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오지(五遲) 오연(五軟) 오경(五硬)과 관련된 현대의학의 질병
Disease Related to the Five Retardation, Five Limpness, Five Stiffness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4 no.2, 2010년, pp.197 - 205  

박재형 (해마한의원) ,  백은경 (해마한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ssociation between five limpness(五軟), five stiffness(五硬), five retardation and disease have been repeatedly shown in patient. However, comparative study has been rare. This study arrange disease, which answer to five limpness, five stiffness, five retardation and classify by epiologic diagnosi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등의 질환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 본고는 위 질환들을 포함하여 五遲, 五軟, 五硬과 관련될 수 있는 여러 원인에 의한 다양한 질환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달지연이란? 운동발달, 의사소통, 인지발달, 사회정서발달, 적응발달 중한 가지 이상이 정상발달에 비해 현저히 뒤처지는 것을 발달지연이라고 한다1). 이러한 발달지연의 원인으로는 뇌성마비, 정신 지체, 신경근질환, 자폐장애, 뇌기형, 염색체이상 등이 있으며2), 환아들에서 종종 五遲, 五軟, 五硬의 증상이 관찰된다.
五軟은 현대의학의 어떤 질환과 유사한가? 頭項軟은 머리와 목이 연하고 힘이 없어 가누지 못하며, 手軟은 쥐거나 들 수 없고 足軟은 행보를 할 수 없는 증상을 말하고, 口軟은 口齒萎弱으로 입술에 힘이 없고 저작이 어려우며, 肌肉軟은 피부가 늘어지고 살이 찌지 않음을 일컫는다3). 五軟은 근육긴장도 저하라는 공통점이 있어 현대의학에서 말하는 ‘늘어지는 유아증후군’ floppy infant syndrome과 대체로 유사함을 볼 수 있다4,5). 五硬 은 明代 魯伯嗣가 저술한 <嬰童百問>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고, 근육긴장도의 증가를 특징으로 하며 脚硬 手硬 頭項硬 口硬의 증상을 보인다.
五軟은 각각 무엇인가? 五軟은 元代 曾世榮의 <活幼心書>에 명칭이 나오기 시작하여 醫家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언급되고 있으나 속칭 軟癱이라 하며 頭項軟 手軟 脚軟 身軟 口軟의 증상을 포함한다. 頭項軟은 머리와 목이 연하고 힘이 없어 가누지 못하며, 手軟은 쥐거나 들 수 없고 足軟은 행보를 할 수 없는 증상을 말하고, 口軟은 口齒萎弱으로 입술에 힘이 없고 저작이 어려우며, 肌肉軟은 피부가 늘어지고 살이 찌지 않음을 일컫는다3). 五軟은 근육긴장도 저하라는 공통점이 있어 현대의학에서 말하는 ‘늘어지는 유아증후군’ floppy infant syndrome과 대체로 유사함을 볼 수 있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0)

  1. Moyra Smith.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ela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220-230, 2006. 

  2. 정희정, 윤지현, 송종근, 송동호, 김영기, 김성우. 발달지연 환아의 진단적 접근과 원인 분석, 대한소아신경학회지 13(2):237, 2005. 

  3. 정규만. 동의소아과학. 서울, 행림출판, pp 275-277, 1992. 

  4. 이건수, 안인철. floppy infant에 관한 연구. 충남의대잡지, 2(1):223-231, 1996. 

  5. 대한소아신경학회. 소아신경학. 서울, 군자출판사, pp 41-47, 61-67, 274, 395-400, 406-10, 421, 424, 432-439, 443-450, 2007. 

  6. 소아재활의학회. 대한소아재활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pp 131-134, 147-150, 188, 225, 272-273, 2006. 

  7. 김진경. 유아기 언어발달 지연아의 발달 지수와 후기 지능과 의 관련성. 대구카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22, 2003. 

  8. 박재현. 정신지체로 진단된 아동의 어지, 행지와의 상관성에 대한 임상적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21-23, 2006. 

  9. 김윤희, 한재경. 아스퍼거 증후군 환아 증례보고.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2):1-9, 2006. 

  10. 장지혜, 임영우, 이승연. 비전형자폐 소아 환자 치험 2례 보고.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9(2):85-97, 2005. 

  11. 김희철, 정명숙, 이승기. 조음과 읽기 유창성의 문제를 호소한 어지 환자 치험 1례.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2(6):1585-1588, 2008. 

  12. 백은경, 박재형, 박재현, 윤영주, 정슬기, 임자성. 어지와 지능지수에 대한 한약치료의 전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1(4): 1025-1029, 2007. 

  13. 이진용, 김덕곤. 小兒 言語 障碍에 대한 小考.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9(1):185-194, 1995. 

  14. 한윤정, 김장현. 뇌성마비의 한의학적 접근에 관한 최신 동향. 17(2):173-198, 2003. 

  15. 송태원, 유호상, 오문석. 뇌성마비의 동서의학적 문헌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9(1):469-500, 2000. 

  16. 이유경, 채중원. 行遲로 진단된 하지부 운동발달지연 환아의 치험 1례 보고.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1(3):215-221, 2007. 

  17. 박준범, 김태용, 오민규, 하광수, 신현수. 수두증으로 五遲症과 五軟症이 발생한 환아 1례.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3): 1-10, 2006. 

  18. 김장현, 김윤영, 서영민. Hunter 증후군환아 증례 1례 보고.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1(2):145-152, 2007. 

  19. 김덕곤, 이진용, 정재환. 뇌간 신경교종 환아 경험 1례.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2(1):55-61, 1998. 

  20. 김승미. DOWN증후군 환아의 임상적 관찰.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5, 18-20, 1991. 

  21. 백혜령, 최귀숙, 조 준, 박문수, 장진근, 신성우, 문신용. 묘성증후군 1례. 소아과, 30(3):309-311, 1987. 

  22. 정희정, 김영래, 한만용, 이숙환. 신생아기와 영아기에 FISH법에 의해 진단된 Prader Willi 증후군 또는 Angelman 증후군 5례. 소아과, 43(3):417-421, 2000. 

  23. 진동규, 이지은, 문광빈, 황종희, 권은경, 김선희, 김종원. Prader Willi 증후군의 임상양상 및 유전학적 진단에 관한 고찰. 소아과, 45(9):1127-1128, 1131, 2002. 

  24. 박창수, 김준희, 임형종, 강경원, 최영륜, 황태주. 18q-증후군 1례. 대한주산학회지 4(4):557-563, 1993. 

  25. 김천수, 김성희, 노은성, 김은정, 유철우, 김철규. 9번 염색체 단완 결실 증후군 1례. 대한신생아학회지 7(1):68-71, 2000. 

  26. 이영혁, 김길영. De Novo Trisomy 12p 증후군 1례. 소아과, 34(11):1581-1586, 1991. 

  27. 황일태, 성남주, 김미진, 김영호, 정지아, 양 승, 이혜란. 수신증을 동반한 7번 염색체 장완결실 [46,XX,del(7) (q34)] 1례. 대한신생아학회지 12(2):217, 2005. 

  28. 이상락, 이종욱, 이동훈, 김천수, 김준식, 권태찬, 하정숙, 이희정. 복합기형이 동반된 2번 염색체 장완부분결실 1례. 대한신생아학회지 9(2):220-225, 2002. 

  29. 손민균, 문재호, 박동식, 강민정, 하영란. 근 디스트로피 환자의 지능저하에 대한 고찰. 대한재활의학지 15(1):71-76, 1991. 

  30. 문우남, 김영조, 최수경, 안재용, 김두환, 김인철. Duchenne 및 Becker형 근 이영양증의 진단. 대한정형외과학회지 34(4):763-767, 1999. 

  31. 김은영. Gene therapy for Gaucher disease using a recombinant lentivirus vector.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3, 2005. 

  32. 남궁란, 이택진, 김경식, 박국인, 이 철, 이영목, 이진성, 김태승. 선천성근긴장성 이영양증 1례. 대한신생아학회지 9(2):204-209, 2002. 

  33. 김태승, 장 욱, 김정년, 박민수, 이진성, 남궁란, 이 철, 한동관. 신생아기에 발병한 제1형 척수성 근위축증 2례. 대한신생아학회지 3(1):110-113, 1996. 

  34. 정상영. 소아의 Guillain-Barre증후군에 대한 임상적 고찰, 경희대학교석사학위논문, pp 3-6, 1989. 

  35. 한태륜, 김진호, 정선근, 이종민. Nemaline Myopathy 의 근전도 및 임상소견. 대한재활의학회지 15(2):92-93, 96-97, 1992. 

  36. 권영세, 김윤희, 임대현, 전용훈, 김순기, 홍영진, 손병관, 한혜승. Centrinuclear형 선천성 근병증 1례. 소아과, 45(9):1170-1173, 2002. 

  37. 오의숙, 박성원, 윤종구, 김상협, 함의근, 이정빈. 선천성근이영양증. 소아과, 17(3):58-62, 1974. 

  38. 허 준, 김기중, 고태성, 김동욱, 황세희, 황용승, 김인원, 지제근. Fukuyama형 선천성 근 이영양증 1례. 대한 신경과학회지 10(3):388-394, 1992. 

  39. 지제근, 김영훈, 정승연, 김종완, 황경태. IIa형 당원병의 1례. 대한신경과학회지 10(4):559-565, 1992. 

  40. 임판주. 한국에서의 페닐케톤뇨증과 선천성갑상선 기능저하증에 대한 신생아 집단선별검사의 경제성 분석.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3, 2004. 

  41.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선천성 갑상선저하증과 당신의 자녀. 서울, 보건복지부, p 15, 2001. 

  42. 이동환 편저. 유전성 대사질환. 서울, 고려의학, p 207, 2008. 

  43. 김상구, 서동상, 서봉보, 이정주, 정기화, 황혜진 공역. 유전학원론. 서울, 월드사이언스, p 351, 2008. 

  44. 채종희. 사립체 질환. 대한소아신경학회, 9(1):13-24, 2001. 

  45. 김종화, 구영아, 최동석, 최석주, 오수영, 장윤실, 박원순, 김현숙, 노정래. 조산 또는 만삭 분만후 진단된 뇌성마비의 임상적 양상. 대한산부인과학회지 49(12):2544-2546, 2006. 

  46. 일레인게라리스 뇌성마비의 이해. 서울, 시그마프레스, pp 1-18, 2005. 

  47. 조현정, 이윤경, 김동언, 최병준, 김진택, 이익준, 지제근. Marden-Walker Syndrome, 소아과, 42(10):1471-1473, 1999. 

  48. 정해일, 황용승, 김소원, 유영석, 최 용, 김인원. Lowe안 뇌신증후군(Oculocerebrorenal Syndrome) 2례. 소아과, 42(3):419-422, 1999. 

  49. Mary Beirne-Smith, Richard F. Ittenbach, James R. Patton. 정신지체, 서울, 시그마프레스, pp 215-216, 298-387, 2002. 

  50. 대한의학유전학회. 의학유전학. 서울, 이퍼블릭, pp 108, 142, 254-255, 320, 2008. 

  51. 이정주, 의학유전학. 서울, 월드 사이언스. pp 63-64, 209, 2009. 

  52. 한진영, 김경희, 도용희, 황규근. 정신 및 발육지체를 동반한 49, XXXXY증후군(클린에펠트증후군의 변이형). 동아의대학술지, 11(2):239-241, 1999. 

  53. 진혜영. DiGeorge 증후군의 임상적 고찰.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17, 2007. 

  54. 채종희. MECP2 유전자의 돌연변이 유형과 X염색체 불활성화가 Rett 증후군의 표현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 13, 2002. 

  55. 황철희, 이동규, 남명숙, 조문기. Rubinstein-Taybe 증후군 1례. 소아과, 34(8):1146-1150, 1991. 

  56. 김성준, 이윤경, 최병준, 이인구, 이익준, 황경태. Miller-Dieker 증후군 Miller-Dicker syndrome. 대한소아신경학회지 5(2):351-355, 1998. 

  57. 김영창. 소아 신경질환의 진단과 치료 제2판. 서울, 고려의학, pp 269-272, 278, 326-335, 2005. 

  58. 보건복지부. RNA간섭을 이용한 신경섬유종증 제1형의 새로 운 치료법 개발. 서울. 보건복지부, p 3, 2007. 

  59. 최시성, 정선관, 노병석, 김창근, 원종진. 스터지 웨버 증후군의 MR 소견 : 안면부 모반이 없는 2예 보고. 대한방사선의학회지 30(3):417, 1994. 

  60. E.V. Badoe. Classical Cornelia de Lange Syndrome. Ghana Med J. 40(4):148-150, 2006. 

  61. 김성신, 안연화, 장윤실, 진동규, 박원순, 이문향, 김종원, 윤혜경, 김보경. 신생아기에 확진된 zellweger 증후군 1례. 소아과, 44(6):694-698, 2001. 

  62. Gonzalez, M.E., Burk, C.J., Barbouth, D.S., Connelly, E.A. Macrocephaly-capillary malformation: a report of three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pediatric dermatology. 26(3):342-346, 2009. 

  63. 이정은, 고창준. 뇌량형성부전환아의 임상적 고찰. 대한소아신경학회지 4(1):29-41, 1996. 

  64. 김인원, 김승철, 정항보, 황세희, 김기중, 황용승. Joubert 증후 군의 증상 및 형태학적 병변에 대한 임상적 고찰. 소아과, 40(3):386-390, 1997. 

  65. 안경회, 김희상, 김혜완, 김동환, 유승돈, 차상민, 박성섭. 분자 유전 검사로 확진된 척수소뇌성 운동 실조증 3형 : 증례보고. 대한재활의학회지 25(4):714-719, 2001. 

  66. Paul Masotti, M. Anne George, Karen Szala-Meneok, A. Michel Morton, Christine Loock, Marilyn Van Bibber, Jennifer Ranford, Michael Fleming, Stuart MacLeod. Preventing Fetal Alcohol Spectrum Disorder in Aboriginal Communities: A Methods Development Project. PLoSmed. 3(1):24-29, 2006. 

  67. 임안수. 시각장애아 교육. 서울, 학지사, pp 38-42, 174, 2008. 

  68.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서울, 학지사, pp 51-58, 2003. 

  69. 양혜영, 이혜련. 소아정신과에 의뢰된 아동의 주문제에 대한 분석: 발달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9(2):106-121, 1996. 

  70. 조수철. 소아정신질환의 개념,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81-89, 2000. 

  71. Patricia Howlin, 김혜리 역. 자폐증과 아스퍼거증후군 아동: 치료자와 부모를 위한 지침서. 서울, 시그마프레스, pp 19-29, 2002. 

  72. 李圭植, 權要漢, 金甲琳. 聽覺言語障碍兒療育. 서울, 형설출판사, p 385, 1979. 

  73. 대한의학유전학회. 의학유전학. 서울, 이퍼블릭, pp 108, 142, 254-255, 2008. 

  74. 김동일, 이대식, 신종호.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서울, 학지사, pp 334, 341-342, 2006. 

  75. 오세욱, 강호석, 박용원, 이종국, 김상우, 이기재. Pelizaeus-Merzbacher 병 2례. 소아과, 43(4):564-567, 2000. 

  76. 정지선. 갈락토스혈증의 새로운 진단법의 개발. 서울.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6, 2008. 

  77.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서울, 학지사, pp 51-58, 2003. 

  78. 고석완. 선천성 두개뇌기형의 자기공명영상소견: 신경학적 임상소견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2-3, 11-12, 1995. 

  79. Thal, D., Bates, E.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 early childhood. Pediatr Ann 218: 299-305, 1989. 

  80. Robinson, R.J. Causes and associations of severe and persistent specific speech and language disorder in children. Dev Med Child Neurol 33: 943-962,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