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다소비 수산식품 중 총수은 및 메틸수은 모니터링
Monitoring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Commonly Consumed Aquatic Food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3 = no.211, 2010년, pp.269 - 276  

주현진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수입식품분석과) ,  노미정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수입식품분석과) ,  유지헌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수입식품분석과) ,  장영미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수입식품분석과) ,  박종석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수입식품분석과) ,  강명희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수입식품분석과) ,  김미혜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수입식품분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유통되는 어류, 연체동물(두족류, 패류), 갑각류, 해조류에서 총 15종, 231건의 수산식품을 수거하여 총수은 및 메틸수은 오염량을 모니터링하고 조사대상 수산식품의 위해도를 평가하였다. 총수은 분석법(총수은분석기 사용)을 검토한 결과, 직선성($R^2$)은 0.999 이상이었고 검출 및 정량한계는 각각 $0.017\;{\mu}g/kg$, $0.051\;{\mu}g/kg$이었으며 표준인증물질 분석에 대한 정확도는 98% 이상이었다. 메틸수은 분석법(GC-ECD 사용)을 검토한 결과, 직선성($R^2$)은 0.990 이상이었고 회수율은 평균 70% 이상이었으며 검출 및 정량한계는 각각 0.003, 0.010 mg/kg이었다. 모니터링 결과, 수산식품 중 총수은 평균(단위: mg/kg)은 고등어 0.088, 갈치 0.061, 조기 0.030, 명태 0.032, 메기 0.059, 가물치 0.110, 오징어 0.030, 낙지 0.026, 꽃게 0.035, 굴 0.009, 바지락 0.011, 홍합 0.008, 미역 0.018, 김 0.007, 다시마 0.019 이었다. 메틸수은 평균(단위: mg/kg)은 고등어 0.034, 갈치 0.016, 조기 0.005, 명태 0.008, 메기 0.023, 가물치 0.045, 오징어 0.011, 낙지 0.009, 꽃게 0.008이었으며 굴, 바지락, 홍합, 미역, 김, 다시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수산식품별 총수은 및 메틸수은의 오염량 평균과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일일식품섭취량을 근거로 하여 15종의 수산식품에서 섭취되는 총수은과 메틸수은의 총 주간추정섭취량(total estimated weekly intake)을 각각 산출하였다. 이를 JECFA의 PTWI(총수은: $5\;{\mu}g/kg$ b.w./week, 메틸수은: $1.6\;{\mu}g/kg$ b.w./week)와 비교했을 때 각각 3.57, 3.34% 수준으로서, 15종의 수산식품 섭취에 의한 수은 노출량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수은 섭취에 주로 기여하는 식품군이 수산식품이며 조사대상 수산식품 15종의 섭취량은 전체 수산식품 섭취량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수은 오염에 대한 국내 유통 수산식품의 위해도는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in 15 commonly consumed aquatic food species using total mercury analyzer and gas chromatography with electron capture detector. The mean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concentrations (mg/kg) were 0.088 and 0.034 in mackerel, 0.061 and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국제 무역의 증가와 경제 수준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수산식품의 수입과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중국 등에서 수입되는 냉동 및 가공 수산식품과 원양어업에 의한 수산식품은 국내 환경오염 규제로 관리 할 수 없는 영역의 것이므로 수입 및 유통 단계에서의 관리를 통해 수은 오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되는 다소비 수산 식품 15종에서 총수은 및 메틸수은 오염량을 조사하였으며 조사 대상 수산식품의 섭취를 통한 총수은과 메틸수은의 주간추정섭취량을 산출하여 국내 유통되는 수산식품의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은은 어떠한 화학적 형태로 자연계에 존재하는가? 수은은 화석연료의 소각 등 다양한 산업과정에서 주로 발생되어 공기 중으로 유입된 후 자연계에서의 순환과정을 거쳐 주로 수생환경에 존재하게 된다. 수은은 여러 화학적 형태로 자연계에 존재할 수 있는 데 그 종류는 금속수은, 무기수은, 유기수은이며 한 가지 형태로만 존재하지 않고 자연계에서 순환과정을 거쳐 존재하는 형태가 바뀔 수 있다(1). 특히 무기수은은 박테리아의 작용에 의해 유기수은인 메틸수은으로 바뀌고 이러한 메틸수은은 작은 식물이나 플랑크톤 같은 동물을 통하여 생태계의 먹이사슬로 유입되게 되는 데 한번 유입된 수은은 생체 내 단백질과 강한 결합을 이루어 배출이 쉽지 않으므로 생물농축(bioaccumulation)과정이 발생한다(2,3).
생태계의 먹이사슬로 유입된 유입된 수은은 어떤 과정을 발생시키는가? 수은은 여러 화학적 형태로 자연계에 존재할 수 있는 데 그 종류는 금속수은, 무기수은, 유기수은이며 한 가지 형태로만 존재하지 않고 자연계에서 순환과정을 거쳐 존재하는 형태가 바뀔 수 있다(1). 특히 무기수은은 박테리아의 작용에 의해 유기수은인 메틸수은으로 바뀌고 이러한 메틸수은은 작은 식물이나 플랑크톤 같은 동물을 통하여 생태계의 먹이사슬로 유입되게 되는 데 한번 유입된 수은은 생체 내 단백질과 강한 결합을 이루어 배출이 쉽지 않으므로 생물농축(bioaccumulation)과정이 발생한다(2,3). 따라서 먹이사슬에서 상위를 차지하는 대형 육식성 어류에는 높은 농도의 수은이 존재하게 된다.
수은의 생물농축 과정은 상위 먹이사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특히 무기수은은 박테리아의 작용에 의해 유기수은인 메틸수은으로 바뀌고 이러한 메틸수은은 작은 식물이나 플랑크톤 같은 동물을 통하여 생태계의 먹이사슬로 유입되게 되는 데 한번 유입된 수은은 생체 내 단백질과 강한 결합을 이루어 배출이 쉽지 않으므로 생물농축(bioaccumulation)과정이 발생한다(2,3). 따라서 먹이사슬에서 상위를 차지하는 대형 육식성 어류에는 높은 농도의 수은이 존재하게 된다. 인간이 수은에 노출되는 주요한 경로는 이러한 수산식품의 섭취에 기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Tomiyasu T, Nagano A, Sakamoto H, Yonehara N. Differential determination of organic mercury and inorganic mercury in sediment, soil, and aquatic organisms by cold-vapor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Anal. Sci. 12: 477-481 (1996) 

  2. Mason RP, Reinfelder JR, Morel FM. Bioaccumulation of mercury and methylmercury. Water Air Soil Poll. 80: 1573-2932 (1995) 

  3. Jensen S, Jernelov A. Biological methylation of mercury in aquatic organisms. Nature 223: 753-754 (1969) 

  4. Ekno S, Susa M, Ninomiya T, Imamura K, Kitamura T. Minamata disease revisited: An update on the acute and chronic manifestations of methylmercury poisoning. J. Neurol. Sci. 262: 131-144 (2007) 

  5. MercuryPoisoned.Com. Symptoms of mercury chronic poisoning. Available from: http://www.mercurypoisoned.com/symptoms.html. Accessed Mar. 01, 2008. 

  6. Clarkson TW, Magos L, Myers GJ. The toxicology of mercurycurrent exposure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New Engl. J. Med. 349: 1731-1737 (2003) 

  7.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Mercury levels in commercial fish and shellfish. Available from: http://www.cfsan.fda.gov/seafood1.html. Accessed Mar. 01, 2008. 

  8. Food Standard Agency. Mercury in imported fish and shellfish, UK farmed fish and their products(40/03). Available from: http://www.food.gov.uk/science/surveillance/fsis2003/fsis402003. Accessed Mar. 01, 2008. 

  9. Health Canada.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of mercury in fish and health benefits of fish consumption. Available from: http://www.hc-sc.gc.ca. Accessed Mar. 01, 2008. 

  10. Tsuchiya A, Hinners TA. Burbacher TM, Faustman EM, Marien K. Mercury exposure from fish consumption within the Japanese and Korean communities. J. Toxicol. Env. Health A 71: 1019-1013 (2008) 

  11.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usanmul Sugeup Mit Gagyeok Pyeollam 2004 (Yearbook on 2004: demand, supply, and price data related to fishery products). Available from: http://www.mifaff.go.kr. Accessed Mar. 01, 2008. 

  12.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Nongnim Susan Sikpum Juyo Tonggye 2008(Principal statistics of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products, 2008). Available from: http://www.mifaff.go.kr. Accessed Mar. 01, 2008. 

  13.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Susanmul Suyo Daeche Hyogwa Bunseok.(Analysis of the substitution effects of demand for fishery product) Available from: http://fei.suhyup.co.kr. Accessed Mar. 01, 2008. 

  14.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usanmul-ui Sobi Paeteon Byeonhwa-wa Suyo Jeonmang(Changing consumption patterns and demand prediction for fishery products). Available from: http://www.krei.re.kr. Accessed Mar. 01, 2008. 

  15. Fish Flow Information System. Jeongbo Suhyeop Gyetong Panmae(Fish flow information system). Available from: http://fifis.kr. Accessed Mar. 01, 2008. 

  16. Kljskovic-Gsspic Z. Biomonitoring of mercury in polluted coastal area using transplanted mussels. Sci. Total Environ. 368: 199-209 (2006) 

  17.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Code I.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p. 9-1-5 (2008) 

  18.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Code II.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p. 10-6-11 (2008) 

  19.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In depth Analysis on the 3rd (2005)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ition Survey-.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Accessed Mar. 01, 2008. 

  20.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Mercury study report to congress Volume III: Fate and Transport of mercury in the Environment.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Washington, DC, USA (1997) 

  21. Lee JO, Oh KS, Sho YS, Park SS, Suh JH, Lee EJ, Lee YD, Choo MH, Song MS, Woo GJ. The monitoring of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fish. Annu. Rep. KFDA, Korea 9: 147-150 (2005) 

  22. Nakagawa R, Yumita Y, Hiromoto M. Total mercury intake from fish and shellfish by Japanese people. Chemosphere 35: 2909-2913 (1997) 

  23. Burger J, Stern AH, Gochfeld M. Mercury in commercial fish: Optimizing individual choices to reduce risk. Environ. Health Persp. 113: 266-271 (2005) 

  24. Claisse D, Cossa D, Bretaudeau-sanjuan J, Touchard G, Bombled B. Methylmercury in Molluscs along the French coast. Mar. Pollut. Bull. 42: 329-332 (2001) 

  25. Szefer P, Ikuka K, Frelek K, Zdrojewska I, Nabrzyski M. Mercury and other trace metals (Ag, Cr, Co, and Ni) in soft tissue and byssus of Mytilus edulis from the east coast of Kyushu Island. Japan. Sci. Total Environ. 229: 227-234 (1999) 

  26. Hall RA. National Marine Fisheries survey of trace elements in the fishery resource.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Rockville, MD, USA (1978) 

  27. US EPA. Mercury study report to congress Volume III: Fate and transport of mercury in the environment.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1997) 

  28. Lee JY, Kim DS, Oh KS, Kang KM. The survey on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food (monitoring of heavy metal content in fishes). Annual Rep. KFDA, Korea 10: 215-216 (2006) 

  29. Graham S. Organisms in algae-rich lakes may absorb less mercury Available from: http://www.sciam.com/article.cfm?idorganisms-in-algae-rich-l. Accessed Mar. 01. 2008. 

  30. Wilhelm SM, Liang L, Kirchgessner D. Identification and properties of mercury species in crude oil. Energ. Fuel. 20: 180-186 (2006) 

  31. Almela C, Algora S, Benito V, Clemente K, Devesa V, Suner M A, Velez D, Montoro R. Heavy metal, total arsenic, and inorganic arsenic contents of algae food products. J. Agr. Food Chem. 50: 918-923 (2002) 

  32. van Netten C, Hoption Cann SA, Morley DR, van Netten JP. Elemental and radioactive analysis of commercially available seaweed. Sci. Total Environ. 255: 169-175 (2000) 

  3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In depth Analysis on the 3rd (2005)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ition Survey-.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Accessed Mar. 01, 2008. 

  34. Lee SR, Hangugin-ui Pyeonggyun Chejung-e Daehan Jalyo (Data for the average weight for a Korean). Food Sci. Ind. 32(4): 65-66 (1999) 

  35. Egan SK, Tao S-H, Pennington JAT, Bolger PM.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s Total Diet Study: Intake of nutritional and toxic elements. 1991-96. Food Addit. Contam. 19: 10-125 (2002) 

  36. Cho YH, Park SO. Dietary intake and risk assessment of contaminants in Korean foods. Available from: http://rnd.kfda.go.kr. Accessed Dec. 30, 2009. 

  37. Hwang TE, Ahn TH, Kim EJ, Lee JA, Kang MH, Kang CS, Jang YM. Monitoring of heavy metals in meat and meat products. Annu. Rep. KFDA, Korea 12: 91-92 (2008) 

  38. Kim SH, Koh YS, Lee GS. Monitoring of heavy metal in domestic meats. Annu. Rep. KFDA, Korea 11: 133-134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