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문해 프로그램(SNU-LPMFC) 개발 및 효과검증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Literacy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4 no.1, 2016년, pp.1 - 11  

김태연 (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정현심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이순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ed and evaluated a Seoul National University literacy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SNU-LPMFC).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enhance Korean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rogram were education using fairy ta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 개발된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프로그램은 취학 전 유아의 발달적 요구에 부합할 뿐 아니라, 선행연구에서 다문화가정 유아가 특히 취약성을 보였던 영역[1, 2, 9]을 효과적으로 보완해 줄 수 있었다. 단순히 읽기, 쓰기에 초점을 둔 기존의 한국어 학습지와는 다르게, 이 프로그램에서는 표현과 의사소통기능 향상에 초점을 둔 학습과정을 통해 본질적인 의미의 언어능력 향상을 촉진하고자 하였다. 단순한 반복과 관습적 문해를 바탕으로 하는 연습이 아닌,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통합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활동지를 사용함으로써 유아기 언어 교수법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통합의 원리를 반영하였다.
  • 14개의 생활 주제와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발달 수준에 근거하여 학습 어휘 및 문법을 추출하고 이를 포함하는 완결된 짧은 동화를 구성한다. 또한 다문화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다문화가정 유아의 일상생활 경험이 반영되도록 한다.
  • 본 프로그램에서는 언어 발달 및 지도에 대한 지침서를 어머니의 모국어로 번역하여 제공하였다. 또한 방문 교사에 의해 진행되는 매주 학습내용에 대한 자료도 제공하였다.
  • 다문화가정 유아들은 주 양육자인 어머니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부족한 경우가 많으므로, 방문교사들은 유아들에게 다양한 언어적 자극을 제공하고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유도하였다. 또한 유아들이 한국말이 부족한 어머니에 대해 갖는 왜곡된 의견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교재 내용 안에서 한국이 아닌 어머니 나라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자연스럽게 어머니 나라의 문화에 대해 자랑스럽게 생각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문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발달 특징 및 인지 발달 단계를 고려한 한국어 학습 프로그램을 다양한 보조 교재와 함께 개발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이 또래 수준으로 향상되어 궁극적으로 학습 준비도가 향상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본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의 언어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 뿐만 아니라 어머니에게 적절한 언어적 대처를 모델링할 수 있는 기회도 함께 제공하였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언어적 미숙함이 자녀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므로,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프로그램 구성 시 자녀뿐만 아니라 부모에게 적절한 양육 태도를 알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지체가 이후 학교생활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는 선행연구 결과[1, 2, 13, 21]를 참조하여,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을 촉진하고 표현 언어능력과 의사소통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다문화가정 유아 34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범 실시하고 이를 통제집단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 이 중 중도탈락 및 사전사후 검사에서 이상점(두 번의 검사 중 한쪽이 극단적으로 높거나 낮은 점수를 나타내는 경우)을 나타낸 표본을 제외하고 34쌍(85%)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효과와 성장에 따른 언어발달을 구분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사회경제적 배경 및 거주지역 등이 유사한 24쌍의 다문화가정 아동과 어머니를 통제집단으로써 목적 표집 하였다. 표집한 통제집단 실험자 중 이사 및 가정상황 등으로 인한 탈락자와 사전사후검사에서 이상점을 나타낸 대상을 제외하고 총 20쌍(83.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문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발달 특징 및 인지 발달 단계를 고려한 한국어 학습 프로그램을 다양한 보조 교재와 함께 개발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이 또래 수준으로 향상되어 궁극적으로 학습 준비도가 향상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의 언어 영역 목표를 바탕으로 그 수준과 내용을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 가정 형성이 중요해진 배경은? 2013년 국내에서 이루어진 총 결혼 327,100건 중 26,000건은 국제결혼이었고, 그 중에서도 70%가 넘는 18,300건이 외국여성과 한국남성의 결혼으로, 이제 국제결혼으로 인한 다문화가정 형성은 한국에서 무시할 수 없는 키워드가 되었다[23]. 국제결혼은 2000년에는 6,945건에 불과했으나, 5년 만에 4.
2000년대 이후 국제결혼이 얼마나 이루어졌는가? 2013년 국내에서 이루어진 총 결혼 327,100건 중 26,000건은 국제결혼이었고, 그 중에서도 70%가 넘는 18,300건이 외국여성과 한국남성의 결혼으로, 이제 국제결혼으로 인한 다문화가정 형성은 한국에서 무시할 수 없는 키워드가 되었다[23]. 국제결혼은 2000년에는 6,945건에 불과했으나, 5년 만에 4.5배인 30,700건까지 급증하였고, 그 후 조금씩 감소하여 2013년에는 19,300건이 이루어졌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이렇게 국제결혼 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어머니를 둔 다문화가정 유아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국제결혼 가정이 늘어나면서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어머니를 둔 다문화가정 유아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데, 그로 인하여 생겨난 문제는? 통계청 조사결과[24]에 의하면, 다문화가정 학생 수는 2009년 26,015명에서 2010년 31,788명, 2011년 38,678명, 2012년 46,954명, 2013년 55,780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문제는 학업성취에 있어 부모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나는 우리나라의 교육특성 상,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른 아동에 비해 불리한 여건에 처해있다는 점이다[19]. 실제로 이런 우려는 취학률 통계를 통해서도 드러나는데, 전체 아동청소년과 비교하여 보면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취학률 비율이 매우 낮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 H. R., & Yi, S. H. (2009). Academic achievement: Comparison of childre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 families and gene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0(1), 1-10. 

  2. Chae, H. K. (2008). Young children's literacy and home literacy environment of immigrant marriage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 Cho, Y. (2006). Survey of multicultural children's education course. Seoul: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4. Choi, N. (2012). The effects of an expressive activities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the literacy abiliti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19(2), 45-63. 

  5. Choi, Y., Yi, S., & Moon, M.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immigrant women by marriage living in rural area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15(3), 225-248. 

  6. Cummins, J. (1980). Psychological assessment of immigrant children: Logic or intuition? Journal of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Development, 1(2), 97-111. http://dx.doi.org/10.1080/01434632.1980.9994005 

  7. Cummins, J. (1981). Age on arrival and immigrant second language learning in Canada: A reassessment. Applied Linguistics, 2(2), 132-149. http://dx.doi.org/10.1093/applin/ii.2.132 

  8. Elbro, C. (1996). Early linguistic abilities and reading development: A review and a hypothesis. Reading and Writing, 8(6), 453-485. http://dx.doi.org/10.1007/bf00577023 

  9. Hoff, E., & Naigles, L. (2002). How children use input to acquire a lexicon. Child Development, 73(2), 418-433. http://dx.doi.org/10.1111/1467-8624.00415 

  10. Jung, H. S., Choi, N. Y., Woo, H. Y., & Yi, S. H. (2010).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family literacy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6(2), 73-93. 

  11. Kim, G., Kwak, K., & Pae, S. (2009).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in Korea: A critical review.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8(3), 571-597. 

  12. Kim, J. H., Sung, M. Y., Jung, H. S., & Kwon, Y.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chool adjustment program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9(3), 455-469. http://dx.doi.org/10.5934/kjhe.2010.19.3.455 

  13. Kim, S. (2007).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age women immigrants. Bilingual Research, (33), 421-444. http://dx.doi.org/10.17296/korbil.2007..33.421 

  14. Kim, S., & Kang, C. (2009). A study on vocabular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Research, (40), 31-55. http://dx.doi.org/10.17296/korbil.2009..40.31 

  15. Kim, T. Y., & Yi, S. H. (2015).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language program developmen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al Studies, 10(3), 15-26. 

  16. Kim, Y. (2015, July 13). Korean-Chinese bilingual class for elementary school in multicultural region. Yonhapnews. Retrieved July 30, 2015, from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7/13/0200000000AKR20150713116900004.HTML?input1195m 

  17. Lee, J. K. (2014). Culture: A study on the way continuing education of the home visiting Korean language instructo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Thought and Culture, 75, 485-508. 

  18. Nam, B. H., & Kim, Y. Y. (2011).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levels of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2(3), 19-58. 

  19. Oh, S. (2005). A case study on the growing of Kosian children and its social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2(3), 61-83. 

  20. Pae, S. Y., Kwak, K. J., Jung, K. H., Kim, K. Y., & Kim, H. J.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Korean Speech, Language & Hearing Association, 18(4), 165-184. http://dx.doi.org/10.15724/jslhd.2009.18.4.011 

  21. Shim, M. K. (2014). A qualitative study on educational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24(5), 71-95. 

  22. Shin, J. H. (2003). Relations of kindergartners' linguistic understanding on associative, conditional, and causal statements to achievement in first grad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1), 223-239. 

  23. Statistics Korea. (2014a). Marriage statistics. Retrieved April 1, 2015, from http://kostat.go.kr/ 

  24. Statistics Korea. (2014b). Social trend. Retrieved April 1, 2015, from http://kostat.go.kr/ 

  25. Sun, W. H., & Kim, H. J. (2009). A study on children-centered group play therapy for toddlers from multi-cultural family.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8(4), 143-155. 

  26. Wagner, R. K., & Torgesen, J. K. (1987). The nature of phonological processing and its causal role in the acquisition of reading skills. Psychological Bulletin, 101(2), 192-212. http://dx.doi.org/10.1037//0033-2909.101.2.192 

  27. Weizman, Z. O., & Snow, C. E. (2001). Lexical output as related to children's vocabulary acquisition: Effects of sophisticated exposure and support for mean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7(2), 265-279. http://dx.doi.org/10.1037//0012-1649.37.2.265 

  28. Woo, H. K., Juong, H. S., Choi, N., Yi, S. H., & Lee, G. (2009).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y and preschoolers' languag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0(3), 23-36. 

  29. Yi, S. H. (2010). Final reports: Development of a Korean language lear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Seoul: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30. Yi, S. H., Moon, M. K., Choi, Y. S., Lee, S. J., & Woo, H. K. (2006). Supporting plans for settlement of rural female marriage immigrants. Seoul: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