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찰관의 심리적 탈진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sychological Burnou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Police Offic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7, 2010년, pp.337 - 343  

신성원 (대구한의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찰직은 특별히 스트레스가 많은 직업으로 여겨진다.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경찰관들의 심혈관 및 위장장애 발생율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왔고, 이혼율은 평균의 2배이며, 자살율은 2-6배에 이른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찰관의 스트레스 증상 중 하나인 심리적 탈진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회귀분석에서는 심리적 탈진과 직무만족 및 의직의도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으나, 그 설명력은 낮았다.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심리적 탈진과 직무만족은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심리적 탈진과 이직의도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한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상호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심리적 탈진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낮고, 이직의도는 높으며, 심리적 탈진 정도가 낮을수록 직무만족은 높고, 이직의도는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직무만족이 높으면 이직의도가 낮고, 반대로 직무만족이 낮으면 이직의도가 높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icing is regarded as a stressful occupation. Police Officers have been reported to have increased rates of cardiovascular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s, divorce rates twice the average, and suicide rates two to six times the averag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psycholog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찰관의 스트레스 증상 중 하나인 심리적 탈진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 이상으로 우리나라 경찰관의 심리적 탈진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회귀분석에서는 심리적 탈진과 직무만족 및 의직의도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만족이란 무엇인가? 직무만족이란 조직구성원이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직무와 관련하여 갖게 되는 직무에 대한 태도, 신념, 욕구, 가치 등의 수준이나 차원에 따라 자신의 직무경험을 평가하여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정서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6].
이직은 이직에 대한 의사결정의 주체 내지 근로자의 의사 반영여부에 따라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먼저 발생형태별 이직을 살펴보면, 이직은 이직에 대한 의사결정의 주체 내지 근로자의 의사 반영여부에 따라 자발적 이직과 비자발적 이직으로 나누어지는데, 자발적 이직은 임금, 근무조건, 감독, 부양가족, 임신 등의 사유로 이직에 대한 의사결정의 주체가 조직구성원 자신인 경우를 의미하며, 비자발적 이직은 해고, 강제퇴직, 일시해고, 질병, 사망 등의 이유로 이직에 대한 의사결정의 주체가 조직이나 기타 환경요인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우를 의미한다[16].
탈진을 겪는 사람들은 어떠한 육체적·정신적 질환을 경험하는가? 즉, 탈진을 겪는 사람들은 여러 가지 육체적·정신적 질환을 경험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피로, 근심, 우울증, 신체적 장해, 불면증, 무기력 증세 등을 겪는다고 한다. 둘째, 스트레스와 탈진은 이들이 소속한 조직체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 M. Liberman, S. R. Best, T. J. Metzler, J. A. Fagan, D. S. Weiss, and C. R. Marmar, "Routine occupational str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police," Policing : An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e Strategies & Management, Vol.25, No.2, pp.421-439, 2002. 

  2. 권영주, “개인특성의 직무스트레스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교사들의 심리적 탈진을 중심으로”, 영남지역발전연구, 제33집, 영남대학교 지역발전연구소, pp.200-201, 2004. 

  3. 한상암, 신성원, “우리나라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탈진이 음주 및 흡연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7호, p.196, 2008. 

  4. 김병섭,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탈진 원인분석”, 한국행정학보, 제29권, 제2호, pp.130-131, 1995. 

  5. 김병섭,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탈진 원인분석”, 한국행정학보, 제29권, 제2호, pp.449-450, 1995. 

  6. 신성원, “경찰관의 폭력피해경험이 탈진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제12권, 제1호, pp.124-125, 2010. 

  7. 이상원, “경찰관서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7호, pp.261-288, 2004. 

  8. 서규하,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관한 실태분석과 평가”,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6호, pp.295-324, 1997. 

  9. 김보환,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비간부 경찰관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1호, pp.39-69, 2001. 

  10. 이상원, “경찰관의 개인적 특성 및 교육훈련과 직무만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초급간부 경사.경위 경찰관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4호, pp.135-157, 2002. 

  11. 김구,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치안센터 민원담당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6권, 제3호, pp.59-87, 2005. 

  12. 신성원, “경찰관의 폭력피해경험이 탈진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제12권, 제1호, pp.126-127, 2010. 

  13. 박영진, 안황권, 왕석원,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경호경비연구, 제12호, p.181, 2006. 

  14. 이환범, 이수창,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보, 제3권, 제2호, p.88, 2006. 

  15. 김형섭,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관광연구, 제19권, 제3호, 2005. 

  16. 이환범, 이수창,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보, 제3권, 제2호, p.89, 2006. 

  17. 박영진, 안황권, 왕석원,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경호경비연구, 제12호, p.182, 2006. 

  18. 박성수,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가 이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3호, p.114, 2002. 

  19. C. Maslach, S. E. Jackson,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2nd ed.), Palo Alto, CA :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986. 

  20. 김병섭,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탈진”, 한국행정연구, 제3권, 제4호, pp.129-152, 1994. 

  21. M. Davison, C. Cooper, Stress and Woman Manager, Oxford, Martin Robert Son & Company LTd., 1983. 

  22. 고려대학교 부설 행동과학연구소 편, 심리척도핸드북, 학지사, pp.563-564, 2000. 

  23. S. P. Brown and R. A. Peters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lesperson Job Satisfaction : Meta-Analysis and Assessment of Causal Effe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No.30, 1993. 

  24. 천순덕,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상사-부하 교환관계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