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nt Effect of Hot Water Extract from the Dried Radish (Raphanus sativus L.) with Pressurized Roast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8, 2010년, pp.1179 - 1186  

송영복 ((주)세전식품연구소) ,  최정선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이지은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노정숙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김미정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은주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송영옥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말랭이 및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in vitro와 LLC-$PK_1$ cellular system에서 살펴보았다.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과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을 $IC_{50}$로 비교해 보았을 때 DPPH(646.70 vs $135.45\;{\mu}g/mL$), superoxide anion(896.10 vs $566.98\;{\mu}g/mL$) 및 hydroxyl radical(722.26 vs $531.84\;{\mu}g/mL$)에 대한 가압볶음 열수 추출물의 효과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이러한 유리기 소거효과는 LLC-PK1 cell에서 pyrogallol, SNP 및 SIN-1 처리로 superoxide, nitric oxide 및 peroxynitrite를 생성하여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한 다음 무말랭이 및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추출물을 첨가하였을때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이 증가하고, 과산화물 생성량이 감소하여 세포손상을 보호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의 산화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는 무말랭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모든 유리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러한 무말랭이 열수추출물의 항산화효과는 무에 함유되어 있는 함황 물질, 유리아미노산, 배당체 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의 효과가 더 높은 이유는 무말랭이에 함유된 유효성분이가압볶음에 의해 증가되고 더불어 볶음과정 중에서 생성된 maillard 생성물의 항산화성 때문으로 생각된다. 무말랭이의 환원당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볶음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이에 반해 maillard 생성물의 중간산물인 5-hydroxymethyl-2-furfural(5-HMF) 함량은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던 것이 가압볶음 무말랭이 열수 추출물에서는 0.57 mg/g이 측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가압볶음 무말랭이 차의 섭취는 체내 유리기에 의한 산화적손상을 보호하는 효과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radical property of hot water extract from dried radish (DR) or dried radish roasted with pressure (DRRP) was investigated in vitro and in LLC-PK1 cell system. The contents of total free amino acid and reducing sugar in DR were decreased by 72.86% and 3.17%, respectively, after pressurized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생 무의 약리적인 효능 이외에도 반찬류로 사용하는 무말랭이를 볶아 차로 끓여 마시면 골다공증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구전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이는 아마도 건조에 의해 무에 함유된 성분들이 농축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무말랭이 차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가압볶음 한 무말랭이의 열수 추출물의 유리기 소거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의 생리활성 기능은? 무에 함유된 디아스타제(diastase)는 소화촉진, 식중독,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으며 라핀(rapine)은 세균, 진균, 기생충 등에 대한 항균 작용이 있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무에는 이뇨작용, 정장작용, 혈당강하, 소염 및 지혈 등의 생리활성이 있어(20) 민간에서 널리 상용되어 왔다. 또한, 십자화과 채소들은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무 역시 다른 십자화과 채소와 마찬가지로 글루코시놀레이트(glucosinolate) 계통의 항암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서(21), 인체 폐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2).
무란? 무(radish, Raphanus sativus L.)는 십자화과 채소로 휘발성 함황 성분을 가지고 있어 독특한 매운 맛을 지니고 있다. 무는 다른 채소에 비해 유리아미노산, 당, 칼슘 및 인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19).
볶음처리에서 발생하는 갈변화의 약리적 효과는? 볶음에 의해 식품성분들은 다양한 분해, 합성, 축합 등의 반응을 통해 유용 성분이 생성됨으로써 여러 가지 기능성을 나타낸다. 특히 볶음 과정 중 일어나는 갈변화 반응은 식품 중에 존재하는 유리아미노산과 유리당이 amino-carbonyl 반응을 일으켜 melanoidin을 형성하고(4), 가열에 의하여 당이 분해되어 생성된 방향족 화합물(5) 등이 항산화작용(6), 항돌연변이 작용 및 항균 작용(7) 등이 있어 노화억제(8)나 성인병 예방(9)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볶음처리는 건강기능성이 높은 유용성분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향미성분도 증가시킴으로써 차 생산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ang MH, Chung HK, Song ES, Park WJ. 2002. Improved method for increasing of the oil yields in grape seed. 

  2. Park NY, Jeong YJ, Kwon JH. 2007. Changes in flavor compounds of Polygonatum odoratum root during roasting. 

  3. Lee GD, Jeong YJ, Park NY, Kwon JH. 1999. Monitoring for the color formation of a Doraji tea by soaking of threonine and sucrose solution and roasting. Korean J Food Sci 

  4. Chandra R, Bharagava RN, Rai V. 2008. Melanoidins as mojor colourant in sugarcane molasses based distillery effluent and its degradation. Bioresour Technol 99: 4648-4660. 

  5. Nishigaki R, Watanabe T, Kajimoto T, Tada A, Takamura- 

  6. Papetti A, Daglia M, Aceti C, Quaglia M, Gregotti C, Gazzani 

  7. Summa C, McCourt J, Cammerer B, Fiala A, Probst M, Kun 

  8. Miller AG, Meade SJ, Gerrard JA. 2003. New insights into protein crosslinking via the maillard reaction: structural requirement, the effect on enzyme function, and predicted efficacy of crosslinking inhibitors as anti-aging therapeutics. 

  9. Aronson D. 2004. Pharmacological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aging-targeting the maillard reaction. Br J Pharmacol 

  10. Chung HS, Youn KS. 2005. Effects of microwave, ultrasound and roasting pretreatments on hot water extraction 

  11. Chung HS, Youn KS. 2006. Optimization of roasting process for preparation of water extracts from job's tears (Coicis lachryma-jobi ). Korean J Food Preserv 13: 119-124. 

  12. Kim KT, Kim JO, Lee GD, Kwon JH. 2005.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Polygonatum odoratum root extracts with different steaming and roasting conditions. 

  13. Lee SH, Lee YR, Hwang IG, Woo KS, Kim KH, Kim JK, 

  14. Kwak EJ, Jo IJ, Sung KS, Ha TY. 2005.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of roasted Rhus verniciflua stoke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784-789. 

  15. Lee SY, Hwang EJ, Kim GH, Choi YB, Lim CY, Kim SM. 

  16. Son GM, Bae SM, Chung JY, Shin DJ, Sung TS. 2005. 

  17. Yu JS, Woo KS, Hwang IG, Chang YD, Jeong JH, Lee CH, 

  18. Park BH, Back KY, Lee SI, Kim SD. 2008. Quality and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19. Lee HG. 2006. Food composition table I . 7th ed. Park HJ, ed.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RDA. Sammi Publisher, Suwon, Korea. p 120-123. 

  20. Jeong MS, Lee GS, Chae HJ. 2004. In vitro biological activity assay of ethanol extract of radish. J Korean Soc Appl 

  21. Papi A, Orlandi M, Bartolini G, Barillari J, Iori R, Paolini 

  22. Yim HB, Lee GS, Chae HJ. 2004. Cytotoxicity of ethanol extract of Raphanus sativus on a human lung cancer cell l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87-290. 

  23. Kongruang S, Han MJ, Breton CIG, Penner MH. 2004. 

  2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3. The Korea Pharmacopoeia 8th revision a manual. Lee ES, ed. Shinilsangsa, Seoul, Korea. p 1166. 

  25. Arana-Sanchez A, Estarron-Espinosa M, Obledo-Vanzquerz 

  26. Candan F, Sokmen A. 2004. Effects of Rhus coriaria L. (Anacardiaceae) on lipid peroxidation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Phytother Res 18: 84-86. 

  27. Chalova VI, Crandall PG, Ricke SC. 2010. Microbial inhibitory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old-pressed terpeneless valencia orange (Citrus sinensis) oil in different dispersing agents. J Sci Food Agric 90: 870-876. 

  28. Kang KS, Tanaka T, Cho EJ, Yokozawa T, 2009. Evaluation of the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heat-processed ginseng. J Med Food 12: 124-130. 

  29. de Andrade Vitral JC, Fraga MR, de Souza MA, Ferreira 

  30. Chen CY, Lin TK, Chang YC, Wang YF, Shyu HW, Lin 

  31. Morales FJ, Jimenez-Perez S. 2001.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as related to colour and fluorescence. Food Chem 72: 119-125. 

  32. Kim NY, Kang TH, Kim DH, Kim YC. 1999. A nitric oxide synthesis inhibitor from the roots of Gentiana scabra in RAW 264.7 cells. Kor J Pharmacogn 30: 173-176. 

  33. Sharma VK, Choi J, Sharama N, Choi M, Seo SY. 2004. In vitro anti-tyrosinase activity of 5-(hydroxymethyl)-2-furfural isolated from Dictyophora indusiata. Phytother Res 18: 841-844. 

  34. Abdulamlik O, Safo MK, Chen Q, Yang J, Brugnara C, 

  35. Zhao J. 2007. Interplay among nitric oxide and reactive oxygen species: a complex network determining cell survival or death. Plant Signal Behav 2: 554-547. 

  36. Hayashi Y, Sawa Y, Nishimura M, Fukuyama N, Ichikawa 

  37. Nugroho A, Park MG, Jin SE, Choi JS, Park HJ. 2009. 

  38. Heeba G, Moselhy ME, Hassan M, Khalifa M, Gryglewski 

  39. Park EY, Murakami H, Matsumura Y. 2005. Effects of the addition of amino acids and peptides on lipid oxidation in a powdery model system. J Agric Food Chem 53: 8334-83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