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복 가치관이 의복 구매 행동에 미친 영향 - 의복 구매 동기와 의복 구매 정보원을 중심으로 -
The Clothing Value Effect on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 Focused on the Clothing Purchasing Reason and Purchasing Information Resource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18 no.2, 2010년, pp.382 - 395  

임성경 (상명대학교 의류학과) ,  한명숙 (상명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othing values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especially men. Also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othing values effect on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For the practical study, 200 questionaries were sur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인은 하나의 가치관만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6개의 가치관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개인에 따라 각각의 가치관의 배합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더 많이 배합된 가치관의 특성이 그 사람의 가치성향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AVL은 오늘날까지도 개인의 가치관을 측정하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도구이며, 가치관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도구는 AVL 이외에도 RVS(Rakeach Value Survey), VALS(Values and Lifestyle), 수단-목표 사슬 모델(Mean-End China Model), LOV(List of Values) 등 다양한데, 오늘날 RVS가 점점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나, 본 연구에서는 가치를 기본적이고 광범위한 성격 특질로 간주하는 AVL이 보다 적절하다고 판단되어지므로 본 연구에서는 AVL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남자 대학생간의 의복 가치관과 의복 구매 행동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의복 가치관이 의복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각 국가에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남자 대학생들의 의복 가치관과 의복 구매 행동의 차이와 의복 가치관이 의복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 분석하여 각 국가에 적합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설문지법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2008년 11월 27일부터 12월 20일까지 한국과 미국의 대학에 재학 중인 한국의 남자 대학생 110명과 미국의 남자 대학생 105명을 대상으로 돌려 그 중 20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PSS WIN 12.
  • 의복 구매 행동은 매우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되어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 남자 대학생들의 의복 구매 행동 중 의복 구매 동기, 의복 구매 정보원, 의복 구매 장소, 월평균 의복 구입비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 한국과 미국 남자 대학생의 의복 구매 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구매 동기, 구매 정보원, 구매 장소 및 월평균 의복 지출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셋째, 한국과 미국 남학생의 의복 가치관의 차이로 인해 의복 구매 행동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규명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복 가치관이란 무엇인가? 가치관에 관한 연구는 다방면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20세기에 이르러서 가치관과 의복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들이 행해지기 시작하여 의복 가치관에 많은 관심을 갖기에 이르렀다. 의복 가치관이란 개인이 의복을 선택하거나 착용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관점으로 개인의 의복 선택과 착용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의복 가치관의 대부분의 연구는 1960년대 계발된 AVL가치관과 Lapitsky의 의복 가치관의 정의를 따른다.
의복 구매 정보원에 관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Shim과 Kotiopulos20)는 경제적 소비자들은 의복구매 정보원으로 대중매체를 사용하는 반면, 쇼핑몰 소비자들은 개인적 정보를 사용한다고 하였다. Witt와 Bruce21)는 의복 선택시 친구들과 같은 인적 정보원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주장한 반면, Engel 과 Blackwell22)은 소비자가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속성을 가진 의복과 같은 상품은 디스플레이와 같은 비인적 정보원이 선호되어진다고 하였다. 박정은23)은 남자 대학생들의 경우, 비인적 정보원인 매장의 진열 제품이 가장 확실한 구매 정보원이라 하였으며, 친구, 거리 사람들의 차림새들을 중요한 구매 정보원이라 하였다. 김영숙24)의 연구에서 남자들은 정보원으로 잡지 신문광고 카탈로그 등의 대중매체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주위사람들, 구매경험 순으로 나타나 비인적 정보원을 인적 정보원보다 더 선호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임 성경25)의 연구에서는 한국 여대생이 미국 여대생보다 매체 정보원과 인적 정보원 모두에서 이용이 더 높아 의복을 구매하는데 있어서 더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 나타났다. 더욱이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인터넷의 빠른 확산, 남성 패션 잡지, 남성 전용 케이블 TV의 발달은 남성들의 중요한 의복 구매 정보원으로 변하고 있다.
AVL이라는 도구는 가치관을 6가지로 나누었는데 어떤 가치관으로 나누었는가? Spranger(1922)의 “Type of Men”을 기초로 Allport와 Vernon(1931)은 가치관 측정 도구인 Study of Value를 계발하였는데, Allport, Vernon과 Lindzey는 1951년과 1960년에 수정 작업을 걸쳐 AVL(Allport, Vernon and Lindzey의 Study of Men)이라는 새로운 도구를 계발하였다3). AVL은 사람의 가치관을 진리의 발견에 중심을 두는 이론적 가치관(theoretical value), 유용성에 초점을 맞추는 경제적 가치관(economic value), 형태와 조화에 최대 관심을 갖는 심미적 가치관(aesthetic value), 인간에 대한 사랑을 강조하는 사회적 가치관(social value), 권력이나 명성에 관심을 가지는 정치적 가치관(political value), 최고의 가치를 통합(unity)이라고 간주하는 종교적 가치관(religious value)의 6가지로 나누었다4). 개인은 하나의 가치관만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6개의 가치관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개인에 따라 각각의 가치관의 배합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더 많이 배합된 가치관의 특성이 그 사람의 가치성향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경자 (1986). "한국과 미국 여대생의 가치관과 의복선택행동에 관한 비교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4권 3호. 

  2. 강승희 (1991). "의복 구매 동기 및 의복 구매태도와 자아개념과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숙희 (1992). "대학생의 의복 가치관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영숙 (2000). "의복쇼핑성향 소비자유형에 따른 점포선택과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정원 (1994). "의복행동의 비교 문화적 연구: 재미 아시아계와 한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노현지 (2004). "20-30대 남성 소비자의 의복 구매 행동수준에 따른 쇼핑성향과 정보원 활용에 관한 연구." 디자인 포럼 217호. 

  7. 박민정 (2001). "남녀대학생의 의복 가격지각과 의복 쇼핑성향 및 의복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정민 (1997). "남녀 대학생의 의복선택 습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정은 (1989). " 남자 대학생의 의복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안광호 (1995). 소비자 행동: 마케팅 전략적 접근. 서울: 법문사. 

  11. 이금실 (1992). "사회계층변인에 따른 여성의 의복 태도와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임성경 (2006). "문화의 차이에 따른 의복 가치관과 의복 구매 행동 비교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임성경 (2008). "한국과 미국 여대생의 문화에 따른 의복 가치관의 비교 연구." 복식문화연구 16권 4호. 

  14. 정명선 (1984). "남녀 대학생의 의복에 관한 정숙성과 의복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8권 1호. 

  15. 정미혜, 한명숙 (2000). "대학생의 가치관과 의복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8권 4호. 

  16. 채정숙 (1999).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문화적 연구: 한국과 캐나다 거주 대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을 중심으로." 소비자학 연구 10권 4호. 

  17. 최은진 (2005). "영캐주얼 의류에 관한 의복 구매 행동 연구: 가격 할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한명숙 (2009). "의복 구매 행동의 비교 문화적 연구." 복식문화연구 17권 1호. 

  19. 한희정, 김미숙 (2002). "소비가치와 의복 구매전 의사결정과의 관계," 한국의류학회지 26권 6호. 

  20. 황진숙, 이기춘 (2000). "남자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요인이 의복 구매 동기, 정보원 활용, 의복 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50권 4호. 

  21. Allport, G. W., P. E. Vernon and G. Lindzey (1960). Study of Values. Boston: Houghton Mifflin. 

  22. Blackwell, R. E., P. W. Miniard and J. F. Eagel (2001). Consumer Behavior. Orlando: Harcourt College Publishers. 

  23. Creekmore, A. M. (1963). "Clothing Behavior and Their Relation to General Values and to the Striving for Basic Need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4. Dawis, R. V. (1991). "Vocational Interests, Values, and Preference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 

  25. Engel, J. F. and R. D. Blackwell (1982). Consumer Behavior. New York: Dryden Press. 

  26. Hsu, Hsiu-Ju (2003). "National Culture and Clothing Values: A Cross-national Study of Taiwan and United States Consumers." Doctoral Dissert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27. Lapitsky, M. (1961). "Clothing Values and Their Relation to General Values and to Social Security and Insecur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8. Morganosky, M. A. (1987). "Aesthetic, Function, and Fashion Consumer Values: Relationships to Other Values and Demographic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Vol. 6, No. 19. 

  29. Richard, E. A. and R. E. Hawthorne (1971). "Values, Body Cathexis, and Clothing of 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Home Economic Vol. 63, No. 3. 

  30. Shim, S. and A. Kotsipulos(1982). "Patronage of Apparel Shopping Part: Shopping Orientation, Store Attributes, Information Sourc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Vol. 10, No. 2. 

  31. Shim, S. and M. C. Bickle (1994). "Benefit Segments of the Female Apparel Market: Psychographics, Shopping Orientations, and Demographic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Vol. 12, No. 2. 

  32. Smith, B. P. and H. S. Schwartz (1997). "Values." Handbook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 3. 

  33. Sporoles, G. B. (1979). Fashion: Consumer Behavior Toward Dress. Minneapolis: Burgess Publication. 

  34. Witt, Robert E. and Grady D. Bruce (1970). "Purchase Decisions and Group Influenc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