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봉독약침(蜂毒藥鍼)이 전립선비대증(前立腺肥大症) Rat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e Venom Herbal Acupuncture on Experimental Rat Model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1 no.1, 2010년, pp.166 - 176  

조소현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  한양희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  김용성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Benign prostatic hyperplasia(BPH)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among elderly men. In BPH, dihydrotestosterone (DHT) acts as a potent cellular androgen and promotes prostate growth. Many reports conclude the component melittin in bee venom has the potential to treat various diseas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봉독이 고환절제술 및 testosterone 투여로 유발된 전립선비대증 모델 rat의 체중, 전립선의 부피, 무게 및 체중 당 전립선 비율, 간기능, 신기능, 테스토스테론 농도, 조직병리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봉독의 疏通氣血, 活血化瘀 효능에 근거하여 봉독 약침이 전립선 비대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 이에 저자는 전립선비대증에 대한 봉독의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해 고환절제술 및 testosterone 투여로 유발된 전립선비대증 모델 rat16-17을 이용하여, 혈액학적 변화 및 조직병리학적 형태의 변화를 분석하여 봉독의 효능을 검증하고, 이에 따른 전립선비대증의 임상적 치료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전립선 비대증을 유발시킨 실험동물에 5-reductase 억제 효과가 있는 finasteride와 봉독 약침을 사용하여, 각 실험군 간의 전립선 용적과 혈액학적 변화 및 조직학적 변화를 측정하고 비교함으로써 전립선 비대증에 미치는 봉독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 Control group : Acinar epitherial cells are were flattened irregularity. Duct cells were flattened to low cuboidal or squamous typ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치료방법은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가?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증가와 더불어 치료방법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외과적 치료로는 경요도전립선절제술이 가장 보편적인 치료방법이었으나3, 수술치료에 대한 기피 경향과 합병증 발생 가능성으로 인해 대체 치료를 선호하는 경향이다4. 최근 전립선비대증에 대한 효과적인 약물들이 개발되면서 내과적 치료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나, 이러한 내과적 치료도 장기 치료에 따르는 부작용의 우려가 아직까지 상존해 있다.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finasteride는 발기부전, 성욕감퇴 등의 성기능 저하와 더불어 혈압강하, 현훈, 빈맥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5-7. 따라서 장기적으로 유의한 부작용 없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수술시 경제적 문제 등을 고려할 때, 최근 약물요법, 요도 성형 카테터8-9, 금속 스텐트, 온열요법10 등의 비수술적 치료 및 저침습적 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어 기존의 치료 방법 이외에 폭넓은 선행연구가 필요하다.
전립선비대증은 무엇을 저해하는 대표적인 질환인가? 전립선비대증은 남자 노인들의 삶의 질을 저해하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전립선은 35세경부터 조직학적인 변화와 용적의 증가가 나타나 60대의 60%, 80대의 80%가 해부학적 기준의 전립선 비대 소견을 보이게 된다1.
최근 우리나라에서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수가 증가하는 이유는? 전립선은 35세경부터 조직학적인 변화와 용적의 증가가 나타나 60대의 60%, 80대의 80%가 해부학적 기준의 전립선 비대 소견을 보이게 된다1.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고령인구의 증가로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어 치료 방법의 정립이 필요한 실정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polone G, Cattaneo A, Colombo P, La Vecchia C, Cavazzuti L, Bamfi F. Knowledge and opinion on prostate and prevalence of self-reported BPH and prostate-related events. A cross-sectional survey in Italy. Eur J Cancer Prev. 2002;11(5): 473-9. 

  2. Wasson JH, Reda DJ, Bruskewitz RC, Elinson J, Keller AM, Henderson WG. A comparison of transurethral surgerythral watchful waiting for moderate symptoms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The Veterans Affairs Cooperative Study a Theon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N Engl J Med. 1995;332:75-9. 

  3. Caine M. The present role of $\alpha$ -adrenergic blockers in the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J Urol. 1986;136:1-4. 

  4. Mebust WK, Holtgrewe HL, Cockett AT, Peters PC. Transurethral prostatec tomy: immediat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operative study of 13 participating institutions evaluating 3,885 patients. J Urol. 2002;167:5-9. 

  5. Gormley GJ, Stoner E, Bruskewitz RC, Imperato -McGinley J, Walsh PC, McConnell JD, et al. The effect of finasteride in men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The Finasteride Study Group. N Engl J Med. 1992;327:1185-91. 

  6. McConnell JD, Bruskewitz R, Walsh P, Andriole G, Lieber M, Holtgrewe HL, et al. The effect of finasteride on the risk of acute urinary retention and the need for surgical treatment among men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Finasteride Long -term Efficancy and Safety Study Group. N Engl J Med. 1998;338:557-63. 

  7. Kassabian VS. Sexual function in patients treated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Lancet. 2003; 361:60-2. 

  8. Fabian KM. Der Intraprostatische "Partielle Katheter" (Urologische spirale). Urologe A. 1980;19:236-8. 

  9. Fabian KM. Der Intraprostatische "Partielle Katheter" (Urologische spirale) II. Urologe A. 1984;23:229-33 

  10. Yorushalmi A, Fishelovitz Y, Singer D, Reiner L, Arielly J, Abramovie Y, et, al. Localized deep microwave hyperther mia in the treatment of poor operative risk patien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Urology. 1985;133:873-6. 

  11. 李惠義. 中醫男科講座. 北京: 中國醫藥科技出版社; 1992, p. 192-207. 

  12. 杜鎬京. 東醫腎系學.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2003, p. 90, 705-8. 

  13. 全國韓醫科大學鍼灸經穴學敎室. 鍼灸學(上, 下 ).서울: 集文堂; 1992, p. 1457. 

  14. 심윤섭, 송호섭. 멜라틴이 세포자멸사 유발에 의해 DU-145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 2009;26(3) :49-58. 

  15. 이홍선, 송호섭. 봉독의 세포자멸사를 통한 LNCaP 세포증식 억제. 2008;25(2):59-74. 

  16. Prieto JC, Carmena MJ. Receptors for vasoactive interstinal peptide on isolated epithelial cells of rat ventral prostate. Biochim Biophys Acta. 1983;763:408-13. 

  17. Carmena MJ, Prieto JC. Cyclic AMP-stimulating effect of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in isolated epithelial cells of rat ventral prostate. Biochim Biophys Acta. 1983;763:414-8. 

  18. 大韓病理學會. 病理學(3판). 서울: 고문사; 1995, p. 877-80. 

  19. 황종찬. 前立腺疾患의 豫防과 治療法. 서울: 태을출판사; 1998, p. 20-8, 95-107, 139-200 

  20. 임영남. 前立腺疾患이렇게 治療한다. 서울: 한줄기; 1994, p. 11-3, 71-5. 

  21. 김세철. 前立腺疾患의 모든 것. 서울: 삼신문화사; 1997, p. 1-6, 43-4, 51-62, 73-122. 

  22. 이진선, 권기록, 최호영. HPLC를 이용한 봉약침의 주요 성분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0;17(4):125-6. 

  23. Tewari A, Shinahare K, Narayan P. Transition zone volume and transition zone ratio: predictor of uroflow response to finasteride therapy i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patient. Urology. 1995;45:258-65. 

  24. 홍주의, 홍성준. 5-알파환원효소억제제(Finasteride) 투약 중단 후 보이는 전립선 크기, 전립선이행대 크기 및 PSA 변화 양상. 1999;40(11):1519-24. 

  25. Barry M, Roehrborn C.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Clin Evid. 2002;7:775-87. 

  26. 박동수, 이용규, 정희성, 조택우, 이진하, 홍영권, 이영태. 하부요로증상을 보이는 전립선비대증에서 전립선 내 Botulinum Toxin Type A(BTA) 주입요법의 초기경험과 경요도적 전립선절제술과의 단기효과 비교.대한비뇨기과학회지.2005; 46(11):1173-79. 

  27. 朱文蜂. 실용중의사전. 陜西: 陜西科學技術出版社; 1995, p. 402. 

  28. Lee JH, Kwon YB, Han HJ, Mar WC, Lee hj, Yang IS, Beitz AJ, Kang SK. Bee venom pretreatment has both an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n carageenan-induced inflammation . J Vet Med Sci. 2001;63(3):251-9. 

  29. 권기록, 고형균, 봉약침요법의 면역반응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0;17(1):169-74. 

  30. 박찬열, 남상수, 김창환, 이재동, 강성길, 이윤호, 안병철. 약침용 봉독액이 흑색세포에 미치는 항암효과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0;17(2):169-86. 

  31. Annila I, Saarinen JV, Nieminen MM, Moilanen E, Hahtola P, Harvima IT, Bee veom induces high hiastamine or high high orukotriene C4 release in skiotriesensitized beekeepers. J Investig Allergol Clin Immunol.. 2000;10(4):223-8. 

  32. 약침학. 대한약침학회 학술위원회. 2008, p. 167-99. 

  33. 박청, 박종일, 윤은진, 송경섭, 김종석, 김영래 등. 백서에서 고환적출 후 복측전립선의 Apoptosis기전. 대한내분비학회지. 2005;20(3):230-41. 

  34. Smith CA, Williams GT, Kingstone R, Jenkinson EJ, Owen JJT: Antibodies to CD3/T-cell receptor complex induce cell death by apoptosis in immature T cells in thymic cultures. Nature. 1995;374:811-4. 

  35. Kerr JFR, Searle J, Harmon BV, Bishop CJ: Apoptosis. In : Potten CS (ed), Perspectives on Mammalian cell Death, Oxford University Press. 1987;201:93-4. 

  36. Chung WLK, McFadden DK: Sex steroid imprinting and prostate growth. Invest Urol. 1980;17:337-42. 

  37. Sun H, Li TJ, Sun LN, Qju Y, Huang BB, Yi B, et al. Inhibitory effect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Zi-Shen Pill o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 rats. J Ethnopharmacol. 2008; 115(2):203-8. 

  38. Shapiro E, Becich MJ, Hartanto V, Lepor H. The relative proportion of stromal and epithelial hyperplasia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symptomatic benign prostatie hyperplasia. J Urol. 1992;147:129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