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귀나무 줄기와 잎의 유용 영양성분 분석
Analysis on the Useful Nutrition Components of the Albizzia julibrissin Stems and Leav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8, 2010년, pp.1143 - 1148  

이양숙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약자원학과) ,  홍창균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산업대학원) ,  서수정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약자원학과) ,  김남우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귀나무(A. julibrissin)의 줄기와 잎을 대상으로 새로운 기능성식품이나 의약품의 소재로써 영양학적 가치 및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일반성분, 당, 수용성 단백질,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무기질 그리고 유리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자귀나무의 줄기는 잎보다 탄수화물 함량은 높았으나 그 외의 조단백질과 조지방, 조회분은 잎에서 더 높았다. 수용성 단백질은 줄기에서 229.57 mg%, 잎은 1,073.59%였으며, 폴리페놀 화합물은 각각 446.67 mg%와 2,583.33 mg%, 플라보노이드는 16.36 mg%와 2,234.75 mg%를 함유하였다. 무기질은 줄기 1,656.56 mg%, 잎 2,018.71 mg%로 Ca와 K, Mg의 함량이 높았으며, 전체 무기질 함량의 99%를 차지하였다. 총 17종이 분리 동정된 유리아미노산은 줄기 2,977.28 mg%, 잎 8,840.66 mg%로 proline이 많았으며, 잎에서는 특히 cysteine이 비교적 많았다. 아미노산 유도체는 줄기에서 11종 263.53 mg%로 $\gamma$-aminoisobutyric acid(108.74 mg%), 잎에서는 13종 696.47 mg%로 phosphoserine(253.90 mg%)이 함량이 높았다. 자귀나무 줄기보다는 잎이 조회분, 조지방뿐만 아니라 당과 무기질, 유리아미노산의 함량도 더 높았으며,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 폴리페놀은 약 5.8배, 플라보노이드는 약 130배 이상 자귀나무 잎이 줄기보다 더 많았다. 이상의 결과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되는 자귀나무는 잎이 줄기보다 생리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식품영양학적으로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이용한 기능성식품이나 의약품 등의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nalyzed useful nutritional component data in stems and leaves of the Albizzia julibrissin for proximate composition, contents of soluble protein, reducing sugar, free sugar, total polyphenol compound, mineral, free amino acid, and amino acid derivative. The carbohydrate contents of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약리학적 성분과 활성을 지닌 것으로 보고된 합환목으로 알려진 자귀나무를 이용한 한방 소재의 기능성 제품 및 식품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줄기와 잎에 함유된 일반성분과 당, 수용성 단백질 등의 영양성분과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 그리고 무기질과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가설 설정

  • 2)nd is not detected.
  • 3)tr is trac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귀나무 수피에서 분리된 성분은? 자귀나무와 관련된 연구 결과로 자귀나무 수피로부터 quercetin galactoside, quercetin rhamnoside, saponins(5,6) 등의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잎에서 quercitrin과 afzelin를 분리하고 이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고하였다(7). 생리학적 효능과 관련해서는 꽃에서 분리된 flavonol 배당체의 항우울증 효과(8)와 수피 추출물의 자궁수축작용(9), 항암(10), 급성림프성 백혈병 세포주의 세포사멸 유도효과(11) 및 세포 주기 억제(12) 등이 보고된 바 있다.
한약재로 사용되는 자귀나무의 꽃과 줄기껍질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자귀나무의 어린잎과 꽃은 향기가 좋아 일반채소처럼 요리하여 식용하며, 잎은 말려서 차의 대용품으로 이용된다. 또한 한약재로 사용되는 꽃과 줄기껍질은 독이 없으며, 성질이 평(平)하고, 단맛을 지니고 있어 간의 기가 뭉쳐있는 것을 풀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혈액이 잘 소통되게 하고 통증을 없애고, 종기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등의 효능이 있다고 하여 불면증이나 불안증, 신경쇠약, 타박상, 근골절상 및 피부질환 치료에 응용한다(3,4).
자귀나무 꽃을 한방에서는 뭐라고 부르는가? 자귀나무(Albizzia julibrissin Durazz)는 콩과(Leguminosae)의 낙엽소교목으로 꽃과 줄기껍질은 한방에서 합환화(合歡花)와 합환피(合歡皮)라고 하며 한약 재료로 사용한다(2,3). 자귀나무의 어린잎과 꽃은 향기가 좋아 일반채소처럼 요리하여 식용하며, 잎은 말려서 차의 대용품으로 이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Lee JJ, Choo MH, Lee MY. 2007.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of Pimpinella brachycarpa. J Korean Soc Food Sci 

  2. Lee TB. 2003. Illustrated flora of Korea. 5th ed. Hyangmoonsa, 

  3. Kim TJ. 1996. Korean resources plants. Part II.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 194-195. 

  4. Zhu YP. 1998. Chinese materia medica: chemistry, pharmacology and applications. Harwood Academic Publishers, Amsterdam, Netherlands. p 519-520. 

  5. Ikeda T, Fujiwara S, Araki K, Kimjo J, Nohara T, Ida Y, 

  6. Kinjo J, Araki K, Fukui K, Higuchi H, Ikeda T, Nohara T, 

  7. Jang KG, Oh HC, Ko EK, Kang KH, Park SE. 2002. Free radical scavengers from the leaves of Albizzia julibrissin. 

  8. Kang TH, Jeong SJ, Kim NY, Higuchi R, Kim YC. 2000. 

  9. Woo WS, Kang SS. 1984. Isolation of a new monoterpene conjugated triterpenoid from the stem bark of Albizzia julibrissin. J Nat Prod 47: 547-549. 

  10. Choi BD, Ryeom K. 1999. Cytotoxicity of the components of Albizzia julibrissin. J Appl Pharmacol 7: 371-376. 

  11. Hwang SG, Kim CJ, Kim YI, Ju SM, Kim WS, Jeon BH. 

  12. Hwang SG, Lee HC, Kim DG, Woo GA, Jeon BH. 2002. 

  13. AOAC. 200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Vol 45, p 21-22. 

  14. Nelson N. 1944. A photometric adaptation of the Somogyi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glucose. J Biol Chem 153: 

  15. Shim KH, Sung NK, Choi JS, Kang KS. 1989. Changes in major components of Japanese apricot during ripening. J Korean Soc Food Nutr 18: 101-108. 

  16. Lowry OH, Roserbrough NJ, Farr AL, Randall RJ. 1951. 

  17. Swain T, Hillis WE. 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63-68. 

  18. Nieva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19. Yun SI, Choi WJ, Choi YD, Lee SH, Yoo SH, Lee EH, Ro 

  20. Lee YS, Joo EY, Kim NW. 2005. Analysis on the components in stem of the Lespedeza bicolor. J Korean Soc Food 

  21. Hwang JB, Yang MO, Shin HK. 1997. Survey for ap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medicinal herbs. 

  22. Chung MJ, Shin JH, Lee SJ, Hong SK, Kang HJ, Sung NJ. 

  23. Lee YS. 2008. Analysis of components in the different parts 

  24. Lee YS, Seo SJ, Kim MW. 2009. Analysis of the general components of Syneilesis palmata Maxim. Korea J Food 

  25. Moon JS, Kim SJ, Park YM, Hwang IS, Kim EH, Park JW, 

  26. Azuma K, Nakayama M, Koshika M, Lppoushi K, Yamaguchi 

  27. Choi HM. 2006. Nutrition. Kyomoonsa, Seoul, Korea. p 295-297, 323-324, 338-350, 370-372. 

  28. Jeong CH, Joo OS, Shin KH. 2002.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young mulberry (Morus alba) 

  29. Kim OK, Kung SS, Park WB. 1992.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aerial whole plant and juice of Angelica keiskei 

  30. Moon SJ, Han CT. 1998. Proline analogs, L-azetidine-2-carboxylic acid and 3,4-dehydro-L-proline, induce stress response in drosophila Kc cells. J Biochem Mole Biol 31: 

  31. Andreassen TT, Jorgensen PH, Flyvgherg A, Orskov H, 

  32. Chung, DH, Shim SJ, Kee YC, Kwon H. 1995. Molecular breeding of phenylalanine producing E. coli containing temperature controllable vector. Agric Chem Biotechnol 38: 

  33. Shin SR. 1999.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11: 495-4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