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혼자 또는 온 가족이 함께 하는 식사형태가 아동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관한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 - 대전지역 일부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
Effect of Eating with Family or Alone on the Self-rated Mental or Physical Health -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aejeon Area -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5 no.2, 2010년, pp.206 - 226  

성순정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권순자 (배재대학교 관광문화대학 외식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ating with family or alone on the self-rated mental or physical health and then work out strategies of making peop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ating with family and its practice. Study subjects were 610 primary school 5th- and 6th-grade stud...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특이적 징후와 비특이적 징후의 특징은 무엇인가? 심신의 건강에 이상이 초래되면 임상적으로 파악되는 특이적 징후(clinical symptoms)나 해부학적 변화가 일어나기 전에 우선 생화학적·생리적인 변화에 동반하여 비특이적 징후(unspecific symptoms)가 나타난다(Sugiyama 1995). 이는 건강상의 자각증상으로 피로감, 미열감, 머리가 무거움, 두통, 어지러움, 이명, 저림, 두근거림, 손발이 참 등이며, 몸의 어디가 나쁜지 검사를 해도 어디가 나쁜지 확실하지 않다(Health click).
어린이가 혼자 식사하는 경향이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 어린이의 식생활은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급격히 변화되고 있다(Lee 등 2009). 맞벌이 부모나 학원 활동이 증가하면서 스스로 식사를 해결해야 하는 어린이가 급증하고 있으며, 식사시간에 TV를 보거나 인터넷 게임 등을 하면서 혼자 식사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Sung 등 2001). 가족의 출퇴근 시각 차이에 의한 가족과 함께 식사하기(共食性)의 결여, 주부의 취업에 의해 가족이 각각 혼자 먹기(孤食化) 등의 현상이 빈번해지고 그에 따른 영양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Sung 2001).
인간을 건강과 질병이라는 관점에서 봤을때 어떻게 나뉘는가? 한편, 인간을 건강과 질병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건강인(아주 건강한 사람), 반건강인(건강하기는 하나 질병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있는 사람), 반질병인(잠재적인 질병이 있는 사람), 질병인(질병이 있는 사람)의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이처럼 ‘건강’과 ‘질병’ 사이에 ‘반건강’ 상태라는 개념이 추가되어, 이 ‘반건강’ 혹은 ‘반질병’ 상태인 사람들을 어떻게 하면 ‘건강’한 상태로 이끌 수 있는가, 이것이 건강증진의 기본적인 명제가 되고 있다(Sugiyama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dachi M (2000): Ecology of dietary life in Japanese children. Abstract of conference of th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health & living sciences, Seoul, pp.11-14 

  2. Cason KL (2006): Family mealtimes: more than just eating together. J Am Diet Assoc 106(4): 532-533 

  3. Cho YJ (2009): Family meal and dietary qualit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S thesis, Kyungwon University, pp.27-28, pp.43-49 

  4. Chung SJ, Lee YN, Kwon SJ (2004): Factors associated with breakfast skipping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9(1): 3-11 

  5. Compan E, Moreno J, Ruiz MT, Pascual E (2002): Doing things together: adolescent health and family rituals. J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56(2): 89-94 

  6. Eisenberg ME, Olson RE, Neumark-Sztainer D, Story M, Bearinger LH (2004): Correlations between family meals and psycosoci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Arch Pediatr Adolesc Med 158(8): 792-796 

  7. Fulkerson JA, Story M, Mellin A, Leffert N, Neumark-Sztainer D, French SA (2006): Family dinner meal frequency and adolescent development: Relationships with developmental assets and highrisk behaviors. J Adolesc Health 39(3): 337-345 

  8. Health click: Available from http://www2.health.ne.jp/word/d6013.html 

  9. Jang YA, Kim HY, Oh SY, Han SS, Lee HS, Won HS, Kim SH, Kim WK, Cho SS (2000): A study for dierary attitude and food behavior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Korea. International J Human Ecology 38(8): 85-97 

  10. Jeong NY, Kim KW (2009):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4(1): 55-66 

  11. Jung SM (2002): A study of the nutrition knowledge, the eating attitude, and the eat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MS thesis, Dong-A University, pp.33-34 

  12. Kim EK, Nam HW, Park HW, Park YS, Myung CO, Lee KY (2003): Developmental nutrition. Shinkwangpub, Seoul, pp.187-231 

  13. Kim SH (1999): Children's growth and school performance in relation to breakfast. J Korean Diet Assoc 5(2): 215-224 

  14. Kim SH (2006): The power of family meal which changes the future of the married couple and children (translated version). English original written by Weinstein M. Han's Media, Seoul, pp.13-102 

  15. Kim YH, Ju HO (2004): Elementary schoolers' skipping breakfast.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0(4): 488-495 

  16. Ku PJ, Lee KA (2000): A survey on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Korean J Dietary Culture 15(3): 201-213 

  17. Kwon SJ, Sung SJ, Ly SY (2010): The Interrelations among Nutrition Education, Satisfaction with School Lunch, School Lunch Leftovers and Self-rated Mental or Physical Health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aeje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5(1): 94-107 

  18. Lee YM, Lee KW, Oh YJ (2009):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wards family meals. J Korean Diet Assoc 15(1): 41-51 

  19.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2008 Nutrition Health Statistics -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econd year (200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 Mo SM, Kwon SJ, Lee KS (2000): Do you know dining table of children(translated version)? Japanese original written by Adachi M. Kyomunsa, Seoul, pp.20-22, pp. 155-161 

  21. Park GY (2007): The pattern of family meal and nutrition intake of elementary 6th grade students in Incheon. MS thesis, Kookmin University. pp.19-21 

  22. Park MJ (2003): A study of dietary life and state of health and knowledge of nutrition of school students.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pp.39-40 

  23. Park YS, Lee JW, Seo JS, Lee BK, Lee HS (2007): Nutrition education & counseling. Kyomunsa, Paju, p.191 

  24. Seo JS, Lee JH, Yoon JS, Jo SH, Choi YS (2008): Nutritional Assessment. Powerbook, Seoul, p.58 

  25. Sugiyama M (1995): Midlife health, Dai-ichi shuppan, Tokyo, pp.2-4 

  26. Sung CJ, Sung MK, Choi MK, Kang YL, Kwon SJ, Kim MH, Seo YL, Adachi M, Mo SM (2001) An ecological study of food and nutrit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6(2): 150-161 

  27. Sung CJ, Sung MK, Choi MK, Kim MH, Seo YL, Park ES, Baik JJ, Seo JS, Mo SM (2003): Comparison of the food and nutrition ecolog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by regions. Korean J Community Nutr 8(5): 642-651 

  28. Sung SJ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self-rated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the 5-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jeon area. MS thesis, Chungnam University, pp.27-28 

  29. Villares JMM, Segovia MJG (2006): The family meal: somewhat more than eating together. Acta Pediatrica Espanola 64(11): 554-558 

  30. Waxman M (2006):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meal. Available from http://www.macrobiotics.co.uk/familyhealth/familymeal.htm 

  31. Yi BS, Yang IS (2006): An exploratory study for identifying factors related to breakfas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1(1): 25-38 

  32. You JS, Kim SM, Chang KJ (2009):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of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jeon area by gender and skipping breakfast. Korean J Nutr 42(3): 256-26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