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찰관서 규모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lice Department Size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Police Offic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2, 2015년, pp.233 - 241  

신성원 (대구한의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경찰의 조직적 특성 중 경찰관서의 규모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경찰관서 규모에 따른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변수는 관서규모와 급지, 종속변수는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로 구성하여 일원변량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서규모와 급지 둘 다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관서규모에 따른 직무만족 수준에서는 경찰관이 근무하는 관서규모가 작을수록 직무 만족의 수준이 낮고, 관서규모가 클수록 직무만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서규모에 따른 이직의도 수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아니나 경찰서 지구대 근무자 보다는 지방청 근무자의 이직의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급지에 따른 직무만족 수준에서는 상급지 경찰서에 근무할수록 직무만족의 수준이 낮고 하급지 경찰서에 근무할수록 직무만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급지에 따른 이직의도 수준에서는 상급지 경찰서에 근무할수록 이직의도의 수준이 높고 하급지 경찰서에 근무할수록 이직의도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 examine whether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exist with regard to the police department size. To accomplish this, a 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One-way ANOVA) was conducted. As a result, a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job satisf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경찰관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를 구체적으로 고찰하기로 한다. 세부적으로는 경찰의 조직적 특성 중 경찰관서의 규모에 따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보기로 한다.
  • 이 연구는 경찰의 조직적 특성 중 경찰관서의 규모에 따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수준을 비교·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 이 연구에서는 경찰의 조직적 특성 중 경찰관서의 규모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이 연구는 경찰의 조직적 특성 중 경찰관서의 규모에 따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수준을 비교·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서 경찰관서 규모에 따른 경찰관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세부적으로는 경찰의 조직적 특성 중 경찰관서의 규모에 따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서 경찰관서 규모에 따른 경찰관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Ⅰ : 경찰관서 규모에 따라 경찰관의 직무만족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연구가설 Ⅱ : 경찰관서 규모에 따라 경찰관의 이직의도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연구가설 Ⅲ : 경찰서 급지에 따라 경찰관의 직무만족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연구가설 Ⅳ : 경찰서 급지에 따라 경찰관의 이직의도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만족이란? 직무만족이란 조직구성원이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직무와 관련하여 갖게 되는 직무에 대한 태도, 신념, 욕구, 가치 등의 수준이나 차원에 따라 자신의 직무경험을 평가하여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정서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3].
경찰청에서 발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경찰관의 직무만족 수준은 다른 조직에 비해 어떠하다고 말할 수 있는가? 이 자료만 보면 경찰관의 직무만족 수준은 민간분야를 비롯한 타 조직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높은 수준인 것이다. 이 결과가 사실이라면 경찰 조직은 물론 국민을 위해서도 매우 고무적인 것이겠으나, 경찰관의 직무만족도가 단 한해도 감소하지 않고 가파르게 상승하였으며, 동 기간에 대부분의 조사에서 타 조직은 50점 전후의 직무만족 수준이 나타났는데 유독 경찰 조직만 높은 상승 끝에 70%를 상회하는 직무만족도가 나타났다는 사실은 연구자로서 그 결과를 그대로 수용하고 해석하기에 의문의 여지가 많을 수밖에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연합뉴스, 2013년 8월 20일자. 

  2. 경찰청 보도자료, 2011년 11월 16일자. 

  3. 신성원, "경찰관의 폭력피해경험이 탈진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제12권, 제1호, pp.124-125, 2010. 

  4. 이상원, "경찰관서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7호, pp.261-288, 2004. 

  5. 서규하,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관한 실태분석과 평가",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6호, pp.295-324, 1997. 

  6. 김보환,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비간부 경찰관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1호, pp.39-69, 2001. 

  7. 이상원, "경찰관의 개인적 특성 및 교육훈련과 직무만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초급간부 경사.경위 경찰관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4호, pp.135-157, 2002. 

  8. 김구,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치안센터 민원 담당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6권, 제3호, pp.59-87, 2005. 

  9. 신성원, "경찰관의 폭력피해경험이 탈진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제12권, 제1호, pp.126-127, 2010. 

  10. 박영진, 안황권, 왕석원,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경호경비연구, 제12호, p.181, 2006. 

  11. 이환범, 이수창,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보, 제3권, 제2호, p.88, 2006. 

  12. 김형섭,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관광연구, 제19권, 제3호, 2005. 

  13. 이환범, 이수창,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보, 제3권, 제2호, p.89, 2006. 

  14. 박영진, 안황권, 왕석원,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경호경비연구, 제12호, p.182, 2006. 

  15. 박성수,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가 이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3호, p.114, 2002. 

  16. 신성원, "경찰관의 심리적 탈진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7호, pp.338-340, 2010. 

  17. M. K. Brown, Working the Street: Police Discretion and the Dilemmas of Reform, Russell Sage Foundation, Troy, NY, 1981. 

  18. E. Bittner, The Functions of Police in Modern Society, National Institutes of Mental Health, Rockville, MD, 1970. 

  19. M. Banton, The Policeman in the Community, Basic Books, New York, NY, 1964. 

  20. J. P. Crank and M. Caldero, "The production of occupational stress in medium-sized police agencies: a survey of line officers in eight municipal departments," Journal of Criminal Justice, Vol.10, pp.339-349, 1991. 

  21. E. Ostrom, R. Parks, and G. Whitaker, "The Police Services Study," Bloomington, Workshop in Political Theory and Policy Analysis, Indiana University, 1977. 

  22. L. Gaines, M. Southerland, and J. Angell, Police Administration, McGraw-Hill, New Work, NY, 1991. 

  23. S. White and K. Marino, "Job attitudes and police stress: an exploratory study of causation," Journal of Police Science and Administration, Vol.11, No.3, pp.264-274, 1983. 

  24. C. D. Spielberger, L. G. Westbury, K. S. Grier, and G. Greenfield, The Police Stress Survey, Human Resources Institute, Monograph Series Three: No.6, University of South Florida, Tampa, FL, 1981. 

  25. R. Regoli, J. Crank, and R. Culbertson, "Police cynicism, job satisfaction and work relations of police chiefs: an assessment of the influence of department size," Sociological Focus, Vol.22, No.3, pp.161-171, 1989. 

  26. M. Morash and R. Haarr, "Gender, workplace problems and stress in policing," Justice Quarterly, Vol.12, pp.113-140, 1995. 

  27. M. Reiser, "Some organizational stresses on policemen," Journal of Police Sciences and Administration, Vol.2, No.2, pp.277-290, 1974. 

  28. E. D. Poole, R. M. Regoli, and R. Lotz, "Linkages between professionalism, work alienation and cynicism in large and small departments," Social Science Quarterly, Vol.59, No.3, pp.525-534, 1978. 

  29. L. W. Brooks and N. L. Piquero, "Police stress: does department size matter?," Policin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e Strategies & Management, Vol.21, No.4, pp.600-617, 1998. 

  30. 신성원, "경찰관서 규모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 비교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464-465, 2013. 

  31. M. Davison and C. Cooper, Stress and Woman Manager, Oxford, Martin Robert Son & Company LTd., 1983. 

  32. 고려대학교 부설 행동과학연구소 편, 심리척도 핸드북, 학지사, pp.563-564, 2000. 

  33. S. P. Brown and R. A. Peters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lesperson Job Satisfaction : Meta-Analysis and Assessment of Causal Effe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No.30, 1993. 

  34. 천순덕,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상사-부하 교환관계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