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논리적 사고력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ponents of Logical Thinking in Problem-solving Process on Informatics Subject원문보기
지금까지의 정보 교과에서의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프로그래밍 학습 결과를 통한 논리적 사고력의 향상에 한정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력의 특성 및 타 교과에서 논리적 사고력의 특성과 달리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논리적 사고력의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먼저,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를 선정하고, 각각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개방형식의 전문가 설문과 연구자 숙의 과정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중등 정보 교과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의 내용요소와 연관성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는 서열화 논리, 명제 논리, 상관 논리, 변인 통제 논리, 조합 논리, 비례 논리이며, 조작적 정의와 정보교과 내용요소를 바탕으로 논리적 사고력 평가문항을 개발하여 그 실효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정보 교과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방법과 평가 방안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정보 교과에서의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프로그래밍 학습 결과를 통한 논리적 사고력의 향상에 한정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력의 특성 및 타 교과에서 논리적 사고력의 특성과 달리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논리적 사고력의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먼저,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를 선정하고, 각각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개방형식의 전문가 설문과 연구자 숙의 과정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중등 정보 교과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의 내용요소와 연관성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는 서열화 논리, 명제 논리, 상관 논리, 변인 통제 논리, 조합 논리, 비례 논리이며, 조작적 정의와 정보교과 내용요소를 바탕으로 논리적 사고력 평가문항을 개발하여 그 실효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정보 교과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방법과 평가 방안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Previous researches on the improvement of logical thinking in Informatics subject have used general logical thinking test and only limited improvement of logical thinking by programming learning result. In this study,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logical thinking in problem-solving process on I...
Previous researches on the improvement of logical thinking in Informatics subject have used general logical thinking test and only limited improvement of logical thinking by programming learning result. In this study,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logical thinking in problem-solving process on Informatics education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logical thinking and the logical thinking of the other subjects. Firstly, we suggested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ponents of logical thinking using the open questionnaire by expert and research team discussion. Also, we sugg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onal definition and contents of the 'problem-solving methods and procedure' section in secondary Informatics subject. Finally, this study developed the evaluation contents based on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ponents of logical thinking. The components of logical thinking which was required in problem-solving process on Informatics subject were ordering reasoning, propositional logic, controlling variables, combinatorial logic, proportional reasoning. We sugg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perational definition and problem-solving process and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in problem-solving process on Informatics subject. This paper will give meaningful insight to supply the guideline of the teaching strategy and evaluation methods for improving the logical thinking in Informatics education.
Previous researches on the improvement of logical thinking in Informatics subject have used general logical thinking test and only limited improvement of logical thinking by programming learning result. In this study,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logical thinking in problem-solving process on Informatics education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logical thinking and the logical thinking of the other subjects. Firstly, we suggested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ponents of logical thinking using the open questionnaire by expert and research team discussion. Also, we sugg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onal definition and contents of the 'problem-solving methods and procedure' section in secondary Informatics subject. Finally, this study developed the evaluation contents based on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ponents of logical thinking. The components of logical thinking which was required in problem-solving process on Informatics subject were ordering reasoning, propositional logic, controlling variables, combinatorial logic, proportional reasoning. We sugg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perational definition and problem-solving process and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in problem-solving process on Informatics subject. This paper will give meaningful insight to supply the guideline of the teaching strategy and evaluation methods for improving the logical thinking in Informatics educa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또한 조작적 정의와 정보 교과 ‘문제해결방법과 절차’ 영역의 내용요소를 바탕으로 논리적 사고력 평가문항을 개발하여 논리적 사고력의 조작적 정의의 실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력이나 특정 교과의 논리적 사고력의 특성과 달리 정보 교과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를 탐색해 보고, 그 조작적 정의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또한 조작적 정의와 정보 교과 ‘문제해결방법과 절차’ 영역의 내용요소를 바탕으로 논리적 사고력 평가문항을 개발하여 논리적 사고력의 조작적 정의의 실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개정된 중등 정보 교육과정의 ‘문제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의 내용요소와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와의 관계성을 고찰해 보았다.
둘째,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나 프로그래밍 학습 과정에 나타나는 논리적 사고력 특성과의 관계보다는 프로그래밍 학습결과와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와의 관계로 접근하여 전반적인 논리적 사고력에 대한 접근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에 대해 탐색해 보고, 그에 따른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이 선정하고 그에 따른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개정된 중등 정보 교육과정의 ‘문제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의 내용요소와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와의 관계성을 고찰해 보았다.
설문지에는 논리적 사고력 구성요소 각각의 정의와 예시문항을 제시하였다. 설문에서 전문가들에게 구성요소의 선정뿐 아니라, 왜 필요한지에 대한 의견을 쓸 수 있도록 의견란을 제시하였다.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는 설문 평균 5.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 요소를 선정하기 위한 선행연구로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를 와 같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 구성 요소의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평가 문항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 예비 검사 문항을 개발해 그 실효성을 알아보았다.
그러나 관련 연구를 통해서 각 교과의 특성에 따라서 적합한 논리적 사고력 구성요소가 모두 다르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논리적 사고력 구성요소와 그에 따른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로는 서열화 논리, 명제 논리, 조합 논리, 비례 논리, 상관 논리, 변인 통제 논리가 선정되었다.
이러한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문항 분석 결과 논리적 사고력 평가 문항(난이도 : .
제안 방법
이는 정보 교과의 전반적인 문제해결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부분에서도 한계가 있다. 둘째, 대부분의 연구들이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나 수학, 과학, 국어 교과와 연관된 내용을 기반으로 하는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그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논리적 사고력은 특정 교과에 따라 그 구성요소와의 상관관계가 차이가 있으므로, 타 교과와 연관된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를 이용한 연구에는 한계가 있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들이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나 수학, 과학 교과 내용과 연관된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예비 정보 논리적 사고력 검사 문항은 본 연구의 논리적 사고력 조작적 정의와 정보 교과 ‘문제해결방법과 절차’ 영역의 내용 요소를 바탕으로 중학생 수준의 내용과 난이도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로 개발하였다.
3.1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 선정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이 설계하여 선정하였다. 먼저,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 초안을 만들었다.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이 설계하여 선정하였다. 먼저,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 초안을 만들었다. 두 번째로,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를 전문가 집단에게 설문을 통해 선정하도록 하였다.
먼저,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 초안을 만들었다. 두 번째로,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를 전문가 집단에게 설문을 통해 선정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리커트(Likert) 7점 척도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리커트(Likert) 7점 척도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설문지에는 논리적 사고력 구성요소 각각의 정의와 예시문항을 제시하였다. 설문에서 전문가들에게 구성요소의 선정뿐 아니라, 왜 필요한지에 대한 의견을 쓸 수 있도록 의견란을 제시하였다.
선정된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의 조작적 정의에 대해 전문가 집단에게 개방형 설문을 이용하여 탐색하였다. 먼저 선정된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가 문제해결과정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개방형 설문을 통해 전문가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선정된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의 조작적 정의에 대해 전문가 집단에게 개방형 설문을 이용하여 탐색하였다. 먼저 선정된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가 문제해결과정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개방형 설문을 통해 전문가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전문가의 견해들을 모두 나열하고, 연구진들의 협의를 거쳐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설계하였다
먼저 선정된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가 문제해결과정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개방형 설문을 통해 전문가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전문가의 견해들을 모두 나열하고, 연구진들의 협의를 거쳐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설계하였다
먼저, 6개의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에 따라 2문항씩 총 12문항을 설계하였다.
세 번째로, 경기도 소재 중학교 2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사전 시험을 실시하여 검사 문항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마지막으로,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정보 영재 학급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40분 동안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논리적 사고력 조작적 정의에 대한 실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문항의 변별도를 분석하였다.
이 중 확률 논리와 조합 논리를 측정하는 검사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계열화 논리, 명제 논리, 비례 논리, 변인 통제 논리도 많은 검사지에서 측정하였다. 확률 논리와 조합 논리에 대한 검사 내용이 많은 것은 과학 및 수학 내용과 관련된 논리적 사고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검사지들이 많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 다.
선정된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에 대한 적합성을 리커트(Likert) 7점 척도로 평가했으며, 그 결과는 과 같다.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를 통합 분석한 결과, 서열화 논리, 삼단 논법, 명제 논리, 언어 유추, 계열화 논리, 이원 추리, 조합 논리, 확률 논리, 보존 논리, 비례 논리, 상관 논리, 변인 통제 논리 등이 있었다. 이중,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 구성요소를 전문가 집단을 이용한 내용타당도를 통해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논리적 사고력 구성요소 조작적 정의와 정보 교과 ‘문제해결방법과 절차’ 영역의 내용 요소를 바탕으로 중학교 수준의 내용과 난이도를 고려하여 예비 정보 논리적 사고력 검사 문항을 설계하였다.
그 중 7번 문항은 중학교 1단계의 ‘문제해결방법을 찾아 해결하기’의 내용요소에 해당하는 문항을 설계하였고, 10번 문항은 중학교 3단계의 ‘선택 정렬 알고리즘의 구현’의 내용요소에 해당하는 문제를 설계하였다.
6번 문항과 12번 문항은 중학교 1단계의 ‘변수와 상수를 사용한 프로그래밍 하기’의 내용요소에 해당하는 문항을 설계하였다.
5번 문항과 9번 문항은 중학교 1단계의 ‘문제해결방법을 찾아 해결하기’의 내용요소에 해당하는 문항을 설계하였다.
그 중 3번 문항은 중학교 1단계의 ‘문제 분석 및 표현’의 내용요소에 해당하는 문항을 설계하였고, 4번 문항은 중학교 1단계의 ‘제어문의 이해’의 내용요소에 해당하는 문제를 설계하였다.
2번과 11번 문항은 중학교 1단계의 ‘문제해결방법을 찾아 해결하기’의 내용요소에 해당하는 문항을 설계하였다.
그 중 1번 문항은 중학교 2단계의 ‘알고리즘의 설계’의 내용요소에 해당하는 문항을 설계하였고, 8번 문항은 중학교 1단계의 ‘제어문의 이해’의 내용요소에 해당하는 문제를 설계하였다.
예비 정보 논리적 사고력 검사 문항은 과 같이6개의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에 따라 2문항씩 총 12문항을 설계하였다.
<표 10>은 각 문항별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에 그에 따른 내용요소를 제시하였다. 1번 문항과 8번 문항은 명제 논리의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그에 따른 문항을 설계하였다. 그 중 1번 문항은 중학교 2단계의 ‘알고리즘의 설계’의 내용요소에 해당하는 문항을 설계하였고, 8번 문항은 중학교 1단계의 ‘제어문의 이해’의 내용요소에 해당하는 문제를 설계하였다.
2번 문항과 11번 문항은 상관 논리의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그에 따른 문항을 설계하였다. 2번과 11번 문항은 중학교 1단계의 ‘문제해결방법을 찾아 해결하기’의 내용요소에 해당하는 문항을 설계하였다.
5번 문항과 9번 문항은 조합 논리의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그에 따른 문항을 설계하였다. 5번 문항과 9번 문항은 중학교 1단계의 ‘문제해결방법을 찾아 해결하기’의 내용요소에 해당하는 문항을 설계하였다.
7번 문항과 10번 문항은 서열화 논리의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그에 따른 문항을 설계하였다. 그 중 7번 문항은 중학교 1단계의 ‘문제해결방법을 찾아 해결하기’의 내용요소에 해당하는 문항을 설계하였고, 10번 문항은 중학교 3단계의 ‘선택 정렬 알고리즘의 구현’의 내용요소에 해당하는 문제를 설계하였다.
또한 선정된 논리적 사고력 구성요소의 조작적 정의와 관련 있는 정보 교과 ‘문제해결방법 및 절차’ 영역의 내용요소를 고찰하였다.
검사시간은 총 40분으로 예비 정보 논리적 사고력 검사 문항의 실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문항의 변별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과 같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에서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를 선정하기 위해 컴퓨터 교육 전공인 전문가 11명을 구성하였다. 전문가의 기준은 컴퓨터 교육과 박사과정 이상이면서 현재 초·중등학교나 대학교에서 컴퓨터 교육을 담당하는 자로 지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정보 영재 학급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40분 동안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논리적 사고력 조작적 정의에 대한 실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문항의 변별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예비 정보 논리적 사고력 검사 문항을 이용해 논리적 사고력의 조작적 정의에 대한 실효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1, 2학년으로 구성된 정보 영재 학급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성능/효과
유승욱(2007)은 프로그래밍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 요소는 변인 통제 논리, 비례 논리임을 밝혔다[16]. 위의 연구들을 종합하면, 프로그래밍 학습은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 중 보존 논리, 비례 논리, 변인 통제 논리, 조합 논리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번째로, 설계된 예비 정보 논리적 사고력 검사 문항을 5차례의 연구진 협의를 통해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의 타당성과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수정 및 보완되었다.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로는 서열화 논리, 명제 논리, 조합 논리, 비례 논리, 상관 논리, 변인 통제 논리가 선정되었다. 삼단 논법, 언어 유추, 계열화 논리, 이원 추리, 확률 논리, 보존 논리는 정보 교과에서의 논리적 사고력과는 연관성이 적다는 결과가 나왔다.
선정된 논리적 사고력 구성요소 중 조합 논리(M=6.3, SD=0.82)는 정보 교과에서 가장 적합한 논리적 사고력 구성요소로 선정되었다. 조합논리는 컴퓨팅 환경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필요한 다양한 방안들을 찾아내거나 가능한 모든 결과를 만들어 내는데 필요한 논리적 사고력이기 때문에 가장 높은 점수가 나온 것으로 해석된다.
예비 정보 논리적 사고력 검사 문항을 분석한 결과, 변별도는 .28∼.57의 분포를 보여준다.
변별도가 낮은 4번 문항의 경우 수정될 필요가 있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변별력이 있는 문항으로 분석되었으므로,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논리적 사고력을 측정하기 위한 예비 논리적 사고력 검사 문항은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문항 분석 결과 논리적 사고력 평가 문항(난이도 : .451, 변별도 .419)은 보통의 난이도를 지니며, 변별력이 높은 문항으로 구성되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지속적인 문항의 수정 및 보완과 더 많은 실험 데이터를 확보하여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후속연구
419)은 보통의 난이도를 지니며, 변별력이 높은 문항으로 구성되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지속적인 문항의 수정 및 보완과 더 많은 실험 데이터를 확보하여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 중등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과정에서 논리적 사고력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개발된 예비 정보 논리적 사고력 검사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문제해결과정 에서 정보 논리적 사고력 동형 검사 도구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열화 논리란?
일반적인 개념의 서열화 논리는 제시된 어떤 사물이나 그것의 크기, 무게 등의 증가 혹은 감소에 따라 순서에 입각해 정신적으로 배열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개방형 설문을 통해서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서열화 논리에 대한 조작적 정의 의견은 총 11개중 8개로, 공통된 내용들을 연계해 정리한 결과 <표 4>와 같이 3가지의 정의로 나눌 수 있다.
정보 교과는 무엇에 목적을 두고 있는가?
정보 교과는 컴퓨터 과학의 개념과 원리를 바탕으로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1]. 이러한 정보 교과에서의 문제해결능력은 일반적인 문제해결능력과 달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최적의 규칙성을 찾아 프로그램으로 실현해보는데 있다[2].
정보 교과와 논리적 사고력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어떤 한계를 가지고 있는가?
그러나 정보 교과와 논리적 사고력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들이 프로그래밍 학습결과와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와의 관계만을 고려하여 전반적인 문제해결관점이나 프로그래밍 학습과정과 논리적 사고력과의 관계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정보 교과의 전반적인 문제해결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부분에서도 한계가 있다. 둘째, 대부분의 연구들이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나 수학, 과학, 국어 교과와 연 관된 내용을 기반으로 하는 논리적 사고력 검사 지를 이용하여 그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논리적 사고력은 특정 교과에 따라 그 구성요소와의 상관관계가 차이가 있으므로, 타 교과와 연관된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를 이용한 연구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문항들이 과학이나 수학 교과 내용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학습자의 과 학이나 수학 교과 내용에 대한 사전지식이 검사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