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칭형 이중 게이트 MOSFET에 대한 문턱전압 연구
A Study of the Threshold Voltage of a Symmetric Double Gate Type MOSFET 원문보기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10 no.6, 2010년, pp.243 - 249  

이정일 (경민대학 정보통신과) ,  신진섭 (경민대학 정보통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대칭형 이중 게이트 MOSFET의 회로해석에 대한 등가모델을 제시하고자 해석적 모델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해석적 모델에 사용된 방법은 2차원 포아송 방정식의 해를 가정하여 표면 전위 관계식을 유도하여 실리콘 몸체 내의 전위분포를 풀어 드레인 전압 변화에 대한 문턱전압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단채널 및 장채널 실리콘 채널에서 모두 해석이 가능한 해석적 모델을 적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MOSFET의 채널 길이에 따른 제한된 지수함수를 적용함으로써 수백 나노미터까지 해석이 가능한 대칭형 이중 게이트 MOSFET 해석적 모델을 연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thesis, in order to a equivalent circuit-analytical study for a symmetric double gate type MOSFET, we slove analytically the 2D Poisson's equation in a a silicon body. To solve the threshold voltage in a symmetric double gate type MOSFET from the derived expression for the surface potenti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SOI형 대칭 DG MOSFET의 문턱전압이 간편한 closed-form으로 도출되는 새로운 해석적 모델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문턱 전압 모델은 2차원 포아송 방정식 풀이를 위해 실리콘 몸체 내의 전위 분포를 채널의 수직한 방향 x에 대해 4차 다항식으로 제안하고, 표면 전위의 최소치가 2ΦB가 되는 조건으로부터 대칭 DG MOSFET에서 closed-form의 간편한 문턱 전압의 해석적 모델을 제안할 수 있었다.
  • 본 논문에서는 채널 두께가 수백 [㎛] 이하로 얇은 SOI형 대칭 DG MOSFET의 채널 내의 전위 분포를 채널에 수직한 방향의 좌표 x에 대해 4차 다항식으로 표현 가능하다고 가정하여 2차원 포아송 방정식을 풀어 보다 정확한 표면 전위의 표현식을 도출하고 이 결과를 이용 하여 closed-form의 간편한 문턱 전압의 모델을 제안하였다.

가설 설정

  • 는 실리콘 몸체에서의 균일한 도핑농도이다. Tsi 가 얇은 thin body 소자인 경우 실리콘 몸체 전체가 공핍되었다고 가정하여 채널 내의 2차원 포아송 방정식을 다음으로 가정 하였다.
  • [8,9] 현재까지 제안 된 모델은 수식의 복잡성과 도출을 위한 과도한 가정으로 closed-form의 문턱 전압이 도출되지 않는 단점을 갖고 있다. 문턱 전압 도출의 또 다른 해석적 모델로는 채널 내의 전위 분포를 채널 수직 방향의 좌표 x에 대해 2차 다항식으로 표현 가능하다고 가정하여 2차원 포아송 방정식을 풀이하는 방법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채널 효과가 MOSFET의 회로 해석을 어렵게 만드는 이유는 무엇인가? 단채널 효과(Short Channel Effect : SCE)는 MOSFET의 누설전류 증가, 드레인 전압 증가에 따른 문턱전압의 감소 및 문턱전압의 기울기 저하 등을 발생시킴으로 MOSFET의 회로 해석을 어렵게 만든다.[1,2,3,4] 집적회로에 사용되는 소자들의 스케일 다운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SCE를 줄이는 방법으로 기판의 도핑 농도를 높이는 방법을 이용하지만 이동도의 저하 및 드레인 전압에 따른 빠른 절연파괴점의 발생으로 도핑 농도를 높이지 않고도 SCE를 줄일 수 있는 SOI(Silicon On Insulator)형 이중 게이트(Double Gate : DG) MOSFET 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
문턱 전압 도출의 또 다른 해석적 모델로는 채널 내의 전위 분포를 채널 수직 방향의 좌표 x에 대해 2차 다항식으로 표현 가능하다고 가정하여 2차원 포아송 방정식을 풀이하는 방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문턱 전압 도출의 또 다른 해석적 모델로는 채널 내의 전위 분포를 채널 수직 방향의 좌표 x에 대해 2차 다항식으로 표현 가능하다고 가정하여 2차원 포아송 방정식을 풀이하는 방법이 있다.[10,11] 그러나 채널 내의 전위 분포를 채널에 수직한 방향의 좌표 x 에 대해 2차식으로 단순하게 표현할 수 있다고 가정함으로서 무리한 해석을 야기 시킨다.[12,13] 특히 단 채널 해석의 경우 모델의 정확성이 떨어지게 된다.
대칭 및 비대칭 DG MOSFET의 특징은 무엇인가? [1,2,3,4] 집적회로에 사용되는 소자들의 스케일 다운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SCE를 줄이는 방법으로 기판의 도핑 농도를 높이는 방법을 이용하지만 이동도의 저하 및 드레인 전압에 따른 빠른 절연파괴점의 발생으로 도핑 농도를 높이지 않고도 SCE를 줄일 수 있는 SOI(Silicon On Insulator)형 이중 게이트(Double Gate : DG) MOSFET 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5,6] 대칭 및 비대칭 DG MOSFET 이 기존의 planar형 MOSFET에 비해 스위칭 동작이 향상되고 저전압에서도 전류 수송 능력이 향상되며 누설전류가 감소하는 등 SCE를 감소시켜 소자 특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보고 된 바 있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S. P. Sinha, A. Zaleski, D. E. Ioannou, "Investigation of carrier generation in fully depleted enhancement and accumulation mode SOI MOSFET's," IEEE Trans. Electron Devices, vol. 42, no. 12, pp. 2413 - 2416, Dec. 1994. 

  2. Ni. Pei, Weiping A. V. Kammula, B. A. Minch, E. C. Kan, "A physical compact model of DG MOSFET for mixed-signal circuit applications-part I : model description," IEEE Trans. Electron Devices, vol. 51, no. 12, pp. 2135 - 2143, Dec. 2004. 

  3. Weimin Zhang, Fossum, J. G, Mathew, L, Yang Du, "Physical insights regarding design and performance of independent-gate FinFETs," IEEE Trans. Electron Devices, vol. 52, no. 10, pp. 2198 - 2206, Oct. 2005. 

  4. K. K. Young, "Short-channel effect in fully depleted SOI MOSFETs," IEEE Trans. Electron Devices, vol. 36, no. 2, pp. 399 - 402, Feb. 1989. 

  5. Y. Omura, "A simple model for short-channel effects of a buried-channel MOSFET on the buried insulator," IEEE Trans. Electron Devices, vol. 29, no. 11, pp. 1749-1755, Nov. 1982. 

  6. A. Dasgupta, S. K. Lahiri, "A two-dimensional analytical model of threshold voltages of short-channel MOSFETs with Gaussian-doped channels," IEEE Trans. Electron Devices, vol. 35, no. 3, pp. 390-392, Mar. 1988. 

  7. Yu Tian, Ru Huang, Xing Zhang, Yangyuan Wang, "A novel nanoscaled device concept: quasi-SOI MOSFET to eliminate the potential weaknesses of UTB SOI MOSFET," IEEE Trans. Electron Devices, vol. 52, no. 4, pp. 561 - 568, Apr. 2005. 

  8. T. J. Cunningham, R. C. Gee, E. R. Fossum, S. M. Baier, "Deep cryogenic noise and electrical characterization of the complementary hetero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 (CHFET)," IEEE Trans. Electron Device Letters, vol. 41, no. 6, pp. 888-894, Nov. 1994. 

  9. K. W. Terrill, C. U. Hu, P. K. Ko, "An Analytical Model for the Channel Electric Field in MOSFET's with Graded-Drain Structures," IEEE Trans. Electron Device Letters, vol. 5, no. 11, pp. 440-442, Nov. 1984. 

  10. Ge. Lixin, J. G. Fossum, "Analytical modeling of quantization and volume inversion in thin Si-film DG MOSFETs," IEEE Trans. Electron Devices, vol. 49, no. 2, pp. 287 - 294, Feb. 2002. 

  11. K. N. Ratnakumer, J. D. Meindle, "Short-channel MOST threshold Voltage Model," IEEE J. of Solid-state Circuits, vol. SC-17, pp. 937-947, Oct. 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