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체중 여성에서 생커피두 엑기스의 섭취가 체지방 개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een Coffee Bean Extract Supplementation on Body Fat Reduction in Overweight/Obese Women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3 no.4, 2010년, pp.374 - 381  

박주연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지영 (연세대학교 노화과학연구소) ,  이성표 ((주) 미쓰바 알텍) ,  이종호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체질량지수$23\;kg/m^2$ 이상 또는 체지방률이 27% 이상인 과체중 혹은 비만인 여성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위약-대조 연구 디자인을 통해 8주간의 생커피두 엑기스 섭취가 체지방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시험군 또는 대조군으로 배정된 대상자는 시험제제 또는 placebo제제를 하루 2번 2캡슐씩 식전에 물과 함께 섭취하게 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하는 동안 평상시 식습관 및 커피 섭취량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험제제에는 1캡슐 당 생커피두 엑기스 50 mg와 덱스트린 150 mg을 함유하였고, placebo제제에는 200 mg의 덱스트린을 함유하였다. 생커피두 엑기스에는 28.4%의 클로로겐산과, 49.3%의 클로로겐산 류 (ferulic acid, coumalic acid, neochlorogenic acid 등), 그리고 12.6%의 카페인을 함유하도록 하였다. 총 48명이 시험을 완료하였으며, 이 중 섭취율 미달로 유효성 평가가 불가능한 5명을 제외한 43명을 대상으로 결과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험군 23명 대조군 20명이었다.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한 복부지방면적 측정결과, 상복부에서는 생커피두 엑기스 섭취군에서 총 지방 면적은 섭취 전 $231.2\;{\pm}\;12.2\;cm^2$에서 8주 후 $220.1\;{\pm}\;11.2\;cm^2$으로 4.8%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p < 0.05), 내장지방 면적은 섭취 전 $86.4\;{\pm}\;6.08\;cm^2$에서 8주 후 $82.4\;{\pm}\;5.84\;cm^2$으로 4.6%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p = 0.062). 하복부에서는 생커피두 엑기스 섭취군에서 내장지방 면적은 섭취 전 $71.8\;{\pm}\;4.81\;cm^2$에서 8주 후 $68.4\;{\pm}\;4.72\;cm^2$으로 4.7%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또한 상복부의 총 지방 면적 (p < 0.05)과 내장지방 면적 (p < 0.05)의 변화량은 군간 비교에서도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 생커피두 엑기스를 섭취하는 기간 동안 식사 섭취량 조절 없이 평상시 식습관을 유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복부 내장지방의 유의적인 감소로 체지방 분포의 개선 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생커피두 엑기스의 섭취와 병행하여 식사조절과 운동이 실시 될 경우 체지방 감소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대상자 수의 확대 및 복용기간의 연장 등을 통한 생커피두 엑기스의 체지방 분포 개선 효과 및 대사 관련 지표 개선을 평가하는 후속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et effect of green coffee bean extract on body fat reduction. Overweight/obese women (body mass index > $23\;kg/m^2$ or body fat > 27%) who were not diagnosed any type of diseas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커피의 섭취를 통한 체중감소 효과 및 동물 시험을 통한 생커피두의 체지방 축적 억제 효과는 보고된 바 있으나, 인체에서 생커피두의 섭취를 통한 체중 및 체지방 감소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작위, 이중 맹검, 위약-대조 디자인을 통해 과체중 혹은 비만인 여성에서 8주간의 생커피두 엑기스 섭취가 체지방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질량지수가 23 kg/m2이상 또는 체지방률이 27% 이상인 과체중 혹은 비만인 여성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위약-대조 연구 디자인을 통해 8주간의 생커피두 엑기스 섭취가 체지방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질량지수가 23 kg/m2이상 또는 체지방률이 27% 이상인 과체중 혹은 비만인 여성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위약-대조 연구 디자인을 통해 8주간의 생커피두 엑기스 섭취가 체지방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세포의 형태로 전환되어 체내에 저장하는 것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비만은 에너지의 섭취와 소비가 불균형을 이루어 초래되는 것으로, 여분의 에너지는 지방세포의 형태로 전환되어 체내에 저장되어진다. 축적된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유리지방산과 사이토카인 등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고, 염증반응을 증가시켜 대사증후군, 당뇨병, 심장혈관질환 그리고 암 등의 만성질환 발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3)
2007년 기준, 만 19세 이상의 비만 유병률은 몇 %인가? 현대사회에서 비만은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는 전 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는 유행병이라고 지칭할 만큼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1) 우리나라에서도 비만의 유병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결과 만 19세 이상의 비만 유병률은 31.7%로써, 이는 1998년에 비하여 5.7% 증가하였다.
비만의 원인은 무엇인가? 비만은 에너지의 섭취와 소비가 불균형을 이루어 초래되는 것으로, 여분의 에너지는 지방세포의 형태로 전환되어 체내에 저장되어진다. 축적된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유리지방산과 사이토카인 등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고, 염증반응을 증가시켜 대사증후군, 당뇨병, 심장혈관질환 그리고 암 등의 만성질환 발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Geneva; 2000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7 Nutrition Survey; 2007 

  3. Bray GA. Medical consequences of obesity. J Clin Endocrinol Metab 2004; 89(6) : 2583-2589 

  4. Kim KJ, Park SK. Changes in major chemical constituents of green coffee beans during the roast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6; 38(2) : 153-158 

  5. Ranheim T, Halvorsen B. Coffee consumption and human healthbeneficial or detrimental?-Mechanisms for effects of coffee consumption on different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Mol Nutr Food Res 2005; 49(3) : 274-284 

  6. Greenberg JA, Boozer CN, Geliebter A. Coffee, diabetes, and weight control. Am J Clin Nutr 2006; 84(4) : 682-693 

  7. Van Dam RM, Feskens EJ. Coffee consumption and risk of type 2 diabetes mellitus. Lancet 2002; 360(9344) : 1477-1478 

  8. Farah A, Monteiro M, Donangelo CM, Lafay S. Chlorogenic acids from green coffee extract are highly bioavailable in humans. J Nutr 2008; 138(12) : 2309-2315 

  9. Suzuki A, Kagawa D, Ochiai R, Tokimitsu I, Saito I. Green coffee bean extract and its metabolites have a hypotensive effect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Hypertens Res 2002; 25(1) : 99-107 

  10. Watanabe T, Arai Y, Mitsui Y, Kusaura T, Okawa W, Kajihara Y, Saito I. The blood pressure-lowering effect and safety of chlorogenic acid from green coffee bean extract in essential hypertension. Clin Exp Hypertens 2006; 28(5) : 439-449 

  11. Ochiai R, Jokura H, Suzuki A, Tokimitsu I, Ohishi M, Komai N, Rakugi H, Ogihara T. Green coffee bean extract improves human vasoreactivity. Hypertens Res 2004; 27(10) : 731-737 

  12. Shimoda H, Seki E, Aitani M. Inhibitory effect of green coffee bean extract on fat accumulation and body weight gain in mice. BMC Complement Altern Med 2006; 6 : 1-9 

  13. Vague J. The degree of masculine differentiation of obesities: a factor determining predisposition to diabetes, atherosclerosis, gout, and uric calculous disease. Am J Clin Nutr 1956; 4(1) : 20-34 

  14. Rexrode KM, Buring JE, Manson JE. Abdominal and total adiposity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m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1; 25(7) : 1047-1056 

  15. Folsom AR, Prineas RJ, Kaye SA, Munger RG. Incidence of hypertension and stroke in relation to body fat distribution and other risk factors in older women. Stroke 1990; 21 : 701-706 

  16. Despres JP, Moorjani S, Lupien PJ, Tremblay A, Nadeau A, Bouchard C. Regional distribution of body fat, plasma lipoprotein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rteriosclerosis 1990; 10: 497- 511 

  17. Carey VJ, Walters EE, Colditz GA, Solomon CG, Willett WC, Rosner BA, Speizer FE, Manson JE. Body fat distribution and risk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in women. The Nurses' Health Study. Am J Epidemiol 1997; 145: 614-619 

  18. Rimm EB, Stampfer MJ, Giovannucci E, Ascherio A, Spiegelman D, Colditz GA, Willett WC. Body size and fat distribution as predictors of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middleaged and older US men. Am J Epidemiol 1995; 141 : 1117-1127 

  19. Kim JY, Han YS. Influence of roasting time on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offee extract.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9; 25(4) : 496-505 

  20. del Castillo MD, Ames JM, Gordon MH. Effect of roasting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ffee brews. J Agric Food Chem 2002; 50(13) : 3698-3703 

  21. Gordon MH, Wishart K. Effects of Chlorogenic Acid and Bovine Serum Albumin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Low Density Lipoproteins in Vitro. J Agric Food Chem 2010; 13 [Epub ahead of print] 

  22. McCarty MF. A chlorogenic acid-induced increase in GLP-1 production may mediate the impact of heavy coffee consumption on diabetes risk. Med Hypotheses 2005; 64(4) : 848-853 

  23. Cho AS, Jeon SM, Kim MJ, Yeo J, Seo KI, Choi MS, Lee MK. Chlorogenic acid exhibits anti-obesity property and improves lipid metabolism in high-fat diet-induced-obese mice. Food Chem Toxicol 2010; 48(3) : 937-943 

  24. Li SY, Chang CQ, Ma FY, Yu CL. Modulating effects of chlorogenic acid on lipids and glucose metabolism and expression of hepatic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alpha in golden hamsters fed on high fat diet. Biomed Environ Sci 2009; 22 (2) : 122-129 

  25. Zheng G, Sayama K, Okubo T, Juneja LR, Oguni I. Anti-obesity effects of three major components of green tea, catechins, caffeine and theanine, in mice. In Vivo 2004; 18(1) : 55-62 

  26. Arciero PJ, Bougopoulos CL, Nindl BC, Benowitz NL. Influence of age on the thermic response to caffeine in women. Metabolism 2000; 49(1) : 101-107 

  27. Acheson KJ, Gremaud G, Meirim I, Montigon F, Krebs Y, Fay LB, Gay LJ, Schneiter P, Schindler C, Tappy L. Metabolic effects of caffeine in humans: lipid oxidation or futile cycling? Am J Clin Nutr 2004; 79(1) : 40-46 

  28. Suh HJ. Effect of prolonged garcinia extracts ingestion on exercise performance and body deposition. The Korean Journal of Exercise Nutrition 2004; 8(1) : 43-48 

  29. Okasora K, Takaya R, Tokuda M, Fukunaga Y, Oguni T, Tanaka H, Konishi K, Tamai H. Comparison of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and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for assessment of body composition in children. Pediatr Int 1999; 41(2) : 121-1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