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전향적 종적 연구의 목적은 임상적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정의된 각각의 선천성 근성 사경군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도수 신장치료와 치료적 마사지를 적용하였을 때 경부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회복율을 알아보는 것이다. 생후 1년 미만에 발현하여 보존적 물리치료를 시작한 총 52명의 선천성 근성 사경 환아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전, 모든 환아는 다음 세 가지 군으로 분류하였다: (1)종괴군, (2)근성 사경군, (3)체위성 사경군. 총 52명의 환아 중 종괴군이 32명(61.5%); 근성 사경군이 15명(28.9%); 그 외 체위성 사경군이 5명(9.6%)이었다. 다변량 분석 결과를 통해 치료 기간은 종괴성 사경군이 유의하게 길었고(p<0.01), 발현 연령은 종괴성 사경군 $1.65{\pm}1.31$ 개월로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빨랐다(p<0.01), 경부회전 제한에 따라 제한이 클수록 유의하게 회복율의 저하를 보였다(p<0.01). 본 연구의 결과 잘 숙련된 치료사에 의해 시행된 보존적 물리치료는 사경의 치료에 안전하며, 특히 생후 1년 미만에 발현된 선천성 근성 사경 환아의 84.6%에서 좋은 회복율을 보였다.
본 전향적 종적 연구의 목적은 임상적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정의된 각각의 선천성 근성 사경군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도수 신장치료와 치료적 마사지를 적용하였을 때 경부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회복율을 알아보는 것이다. 생후 1년 미만에 발현하여 보존적 물리치료를 시작한 총 52명의 선천성 근성 사경 환아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전, 모든 환아는 다음 세 가지 군으로 분류하였다: (1)종괴군, (2)근성 사경군, (3)체위성 사경군. 총 52명의 환아 중 종괴군이 32명(61.5%); 근성 사경군이 15명(28.9%); 그 외 체위성 사경군이 5명(9.6%)이었다. 다변량 분석 결과를 통해 치료 기간은 종괴성 사경군이 유의하게 길었고(p<0.01), 발현 연령은 종괴성 사경군 $1.65{\pm}1.31$ 개월로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빨랐다(p<0.01), 경부회전 제한에 따라 제한이 클수록 유의하게 회복율의 저하를 보였다(p<0.01). 본 연구의 결과 잘 숙련된 치료사에 의해 시행된 보존적 물리치료는 사경의 치료에 안전하며, 특히 생후 1년 미만에 발현된 선천성 근성 사경 환아의 84.6%에서 좋은 회복율을 보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was to evaluate, according to a standard clinical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method, the effect of a standardized manual stretching and therapeutic massage program on patients with clearly defined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 total of ...
The main purpose of this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was to evaluate, according to a standard clinical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method, the effect of a standardized manual stretching and therapeutic massage program on patients with clearly defined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 total of 52 cases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who were first seen when they were less than one year old and were treated with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Before treatment,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one of three clinical groups: (1) sternomastoid tumor group, (2) muscular torticollis group, and (3) postural torticollis group. Of the 52 patients, 32 (61.5%) made up the sternomastoid tumor group; 15 (28.9%) the muscular torticollis group; and 5 (9.6%) the postural torticollis group.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outcomes showed that the duration of treat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linical group (p<0.01), age at presentation (p<0.01), and a passive rotation deficit of the neck (p<0.01).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well controlled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is safe and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congenital torticollis in about 84.6% of patients who are first seen before the age of one year.
The main purpose of this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was to evaluate, according to a standard clinical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method, the effect of a standardized manual stretching and therapeutic massage program on patients with clearly defined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 total of 52 cases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who were first seen when they were less than one year old and were treated with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Before treatment,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one of three clinical groups: (1) sternomastoid tumor group, (2) muscular torticollis group, and (3) postural torticollis group. Of the 52 patients, 32 (61.5%) made up the sternomastoid tumor group; 15 (28.9%) the muscular torticollis group; and 5 (9.6%) the postural torticollis group.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outcomes showed that the duration of treat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linical group (p<0.01), age at presentation (p<0.01), and a passive rotation deficit of the neck (p<0.01).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well controlled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is safe and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congenital torticollis in about 84.6% of patients who are first seen before the age of one yea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또한 선천성 근성 사경을 세 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그 유형에 따라 치료적 마사지와 도수신장 치료가 환아의 경부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예후 등을 알아보는 연구는 아직까지 국내 물리치료학 분야에서 활발하지 않고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근성 사경 환아를 초음파 검사와 임상양상에 따라 종괴성 사경군, 근성 사경군, 체위성 사경군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보존적 물리치료로 알려진 치료적 마사지(therapeutic massage)와 도수 신장 치료를 함께 적용하였을 때 각 유형에 따른 경부 특성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가설은 '사경군의 유형에 따라 보존적 물리치료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며, 특히 종괴의 유무와 근 긴장도의 정도에 따라 물리치료 효과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로 정하였다.
본 연구는 선천성 근성 사경을 임상 양상에 따라 세분화한 후 보존적 물리치료를 적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임상 양상 이외에 난산, 둔위분만 같은 분만력 등의 다른 예후 인자들이 혼란변수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많은 사경 환아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변수들까지 고려하여 각 그룹에서의 치료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가설 설정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가설은 '사경군의 유형에 따라 보존적 물리치료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며, 특히 종괴의 유무와 근 긴장도의 정도에 따라 물리치료 효과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로 정하였다.
제안 방법
본 연구는 선천성 근성 사경으로 진단 받은 환아들에 대해 연구 시작일로부터 초음파 검사, 이학적 검사를 포함하는 사경 평가 도구 등 각종 검사 자료와 성별, 진단 시 연령, 병변측(lesion side) 등의 일반적인 의학적 특성을 수집하여 임상양상별로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세 군을 대상으로 동일한 보존적 물리치료를 시행하였고, 사경 종합 평가표를 이용하여 물리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천성 근성 사경으로 진단 받은 환아들에 대해 연구 시작일로부터 초음파 검사, 이학적 검사를 포함하는 사경 평가 도구 등 각종 검사 자료와 성별, 진단 시 연령, 병변측(lesion side) 등의 일반적인 의학적 특성을 수집하여 임상양상별로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세 군을 대상으로 동일한 보존적 물리치료를 시행하였고, 사경 종합 평가표를 이용하여 물리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초음파 검사는 모델명 128XP/10(ACUSON Co., Mountain View, California, U.S.A.)으로 7 ㎒, 5.5 ㎝ transducer를 사용하였으며, 이 장비를 통해 종괴의 유무, 위치, 크기 등을 조사하였다. 초음파 소견을 바탕으로 종괴가 관찰되면 종괴성 사경군, 종괴는 관찰되지 않으나 흉쇄유돌근의 두께 증가가 관찰되면 근성 사경군, 초음파 소견이 정상이면서 그 외의 임상양상을 보이는 경우는 체위성 사경군으로 각각 분류하였다.
5 ㎝ transducer를 사용하였으며, 이 장비를 통해 종괴의 유무, 위치, 크기 등을 조사하였다. 초음파 소견을 바탕으로 종괴가 관찰되면 종괴성 사경군, 종괴는 관찰되지 않으나 흉쇄유돌근의 두께 증가가 관찰되면 근성 사경군, 초음파 소견이 정상이면서 그 외의 임상양상을 보이는 경우는 체위성 사경군으로 각각 분류하였다.
사경에 대한 물리치료는 도수 신장 치료와 치료적 마사지를 하루 20분, 주 5회 시행하였으며, 임상경험 8년 이상의 숙련된 치료사 1인에 의해 적용되었다. 병변측 흉쇄유돌근에 대한 도수 신장 치료는 경부 회전(neck rotation)과 외측 굽힘(lateral bending)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동작에 대해 15회 도수 신장을 3회 반복하여 시행하였다.
사경에 대한 물리치료는 도수 신장 치료와 치료적 마사지를 하루 20분, 주 5회 시행하였으며, 임상경험 8년 이상의 숙련된 치료사 1인에 의해 적용되었다. 병변측 흉쇄유돌근에 대한 도수 신장 치료는 경부 회전(neck rotation)과 외측 굽힘(lateral bending)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동작에 대해 15회 도수 신장을 3회 반복하여 시행하였다. 도수 신장은 각 치료 동작마다 경부 가동 범위의 끝부분에서 약 1초가량 부드러운 힘(gentle force)을 가하여 긴장된 근육의 신장을 유도하였다.
병변측 흉쇄유돌근에 대한 도수 신장 치료는 경부 회전(neck rotation)과 외측 굽힘(lateral bending)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동작에 대해 15회 도수 신장을 3회 반복하여 시행하였다. 도수 신장은 각 치료 동작마다 경부 가동 범위의 끝부분에서 약 1초가량 부드러운 힘(gentle force)을 가하여 긴장된 근육의 신장을 유도하였다. 치료적 마사지는 근육의 신장을 돕고 병변 부위의 혈류를 개선하기 위해 시행하였으며, 병변측 흉쇄유돌근에 마사지 오일을 바르고 각 도수 신장 전후에 가벼운 스트로크(feather stroking)를 2-3회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도수 신장은 각 치료 동작마다 경부 가동 범위의 끝부분에서 약 1초가량 부드러운 힘(gentle force)을 가하여 긴장된 근육의 신장을 유도하였다. 치료적 마사지는 근육의 신장을 돕고 병변 부위의 혈류를 개선하기 위해 시행하였으며, 병변측 흉쇄유돌근에 마사지 오일을 바르고 각 도수 신장 전후에 가벼운 스트로크(feather stroking)를 2-3회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그들은 흉쇄유돌근에 단단히 뭉쳐진 덩어리가 촉진되면 종괴성, 흉쇄유돌근의 뻗뻗함(tightness) 혹은 약간의 두께 증가가 나타나면 근성, 명확한 병리적 소견이 없이 사경의 임상 양상이 보이면 체위성으로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초음파 검사와이학적 검사상의 소견에 따라 선천성 근성 사경을 세군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 괴성이 32명(61.
본 연구는 선천성 근성 사경을 세 군으로 나누어 6개월간 보존적 물리치료를 적용하였으며 6개월 치료 후 완전 회복과 불완전 회복으로 분류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체위성 사경군은 5명 모두에서 완전 회복되었고, 근성 사경군은 15명 중 14명이, 종괴성 사경 군의 경우 32명 중 19명이 회복되어 종괴성 사경군에서 완전 회복 정도가 낮았다[표 5].
본 연구에서는 처음 병원을 찾아 사경으로 진단 받은 시점을 발현 연령으로 정의하였고, 발현 연령에 따라 1개월 미만, 1~3개월, 3~6개월, 6~12개월의 네 가지군으로 구분하여 보존적 물리치료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발현 연령에 따른 물리치료의 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1개월 미만의 발현 연령에서 완전 회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천성 근성 사경으로 진단 받은 52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초음파 검사와 임상 양상에 따라 사경군을 세분화 하여 6개월 간 치료적 마사지와 도수신장 치료를 적용하였다. 6개월의 치료가 끝난 후 사경 종합 평가표를 통해 중재에 반응하는 각 사경군에서의 경부 특성은 다음과 같다.
대상 데이터
2003년 6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원주기독병원 재활의학과에서 선천성 근성 사경으로 진단 받고 검사와 치료를 실시한 만 12개월 미만 연령의 환아 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만 12개월 이상 연령의 사경 환아는 각각의 사경군에 대한 조기 물리치료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제한이 있어 제외하였다.
만 12개월 이상 연령의 사경 환아는 각각의 사경군에 대한 조기 물리치료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제한이 있어 제외하였다. 선천성 근성 사경의 진단은 흉쇄유돌근의 종괴가 촉진된 경우, 촉진되는 종괴는 없으나 흉쇄유돌근의 긴장이 증가하여 경부의 관절가동범위의 제한이 있고 평소 머리와 목의 정렬에 비대칭을 보이며 안과적 검사와 신경학적 검사가 정상이고 경추 방사선 검사에서 다른 정형외과적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8]. 외상의 과거력이 있거나, 최근에 갑자기 발견되고 진행된 사경 등은 배제하였다.
데이터처리
초음파 소견에 따라 나누어진 각 사경군의 발현 연령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크루스칼-월리스 검정(Kruskal-Wallis test)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은 본페로니 수정법(Bonferroni's correction)을 사용하였다.
초음파 소견에 따라 나누어진 각 사경군의 발현 연령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크루스칼-월리스 검정(Kruskal-Wallis test)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은 본페로니 수정법(Bonferroni's correction)을 사용하였다. 또한, 사경군, 경부 회전 제한, 발현 연령, 그리고 병변측 등의 임상 양상과 회복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17.
성능/효과
치료 결과는 치료 시작 후 6개월을 기준으로 완전회복과 불완전회복으로 나누었으며, 근성 사경군과 체위성 사경군의 경우 완전회복은 사경 종합 평가표에 의해 우수와 양호 결과(12점 이상)를 보인 환아 중 경부의 수동 관절 가동이 전범위에서 가능하고, 회전 제한과 외측 굽힘 제한이 5도 미만일 때로 정하였으며 종괴성 사경군의 경우 근성/체위성 사경군의 회복조건과 함께 종괴가 더 이상 촉진되지 않을 때로 정의하였다.
각 사경군의 발현 연령은 종괴성이 1.65±1.31개월, 근성이 5.22±3.08개월, 체위성이 6.84±2.15개월로 종괴성사경군의 발현이 가장 빨랐으며 체위성 사경군의 발현이 가장 느렸다.
15개월로 종괴성사경군의 발현이 가장 빨랐으며 체위성 사경군의 발현이 가장 느렸다. 사후 검정을 통한 사경군 간의 발현 연령은 종괴성 사경군과 근성 사경군(p<0.0001), 종괴성사경군과 체위성 사경군(p<0.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근성 사경군과 체위성 사경군의 발현연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종괴성 사경군의 경우 3개월 이내 발현 환자가 전체 32명 중 30명(93.
초기 경부 회전 제한이 15° 미만일 때 90.5%의 회복율을 보였고, 발현 연령에서는 1개월 미만에 발현한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100%의 회복율을 보였다.
05)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표 5]. 종괴성 사경군 32명 중 19명이 회복되어 59.4%의 회복율을 보인 반면, 근성 사경군과 체위성 사경군은 6개월간의 보존적 물리치료 후 각각 93.3%와 100%의 높은 회복율을 보였다[표 5]. 초기 경부 회전 제한이 15° 미만일 때 90.
본 연구에서도 초음파 검사와이학적 검사상의 소견에 따라 선천성 근성 사경을 세군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 괴성이 32명(61.5%), 근성이 15명(28.9%), 체위성이 5명(9.6%)로 종괴성 사경의 수가 가장 많았다. Canale 등[2]의 연구에서는 선천성 근성 사경의 1/3이 종괴성 사경이었다고 보고한 반면, Cheng 등[19]은 선천성 근성 사경 1,086명 중 515명(47.
05). 체위성 사경군의 경우 생후 3개월 미만에서의 발현이 한 명도 없었고, 근성 사경군에서도 3개월 미만 발현이 33.4%인데 반해, 종괴성 사경군에서는 3개월 미만 발현이 93.8%로 가장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 이는 경부의 딱딱한 덩어리가 비교적 목의 표면부에 위치하여 종괴의 존재를 출산을 담당했던 의료인과 보호자 등이 빨리 인식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선천성 근성 사경을 세 군으로 나누어 6개월간 보존적 물리치료를 적용하였으며 6개월 치료 후 완전 회복과 불완전 회복으로 분류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체위성 사경군은 5명 모두에서 완전 회복되었고, 근성 사경군은 15명 중 14명이, 종괴성 사경 군의 경우 32명 중 19명이 회복되어 종괴성 사경군에서 완전 회복 정도가 낮았다[표 5].
본 연구에서는 처음 병원을 찾아 사경으로 진단 받은 시점을 발현 연령으로 정의하였고, 발현 연령에 따라 1개월 미만, 1~3개월, 3~6개월, 6~12개월의 네 가지군으로 구분하여 보존적 물리치료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발현 연령에 따른 물리치료의 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1개월 미만의 발현 연령에서 완전 회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경 발현 1개월 이내에 조기 진단하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사경의 완전 회복을 위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1. 선천성 근성 사경의 분류상 종괴성 32명(61.5%), 근성 15명(28.9%), 체위성 5명(9.6%)으로 종괴성이 가장 많았다. 발현 연령에서도 종괴성 1.
2. 진단 후 6개월 동안의 치료적 마사지와 도수신장 치료에 대해 체위성 사경군에서 100%의 완전 회복을 보였고, 근성 사경군에서 86.7%, 종괴성 사경군에서 81.3%의 완전 회복의 결과를 보였다.
3. 초기 이학적 검사 상 경부 회전 가동범위의 15도 이상 제한을 보이는 환아군에 비해 15도 미만의 제한을 보이는 환아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완전 회복률을 나타내었고 발현 연령 1개월 미만 사경군에서 가장 높은 완전 회복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선천성 사경의 진단 후 6개월 동안의 치료적 마사지와 도수신장 치료는 안전하며, 발현 연령이 낮고, 근성, 체위성 사경군에서 종괴성 사경군보다 우수한 치료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후 1개월 미만에서의 조기 치료를 실시하는 것이 좋은 예후를 위해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발현 후 6개월간의 보존적 물리치료에 대한 회복율은 사경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경부 회전 제한(p<0.05), 그리고 발현 연령(p<0.05)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표 5]. 종괴성 사경군 32명 중 19명이 회복되어 59.
후속연구
본 연구는 선천성 근성 사경을 임상 양상에 따라 세분화한 후 보존적 물리치료를 적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임상 양상 이외에 난산, 둔위분만 같은 분만력 등의 다른 예후 인자들이 혼란변수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많은 사경 환아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변수들까지 고려하여 각 그룹에서의 치료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경은 무엇으로 인해 부모들에 의해 발견되나요?
선천성 고관절 탈구 및 내반족에 이어 세 번째로 흔하게 유아에서 발생하는 근골격계 기형인 선천성 근성 사경(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은 목이 한쪽으로 기우는 증상으로 머리는 환측으로 기울어지고 턱은 반대쪽으로 돌아가는 특징을 보이는 질환이다[1]. 사경은 흉쇄유돌근 내의 무통성 종괴(tumor)로 인하여 대개 생후 4주 내에 부모들에 의해 발견되고 생후 수개월내에 소실되는 예후가 좋은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2]. 사경의 발생 빈도는 .
Macdonald는 사경에 대한 분류를 어떻게 나누었나요?
사경에 대한 분류는 그 동안 많은 선행 연구에 의해 보고되었다. Macdonald[11]는 선천성 근성 사경을 흉쇄유돌근의 긴장과 함께 종괴가 만져지는 종괴군(sternomastoid tumor group)과 흉쇄유돌근에 종괴가 없이 근육의 긴장만 증가된 근성 사경군(muscular torticollis group)의 두 군으로 분류하였다. 이외에 다른 한 가지 사경군로 알려진 체위성 사경(postural torticollis)은 흉쇄유돌근에 종괴가 만져지지도 않고 긴장도 느껴지지 않으나 선천성 근성 사경의 임상양상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12].
선천성 근성 사경은 어떤 증상으로 어떤 특징을 보이는 질환인가요?
선천성 고관절 탈구 및 내반족에 이어 세 번째로 흔하게 유아에서 발생하는 근골격계 기형인 선천성 근성 사경(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은 목이 한쪽으로 기우는 증상으로 머리는 환측으로 기울어지고 턱은 반대쪽으로 돌아가는 특징을 보이는 질환이다[1]. 사경은 흉쇄유돌근 내의 무통성 종괴(tumor)로 인하여 대개 생후 4주 내에 부모들에 의해 발견되고 생후 수개월내에 소실되는 예후가 좋은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2].
참고문헌 (25)
H. Binder, G. D. Eng, J. F. Gaiser, and B. Koch,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Results of conservative management with long-term follow-up in 85 cases," Arch Phys Med Rehabil, Vol.68, No.4, pp.222-225, 1987.
S. T. Canale, D. W. Griffin, and C. N. Hubbard,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 long-term follow-up," J Bone Joint Surg Am, Vol.64, No.6, pp.810-816, 1982.
S. Suzuki, T. Yamamuro, and A. Fujita, "The aeti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congenital torticollis and obstetrical paralysis," Int Orthop, Vol.8, No.3, pp.175-181, 1984.
M. B. Coventry and L. E. Harris,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in infancy; some observations regarding treatment," J Bone Joint Surg Am, Vol.41-A, No.5, pp.815-822, 1959.
C. M. Ling and Y. S. Low, "Sternomastoid tumor and muscular torticollis," Clin Orthop Relat Res, Vol.86, pp.144-150, 1972.
J. C. Cheng, M. W. Wong, S. P. Tang, T. M. Chen, S. L. Shum, and E. M. Wong, "Clinical determinants of the outcome of manual stretching in the treatment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in infants. A prospective study of eight hundred and twenty-one cases," J Bone Joint Surg Am, Vol.83-A, No.5, pp.679-687, 2001.
F. A. Chandler, "Muscular torticollis," J Bone Joint Surg Am, Vol.30A, No.3, pp.566-569, 1948.
D. L. Morrison and G. D. MacEwen,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observations regarding clinical findings, associated conditions, and results of treatment," J Pediatr Orthop, Vol.2, No.5, pp.500-505, 1982.
A. McDaniel, B. E. Hirsch, A. D. Kornblut, and V. M. Armbrustmacher, "Torticollis in infancy and adolescence," Ear Nose Throat J, Vol.63, No.10, pp.478-487, 1984.
Y. K. Leung, and P. C. Leung, "The efficacy of manipulative treatment for sternomastoid tumours," J Bone Joint Surg Br, Vol.69, No.3, pp.473-478, 1987.
R. D. Ferkel, G. W. Westin, E. G. Dawson, and W. L. Oppenheim, "Muscular torticollis. A modified surgical approach," J Bone Joint Surg Am, Vol.65, No.7, pp.894-900, 1983.
J. C. Cheng, S. P. Tang, T. M. Chen, M. W. Wong, and E. M. Wong,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outcome of treatment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in infants-a study of 1,086 cases," J Pediatr Surg, Vol.35, No.7, pp.1091-1096, 2000.
J. C. Cheng, S. P. Tang, and T. M. Chen, "Sternocleidomastoid pseudotumor and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in infants: A prospective study of 510 cases," J Pediatr, Vol.134, No.6, pp.712-716, 1999.
R. T. Lidge, R. C. Bechtol, and C. N. Lambert,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Etiology and pathology," J Bone Joint Surg Am, Vol.39-A, No.5, pp.1165-1182, 1957.
T. T. Do,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Current concepts and review of treatment," Curr Opin Pediatr, Vol.18, No.1, pp.26-29, 2006.
P. Nucci, B. J. Kushner, M. Serafino, and N. Orzalesi, "A multi-disciplinary study of the ocular, orthopedic, and neurologic causes of abnormal head postures in children," Am J Ophthalmol, Vol.140, No.1, pp.65-68, 2005.
B. Tatli, N. Aydinli, M. Caliskan, M. Ozmen, F. Bilir, and G. Acar,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Evaluation and classification," Pediatr Neurol, Vol.34, No.1, pp.41-44, 2006.
J. S. Shim, K. C. Noh, and S. J. Park, "Treatment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in patients older than 8 years," J Pediatr Orthop, Vol.24, No.6, pp.683-688, 200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