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부 지역 여자 대학생 중 아침결식군과 아침식사군의 식행동, 가공식품 선호도 및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
Dietary Behaviors,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Awareness Levels of Nutrition Label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Middle Region by Breakfast Eating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7 no.4, 2011년, pp.387 - 402  

배윤정 (한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연지영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etary behaviors,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awareness levels of nutrition label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middle region by breakfast eating. A total of 243 students (breakfast eating group: 153, breakfast skipping group: 90)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침결식에 따른 생활습관, 식습관 및 가공식품의 선호도를 알아보고 가공 식품을 구입하는데 있어 식품표시와 영양표시에 대한 이용실태 및 인지도를 파악하여 식생활 교정이 필요한 사항을 알아보고 가공식품의 합리적인 선택을 위한 영양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부지역 여자 대학생 243명(아침식사군 153명, 아침결식군 90명)을 대상으로 아침결식에 따른 생활습관, 식습관, 가공식품의 선호도를 조사하고 가공 식품을 구입하는데 있어 식품표시와 영양표시에 대한 이용실태 및 인지도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균 식사빈도 조사시 아침, 점심, 저녁 식사의 빈도는 아침식사군 5.
  • 본 연구에서는 중부지역 여자 대학생(243명)을 대상으로 가공식품의 합리적인 선택을 위한 영양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아침결식 여부에 따라 아침식사군과 아침결식군으로 분류하여 식행동, 가공식품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아침식사군의 신장, 체중 및 체질량지수는 각각 16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규칙적인 아침식사의 기능은 무엇인가? 규칙적인 아침식사는 지방 섭취를 감소시키고 잦은 간식 섭취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며, 다음 끼니의 과식을 방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아침결식은 식사시간의 불규칙성, 과식, 폭식, 음주 등 부적절한식이 섭취와 관련된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식생활 균형이 깨지면서 영양상의 불균형을 초래할 위험성이 크다(Lee & Woo 2003).
아침결식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규칙적인 아침식사는 지방 섭취를 감소시키고 잦은 간식 섭취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며, 다음 끼니의 과식을 방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아침결식은 식사시간의 불규칙성, 과식, 폭식, 음주 등 부적절한식이 섭취와 관련된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식생활 균형이 깨지면서 영양상의 불균형을 초래할 위험성이 크다(Lee & Woo 2003). 또한 아침결식은 다음 식사의 과식, 폭식, 간식으로 이어져 열량 과잉이 되기 쉬우며 비만 유병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Kim 등 2007).
식품 구매시 가격이나 중량 이외의 영양소, 유통기한 등의 표시항목에 대해 확인하도록하는 홍보와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식품표시를 확인하는지 여부에 대해 ‘대체로 확인한다’와 ‘확실히 확인한다’는 비율은 아침식사군 29.1%, 5.3%, 아침결식군 26.7%, 3.3%로 식품표시에 대한 관심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Chung 등(2011)의 연구에서 식품 첨가물 표시를 확인하는 비율의 경우 대학생(53.7%)이 주부(73.1%)에 비해 낮은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소비자는 식품첨가물이 적은 식품을 구입하기 위해 노력하며(Kim & Kim 2005), 식품첨가물 여부에 따라 식품 구매 의도가 달라진다고 하였다(Chung 등 2011). 가공식품 이용시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이유에 대해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아침식사군은 ‘가격, 중량 등을 다른 회사 제품과 비교하기 위해서’ 확인하는 비율이 아침결식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은 청소년과 달리 독립적인 생활을 시작하므로 책임감을 가지고 식품을 선택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홍보와 교육을 통해 식품 구매시 가격이나 중량 이외의 영양소, 유통기한 등의 표시항목에 대하여도 확인하고 식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식품의약품안정청 (2009): 식품등의 표시기준(고시 제 2009-218호) 

  2. An JH, Kang KO (2006): Consumption type of housewives about organic and instant Food. Korean J Food Nutr 19(1): 28-37 

  3. Borra S (2006): Consumer perspectives on food labels. Am J Clin Nutr 83(5):1235S 

  4. Chae MJ, Bae HJ, Yoon JY (2008): Consumption practices and selection attribut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on ready-to-eat foods. J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1(2): 289-307 

  5. Cho SH, Yu HH (2007):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 12(5):519-533 

  6. Choi MK, Jun YS, Kim AJ (2001): A comparative study of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alcohol among male university students Chungn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5):978-985 

  7. Chung HK, Kang JH, Lee HY (2011): Usefulness, attitude for using and purchase intention on food labeling of housewives and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6(1): 86-97 

  8. Goh EK, Park ES (2010): Intake of processed food and perceptions of food label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Human Ecology 9(1):179-189 

  9. Kim HC, Kim MR (2005): Consumer attitudes towards food additives. J East Asian Soc Diet Life 15(1):126-135 

  10. Kim IS, Lee YH, Kim HJ (2005): A study of the dietary behaviors and the nutrient intake of high school girls in Iksan and Seoul ci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1(2):139-148 

  11. Kim KH (2003):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8(2):181-191 

  12. Kim KW, Shin EM, Moon EH (2004): A study on fast food consumption, nutritional knowledge, food behavior and dietary intake of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0(1):13-24 

  13. Kim MS (2005): Eat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by economic environm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1(2): 125-138 

  14. Kim SH, Joung KH, Chae BS (2007): Dietary life and eating- out style related to breakfast frequency of male students in culinary college. Korean J Community Nutr 12(1):13-24 

  15. Ko MS (2007):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and dietary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12(3):259-271 

  16. Lee KA, Cho EJ, Yoon HS (2010): A study on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by residing types in Changwon and Masan area. J Korean Diet Assoc 16(3): 279-290 

  17. Lee MS, Woo MK (2003): Differences in the dietary and health-related habits and quality of diet in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Daejeon. Korean J Community Nutr 8(1): 33-40 

  18. Lee WJ (2003): Factors related to college student's problem drinking. J Kor Soci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3):109-124 

  19.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MOHWFA]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P] (2010): 2009 National Health Statistics-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econd year(2009),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20. Park MS, Kim SA (2005):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improving diet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0(2):189-195 

  21. Park SS, Kim NY, Han MJ (2008):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food and nutrition labeling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2):164-173 

  22. Seo GH, Yun HH (2004): Preference and utilization of instant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tourism scie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2):356-364 

  23. Song BC, Cho JH, Kim MK (2008): A study of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 practic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3(4):538-542 

  24.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25. Yang KM (2005): A survey on nutrient intake of university students by alcohol intake. J Korean Diet Assoc 11(1):1-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