physiol. Res. Rev. 56, 671-684 

  17. Pieri, C., M. Marra, R. Gaspar, and S. Damjanovich. 1996. Melatonin protects LDL from oxidation but does not prevent the apoliporotein derivatization. Biochem. Biophys. Res. Commun. 222, 256-260. 

  18. Reiter, R. J., D. X. Tan, L. C. Manchester, and W. Qi. 2001. Biochemical reactivity of melatonin with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a review of the evidence. Cell Biochem. Biophys. 34, 237-256. 

  19. Richardson, G. S. 2005. The human circadian system in normal and disordered sleep. J. Clin. Psychiatry 66, 3-9. 

  20. Tamura, E. K., E. Cecon, A. W. Monteiro, C. L. Silva, and R. P. Markus. 2009. Melatonin inhibits LPS-induced NO production in rat endothelial cells. J. Pineal Res. 46, 268-274. 

  21. Tan, D. X., L. C. Manchester, R. J. Reiter, M. Karbownik, and J. R. Calvo. 2000. Significance of melatonin in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reactions and products. Biol. Signals Recept. 9, 137-159. 

  22. Tengattini, S., R. J. Reiter, D. X. Tan, M. P. Terron, L. F. Rodella, and R. Rezzani. 2008. Cardiovascular diseases: protective effects of melatonin. J. Pineal Res. 44, 16-25. 

  23. Woywodt, A., F. H. Bahlmann, K. D. Groot, H. Haller, and M. Haubitz. 2002. Circulating endothelial cells: life, death, detachment and repair of the endothelial cell layer. Nephrol. Dial. Transplant 17, 1728-1730. 

  24. Wurtman, R. J., J. Axelrod, and J. E. Fischer. 1964. Melatonin Synthesis in the Pineal Gland: Effect of Light Mediated by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Science 143, 1328-1329. 

  25. Zang, L. Y., G. Cosma, H. Gardner, and V. Vallyathan. 1998. Scavenging of reactive oxygen species by melatonin. Biochim. Biophys. Acta. 1425, 469-4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