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도산(顚倒散)의 추출용매에 따른 항염 및 항산화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Anti-inflammation and Anti-oxidation in Accodance with Extraction Solvents of Jeondo-san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23 no.2, 2010년, pp.69 - 80  

서형식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ti-Inflammation and anti-oxidation of Jeondo-San(JDS) extracted with two kinds of solvents, ethanol and water. Methods : Two kinds of JDS extractions were prepared 20, 50, $100\;{\mu}g/mg$. The Cytotoxic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동일 약제라 하여도 추출용매에 따라 추출 성분과 효능의 정도가 달라 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粉刺 및 酒齄에 외용 치료제로 敷法을 이용하여 활용되는 顚倒散을 에탄올과 물로 각각 추출하여 NO, PGE2, TNF-α 생성 저해능과 iNOS, COX-2 발현 억제능를 통한 항염 효능과 ROS 생성 저해능, GSH 합성능, DPPH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효능을 비교하여 추출용매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敷法을 활용하여 이용되는 顚倒散을 에탄올과 물로 추출하여 PGE2, NO, TNF-α 생성 저해능과 iNOS, COX-2 발현 억제능를 통한 항염 효능과 ROS 생성 저해능, GSH 합성능, DPPH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효능을 비교하여 추출용매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외용 치료제인 顚倒散의 임상적인 활용가치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顚倒散의 에탄올 및 열수 추출에 따른 항염과 항산화능을 살펴본 결과는? 1. 顚倒散의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 모두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顚倒散의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은 PGE2 생성 저해능 실험에서 모두 유의성 있게 농도 의존적인 저해능을 보였다. 3. 顚倒散의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은 NO 생성 저해능 실험에서 모두 유의성 있게 농도 의존적인 저해능을 보였다. 4. 顚倒散의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은 TNF-⍺ 생성 저해능 실험에서 모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5. 顚倒散의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은 COX-2, iNOS 발현 억제능 실험에서 에탄올 추출 100 ㎍/㎖, 열수 추출 50, 100 ㎍/㎖의 농도에서 iNOS의 발현 억제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顚倒散의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은 ROS 생성 저해능 실험에서 모두 유의성 있게 농도 의존적인 저해능을 보였으며, 에탄올 추출이 열수 추출보다 높게 나타났다. 7. 顚倒散의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은 GSH의 합성 촉진능 실험에서 에탄올 추출물 100 ㎍/㎖ 농도에서만 32±5.2 %로 나타났다. 8. 顚倒散의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은 DPPH 라 디컬 소거능 실험에서 모두 유의성 있게 농도 의존적인 소거능을 보였으며, 에탄올 추출이 열수 추출보다 높게 나타났다.
顚倒散이란? 顚倒散은 大黃과 硫黃으로 구성되어 等分으로 細末하여 凉水調敷하는 방법으로 肺風分刺 및 酒 齄疿를 치료하는 외용 치료제이다1) .
敷法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敷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細末한 약제와 혼합할 용매가 필요하며, 사용될 수 있는 용매로는 예전부터 흔히 水, 酒, 醋, 蜜 등이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용매는 자극성을 줄일 것인지, 혈액순환을 촉진할 것인지, 영양을 보충할 것인지 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吳謙. 醫宗金鑑. 서울:일중사. 1991:1733. 

  2. Lee EJ, Kwon JH. Characteristics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for Grape Seed Components with Different Solvents. Korean J. Food Preserv. 2006;13(2):216-22. 

  3. Pang TS, Lee KG, Ham IH, Bu YG, Kim HC, Rhee JS, Choi HY. A Study on the Content Changes of $\beta-asarone$ and $\alpha$ -asarone in Acorus gramineus According to its Parts, Extraction Solvent, and Fermentation. Kor. J. Herbology. 2008;23(4):149-57. 

  4. Baik JA, Baek YH, Chiang MH. Phenol Contents of Solvent Extraction in Several Domestic Thymus Quinquecostatus Celak.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009;18(4):468-74. 

  5. Jeong HJ, Kim SA, Kwon JH, Kim HK.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deniae Fructus Extracrs by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as Affected by Solv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8; 37(3):282-7. 

  6. Kim MJ, Park EJ. Antioxidative and Antigenotoxic Effect of Omiga(Schizandra chinensis B.)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39(4):487-93. 

  7. H. Kim, H. Lim, B. Kim, H. Kim, S. Choi, C. Yoon, Studies on the anti-acne effect of Agrimonia pilosa Ledeb.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006;32(1):53-8. 

  8. T. Mosmann,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of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J. Immunol. Methods, 1983;65:55. 

  9. S. M. Han, K. G. Lee, J. H. Yeao, H. Y. Kweon, and K. K. Park,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venom from asian honeybees (Apis cerana L.) o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 Raw 264.7 cell line, Korean J. Apiculture, 2004;19:89. 

  10.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181:1199. 

  11. Gang YH. Atlas of Skin Disease. Seoul. Hanmibook. 2006:205-7. 

  12. Yu HJ, Choi IH. A Practical Application on the External Treatment of Acne (A Focus on the Medical Herbs Published in the Woman's Monthly Magazines). Th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4;17(1):34-44. 

  13. 顧伯康. 中醫外科學.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7:60. 

  14. Du IS, Seo YJ, Woo WH, Oh HC, Park MC, Hwang CY, Lim KS, Kim NK.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External Treatment of 5% Herba Houttuyniae Extract Solution on the Acne.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4;18(2):612-20. 

  15. Hong SH. The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Jeondo-san(Diandao-san) on Acnes.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2005;26(3):74-9. 

  16. Lee SY, Seo HS. The Effects of Sulfur extract on Anti-Inflammation and Anti-Propionibacterium acne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7;20(2):68-76. 

  17. Yoo JG, Seo HS. The Effects of Yeouigeumhwang-san on Anti-Inflammation and Anti- Propionibacterium acne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7;20(2):77-88. 

  18. Choi KH, Seo HS. The Effects of Jeondo-san on Anti-Inflammation and Anti-Propionibacterium acne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7;20(2):89-101. 

  19. Kim MA, Kim MB, Shin SH, Byun SM, Ko WS, Lee HS, Park SG, Yoon HJ. The study on external treatment of oriental medical care on acne.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8;21(2):102-11. 

  20. 대한병리학회. 병리학. 서울:고문사. 2000:34,43. 

  21. Kim H, Lee MJ, Lee HS, Jung HJ, Choi SK, Lee CH, Park WH. Preventive Effects of GLEDITSIAE SPINA Ethanol Extracts and its Fraction in Oxidative Stress and Human LDL Oxidation.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9;23(3):631-8. 

  22. Yagi, K. Lipid peroxides and human disease. Chem. Phys. Lipids. 1987;45:337-51. 

  23. Barnen, A.L.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HA, BHT. J. Am. Oil Chem. Soc. 1975;52:59-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