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텔직원의 인구통계적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 서울지역 특급호텔을 중심으로
Recognition for Self-efficacy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Hotel Staffs; Deluxe Hotels in Seoul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6, 2010년, pp.450 - 459  

김재곤 (원광보건대학 호텔관광과) ,  김연선 (원광보건대학 호텔관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특급호텔 직원이 지각하는 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과제는, 첫째, 서울지역의 특1급 호텔과 특2급 호텔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인지하고 있는 자기효능감을 측정한다. 둘째, 측정된 자기효능감은 본 연구를 위해 요인분석 한다. 셋째, 특1급 호텔과 특2급 호텔 직원들 간의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연구한다. 넷째, 근무하고 있는 호텔직원들의 각각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한다. 본 연구를 위해 모집단은 서울 지역 특급호텔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400부를 배포하여 총 352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1급 호텔과 특2급 호텔 직원들의 자기효능감의 인식은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인구통계적 특성 중 결혼유무, 전공학과, 학력, 재직기간 그리고 소득수준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fference of the recognition for self-efficacy which staffs of deluxe hotel. This study aimed at: The first, I measure recognizing for self-efficacy which staffs at the first grade Hotel and the second grade hotel. The second, self-efficacy is factor analyzes for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도 특급호텔에 근무하는 직원들이 인지하는 자기효능감을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여 호텔직원의 자기효능감을 높임으로 직무만족을 높이고자한다. 또한 고객만족 서비스를 통하여 충성도 있는 고객을 확보하고 단골고객을 창출하여 호텔 측에 더 많은 이익을 올릴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 궁극적으로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실무적인 시사점 도출과 함께, 자기효능감의 선행연구를 통해 호텔직원들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하며, 높은 자기효능감의 고취를 통해 본인의 업무 만족을 이끌고 한 단계 격상된 고객만족 경영을 실현하고자 한다. 더불어 호텔산업 전반에 걸쳐 자기효능감을 적용하고자 하는 의미 있는 연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 첫째, 서울 지역의 특 1급 호텔과 특 2급 호텔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본인이 인지하고 있는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여, 연구의 목적에 부합 하도록 요인분석 한다. 둘째, 특 1급 호텔과 특 2급 호텔 직원들 간의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연구한다. 셋째, 근무하고 있는 호텔직원들의 각각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특급호텔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의 인식을 연구하고자하며, 다음과 같은 세부 과제를 둔다. 첫째, 서울 지역의 특 1급 호텔과 특 2급 호텔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본인이 인지하고 있는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여, 연구의 목적에 부합 하도록 요인분석 한다.
  •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도 특급호텔에 근무하는 직원들이 인지하는 자기효능감을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여 호텔직원의 자기효능감을 높임으로 직무만족을 높이고자한다. 또한 고객만족 서비스를 통하여 충성도 있는 고객을 확보하고 단골고객을 창출하여 호텔 측에 더 많은 이익을 올릴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특급호텔 직원들을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는 자기효능감을 호텔의 등급 간 그리고 직원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후속연구자들을 위한 연구자료 제공 및 호텔업계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둘째, 특 1급 호텔과 특 2급 호텔 직원들 간의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연구한다. 셋째, 근무하고 있는 호텔직원들의 각각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한다.
  •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특급호텔 직원들을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는 자기효능감을 호텔의 등급 간 그리고 직원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후속연구자들을 위한 연구자료 제공 및 호텔업계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특 1급 호텔 직원과 특 2급 호텔 직원간의 자기효능감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H2: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둘째, 특 1급 호텔 직원과 특 2급 호텔 직원간의 자기효능감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해서 t-test를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에서 특 2급 호텔에 근무하는 직원이 특 1급 호텔에 근무하는 직원들보다 자기효능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 셋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해서 t-test와 ANOVA 분석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 H1: 특 1급 호텔 직원과 특 2급 호텔 직원간의 자기효능감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객만족을 위해 중요한 것은? 고객만족을 위해서는 서비스하는 직원의 능력이 중요하며, 호텔업계에 근무하는 직원들에게 꼭 필요한 능력이 자기효능감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호텔업계에 적용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자기효능감이 높은 직원이 낮은 직원 보다 더 좋은 성과를 달성한다고 하였다[3].
자기효능감은?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은 Bandura[1]에 의해 처음으로 주장된 이론이며 그의 정의에 따르면 “업무수행을 위한 행동을 수행하고자 할 때 겪게 되는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 스스로 행동을 잘 조직하고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은 조직에 있어서의 개인적인 업무수행과도 직결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으므로, 호텔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높은 자기효능감은 필수적이라 판단된다.
서울지역 특급호텔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의 인식을 연구하며 설정한 세 가지 세부과제는?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특급호텔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의 인식을 연구하고자하며, 다음과 같은 세부 과제를 둔다. 첫째, 서울 지역의 특 1급 호텔과 특 2급 호텔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본인이 인지하고 있는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여, 연구의 목적에 부합 하도록 요인분석 한다. 둘째, 특 1급 호텔과 특 2급 호텔 직원들 간의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연구한다. 셋째, 근무하고 있는 호텔직원들의 각각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2, No.2, pp.191-215, 1977. 

  2.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and R. W. Rogers,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51, pp.663-671, 1982. 

  3. M. E. Gist and T. R. Mitchell, “Self-Efficacy: A Theoretical Analysis of Its Determinants and Malleabil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7, pp.183-211, 1992. 

  4. P. C. Earley and T. R. Lituchy, “Delineating Goals and Efficacy Effects: A Test of Three Model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8, pp.81-98, 1991. 

  5. A. Bandur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Vol.37, No.2, pp.122-147, 1982. 

  6. A. Bandur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Vol.37, No.1, pp.122-125, 1986. 

  7. D. G. Gardner and J. L. Pierc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ith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Group and Organization Management, Vol.23, pp.48-70, 1998. 

  8. S. V. Owen and R. D. Froman, “Uses and Abuses of the Analysis of Covarianc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21, No.6, pp.557-562, 1998. 

  9. M. S. Taylor, E. A. Locke, C. Lee, and M. E. Gist. “Type a Behavior and Paculty Research Productivity: What are the Mechanism?,”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34, pp.402-418, 1984. 

  10. D. Eden and J. Kinnar, “Modeling Galarea: Boosting Self-Efficacy to Increase Volunteer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6, pp.770-780, 1991. 

  11. D. Eden and A. Aviram, “Self-Efficacy Training to Speed Reemployment: Helping People to Help Themselv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8, pp.352-360, 1993. 

  12. G. E. Prussia, J. S. Anderson, and C. C. Manz,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 Outcomes; The Mediat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9, pp.523-538, 1998. 

  13. 오미진, 김성일, “자기효능감, 과제 선택범위 및 경쟁이 과제흥미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제21권, 제3호, pp.573-589, 2007. 

  14. 이현림, 손종하, 김성자, 김순미, “진로탐색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유형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직업교육연구, 제26권, 제1호, pp.46-62, 2007. 

  15. 박혜숙, 전명남,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살펴 본 중학생의 국어, 영어, 수학 교과 학습성취에 미치는 학생, 교사 및 학교특성의 예측력”, 교육심리연구, 제21권, 제1호, pp.145-168, 2007. 

  16. 장우귀, 김의철, 박영신,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502-503, 2007. 

  17. 유재충, “실천명상 수련참가 직장인의 자기효능감과 조직효과성간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29권, pp.795-814, 2007. 

  18. 이희주, “교사의 목표 지향과 자기효능감, 도움 요청 행동과의 관계”, 아동교육, 제17권, 제1호, pp.215-224, 2008. 

  19. 송지준, “호텔 종사원의 자기효능감, 심리적 계약위반, 결과변수간의 구조적 관계”, 관광학연구, 제29권, 제2호, pp.149-171, 2005. 

  20. 이재형, 윤진영, 조은아, “여성의 스포츠여가활동을 통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6호, pp.379-389, 2009. 

  21. 박경호, “호텔종사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연구, 제23권, 제3호, pp.279-298, 2008. 

  22. 김세리, “외식산업 종사원의 자기효능감, 자기존중감과 소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12호, pp.145-156, 2007. 

  23. G. Chen, M. S. Gully, and D. Eden, “Validation of a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Vol.4, No.1, pp.62-83, 2001. 

  24. 오인수, “일반적 자기효능감: 개념, 측정관련 이슈와 인적자원관리 측면의 시사점”, 한국심리학회지, 제15권, 제3호, pp.49-72,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