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정보처리 구성요소와 정서요인이 유아의 외현적 공격성과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ponents of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Emotional Factors on Preschoolers'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1 no.6, 2010년, pp.15 - 34  

최인숙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이강이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sex differences in 5-year-old preschoolers' aggression according to the type of aggression (overt, relational) and the effect of components of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SIP : interpretation, goal clarification, response generation, response evaluation) and emo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Shields와 Cicchetti(1997)가 개발한 정서조절 체크리스트(The Emotion Regulation Checklist: ERC)를 토대로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ERC는 부모나 교사 등 유아를 잘 아는 성인이 보고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평소 유아의 정서표출과 정서조절 관련 행동을 많이 접하는 담임교사가 평가하도록 하였다. 질문지는 정서적 유연성 부족과 정서 불안, 부정적 정서의 비조절로 구성된 불안/부정성 범주에 속하는 15문항(예를 들어 ‘감정의 기복이 심하다’, ‘쉽게 화를 낸다’)과 상황에 적절한 정서표시, 공감, 정서자각으로 구성된 정서조절 범주의 9문항(예를 들어 ‘다른 사람이 힘들어할 때 관심을 보이고 함께 공감한다’, ‘슬프거나 화가 나거나 두렵고 무서울 때 말로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다’), 총 24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 아동 및 청소년의 강력범죄나 비행이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최근의 상황에서 발달 초기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하는 것은 이러한 문제행동을 중재 및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공격성에서 성별에 따른 공격성 분화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유아의 외현적 및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사회정보처리 구성요소와 정서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의 공격성을 설명하는 개인 변인으로는 무엇이 주목 받아왔는가? 아동의 공격성을 설명하는 개인 변인으로는 아동의 인지요인과 정서요인이 주목을 받아왔다. 인지-행동주의 관점에서 아동의 공격행동은 자극이 되는 사건을 개인이 지각하고 처리하는 방식을 통해 유발된다(Pettit, 1992).
유아의 외현적 및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사회정보처리 구성요소와 정서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첫째, 유아의 전체 공격성 수준과 외현적 공격성 수준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남아의 전체 공격성 수준이 여아의 전체 공격성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남아의 외현적 공격 수준이 여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외현적 공격성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결과는 남아의 외현적 공격성 수준이 여아보다 높다는 학령기 아동과 유아의 외현적 공격성에 관한 선행연구들(Crick et al., 1997; Crick, Ostrov, & Werner, 2006; Ostrov & Keating, 2004)의 결과와 일치한다. 한편 남아의 관계적 공격성 수준은 여아의 관계적 공격성 수준보다 높았지만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남아, 여아 모두 관계적 공격성 수준이 외현적 공격성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관계적 공격성 연구에서 성차가 나오지 않은 연구(Hart et al., 1998)나 남아가 여아보다 관계적 공격성 수준이 더 높다는 연구(McEvoy et al., 2003; Tomada & Schneider, 1997)의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이는 유아가 보이는 관계적 공격행동의 패턴이 학령기 아동이나 청소년과 다르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유아나 상대적으로 연령이 적은 아동은 청소년과 달리 공격행동이 성별에 따라 분화되지 않고 외현적 공격행동과 관계적 공격행동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Crain, Finch, & Foster, 2005).또한 신체적으로 해를 입히는 외현적 공격행동이 언어나 표정 등으로 나타나는 관계적 공격행동보다 교사나 또래에 의해 더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어린이집에서 외현적 공격행동 대신에 관계적 공격행동을 더 많이 보였을 가능성이 있다. 유아를 대상으로 한 다른 선행연구들(Bonica et al., 2003; Crick et al., 1997)에서 여아의 관계적 공격성 수준이 남아보다 높다는 결과도 있으므로 추후에 유아의 공격성을 평정하는 방법을 보완하여 유아의 외현적 공격성과 관계적 공격성에 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유아의 사회정보처리 구성요소 및 정서 요인과 외현적 공격성 및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를 각각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아의 사회정보처리 구성요소 가운데 해석과 외현적 공격 반응생성, 외현적 공격 반응평가 점수가 높을수록 유아의 외현적 공격 점수가 높았다. 즉 또래와의 갈등 상황에서 상대의 의도를 적대적으로 해석할수록, 외현적 공격반응을 많이 생성하고 외현적 공격반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외현적 공격행동을 많이 보였다. 사회정보처리 구성요소와 관계적 공격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반응생성과 반응평가에서 외현적 및 관계적 공격 반응생성과 외현적 및 관계적 공격 반응평가 점수가 높을 수록 관계적 공격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또래 갈등 상황에서 상대의 의도를 적대적으로 해석할수록, 외현적 공격반응과 관계적 공격 반응을 많이 생성하고 외현적 공격반응과 관계적 공격 반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관계적 공격행동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정보처리 구성요소 가운데 적대적 해석, 공격적 반응생성 및 반응평가와 외현적 및 관계적 공격성이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Crick et al., 2002; Dodge, Bates, & Pettit, 1990; Dodge & Coie, 1987)를 지지하는 것으로 또래와의 갈등 상황에서 자극 단서에 대한 인지적 처리과정 이 공격적인 경향을 보일수록 공격유형과 상관없이 유아가 공격행동을 많이 표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사회정보처리라는 사회인지적 요소가 유아의 공격행동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유아의 정서요인과 외현적 및 관계적 공격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가 타인의 정서를 잘 이해하지 못하고, 정서를 잘 조절하지 못할수록, 그리고 분노와 슬픔의 정서를 많이 표현할수록 외현적 및 관계적 공격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정서지식과 정서조절 능력이 행동문제나 공격성과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이강이․성미영, 2003; 한유진, 2006; Arsenio et al., 2000; Denham, Caverly, Schmidt, Blair, DeMuldder, Caal, Hamada, & Mason, 2002; Eisenberg, Fabes, Guthrie, Murphy, Maszk, & Holmgren, 1996; Lemerise, Gregory, & Fredstrom, 2005; Sullivan, Helms, Kliewer, & Goodman, 2010)와 일치하는 결과이며, 사회적 상황에서 분노가 아동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더 많은 문제행동과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Arsenio et al., 2000; Denham et al., 2002)를 지지하는 결과로 분노와 공격성의 관련성을 강조하는 좌절-공격가설((Berkowitz, 1989)과 맥락을 같이 한다. 또한 슬픔의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이 관계적 공격성과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Sullivan et al., 2010)와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결과이다. 따라서 정서적으로 유능한 유아일수록 또래갈등 상황에서 공격행동을 덜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적 능력이 또래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에 긍정적 정서성에 해당하는 기쁨의 정서는 사회정 보처리 구성요소 및 외현적 공격성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기쁨의 정서가 공격성에 대해 보호효과를 가진다는 선행연구(Schultz et al., 2004)와는 차이를 보여 긍정적 정서성과 공격성과의 관계에 대한 추가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유아의 외현적 공격성과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사회정보처리 구성요소와 정서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공격성 형태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사회정보처리 구성요소와 정서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유아의 외현적 공격성에 대한 가장 중요한 예측변인은 사회정보처리의 구성요소 가운데 외현적 공격 반응생성이었다. 또한 외현적 공격성을 예측하는 정서요인은 정서조절, 분노, 정서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정서요인에 비해 사회정보처리의 구성요소가 외현적 공격성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김지현, 2006; Orobio de Castro, Merk, Koops, Veerman, & Bosch, 2005)의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즉 반응생성에서 외현적 공격반응을 생성하는 수준이 높은 아동은 그러한 반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실제로 외현적 공격 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위의 선행연구들은 반응생성 이외에도 사회정보처리 구성요소가 아동의 외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어, 아동의 외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정보처리 구성요소가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유아의 외현적 공격성을 예측하는 정서요인은 정서조절과 정서지식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분노, 정서조절과 행동문제의 관계, 부정적 정서와 공격성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들(김지현, 2006; Eisenberg et al., 1996; Orobio de Castro et al., 2005)의 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 즉 분노를 자주 경험하고 표출하는 아동일수록 외현적 공격성 수준이 높고, 분노와 같은 부정적 정서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실제로 표출되는 외현적 공격행동을 예측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정서지식이 유아의 외현적 공격성의 예측요인이라는 결과는 정서지식이 아동의 행동문제를 예측한다는 결과를 보고한 선행연구들(한유진, 2006; Arsenio et al., 2000; Denham et al., 2002)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정서를 이해하는 능력은 아동이 대인관계의 맥락에서 상대의 정서를 정확하게 지각하고 자신의 정서를 적절히 표현할 수 있게하며 이어서 유능한 행동이 나오게 하는데 핵심이 된다. 즉 또래와의 갈등 상황에서 타인의 정서와 자기의 정서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은 공격행동으로부터 방어하는 효과를 가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유아의 관계적 공격성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은 분노의 정서성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지식과 사회정보처리의 구성요소 가운데 관계적 공격 반응생성, 해석 순으로 유아의 관계적 공격성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계적 공격행동이 나올 때 자극에 대해서 분노를 경험하고 표출하는 정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선행연구(Marsee & Frick, 2007; Niu, 2009)의 결과를 지지한다. 또한 정서지식이 관계적 공격성의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나 관계적 공격성에 정서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한유진, 2006; Garner & Lemerise, 2007; Marsee & Frick, 2007). 이는 정서적 능력과 유아의 사회적응이나 문제행동과의 관련성을 밝힌 선행연구들(Eisenberg et al., 1996; Eisenberg, Guthrie, Fabes, Reiser, Murphy, & Holgren, 1997)과 맥락을 같이 하며, 정서적으로 유능하지 않은 유아가 관계적 공격성을 더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관계적 공격성을 예측하는 사회정보처리 구성요소는 관계적 공격 반응 생성과 해석으로 나타났으나, 그 영향력이 각각 6%와 2%로 낮은 수준이었다. 이것은 남아, 여아를 모두 포함한 학령기 아동의 사회정보처리의 해석과 관계적 공격성과의 관련성을 밝힌 선행 연구(김지현, 2006; Crick et al., 2002)의 결과를 지지하는 반면에, 관계적 공격성이 높은 학령기의 여아를 대상으로 사회정보처리와 관계적 공격성 사이에 관련성이 없다고 밝힌 선행연구(Crain et al., 2005)의 결과와는 차이를 보인다. Crain과 동료들(2005)은 학령기 아동 가운데 여아가 더 높은 관계적 공격성 수준을 보인다는 것을 전제로 학령기 여아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이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유아의 관계적 공격성에서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고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사회정보처리 구성요소의 영향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므로 다양한 관점에서 유아의 관계적 공격성을 설명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에서 유아의 외현적 공격성과 관계적 공격성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에서 차이를 보인 점은 공격성의 조기 중재의 관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주로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정보처리 구성요소와 사회적응(Crick & Dodge, 1994)과의 관련성을 토대로 사회적 단서를 처리하는 인지과정의 결함이 아동의 공격행동을 야기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에 따라 아동의 공격성에 대한 인지-행동 중재 프로그램이 지지를 받아 왔다(Orobio de Castro et al., 2005). 그러나 이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관계적 공격성에서 정서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정서적 능력의 결함이 유아의 관계적 공격행동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공격성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프로그램이 공격성 유형에 따라 차별화 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유아가 또래와의 갈등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는 인지적인 기술을 가르치는 내용과 함께 정서지식과 분노, 슬픔 등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는 정서조절 등의 정서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인지-행동주의 관점에서 아동의 공격행동은 어떠한 방식으로 유발되는가? 아동의 공격성을 설명하는 개인 변인으로는 아동의 인지요인과 정서요인이 주목을 받아왔다. 인지-행동주의 관점에서 아동의 공격행동은 자극이 되는 사건을 개인이 지각하고 처리하는 방식을 통해 유발된다(Pettit, 1992). 사회적 상황에서 사회적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과 방식을 강조한 사회정보처리 모델(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odel)에 따르면, 사회적 정보의 세련된 처리는 유능한 행동을 가져오는 반면에 공격적이거나 결함이 있는 정보처리는 공격행동을 포함한 문제행동을 가져온다(Crick & Dodge,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곽금주(1998). 사회정보처리능력의 발달(II) : 취학전 아동기.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1, 1-11. 

  2. 김지현(2006).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외적 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성미영(2006).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따른 사회적 기술과 행동문제. 아동학회지, 27, 285-300. 

  4. 이강이.성미영(2003). 유아의 정서지식과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 : 시설보호 유아와 일반 유아의 비교. 아동학회지, 24, 33-45. 

  5. 한유진(2006). 상호작용 상황에서의 정서표현, 정서이해 및 정서조절 능력이 학령기 아동의 공격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직, 간접적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 1-15. 

  6. Arsenio, W .F., Cooperman, S., & Lover, A. (2000). Affective predictors of preschool children's aggression and peer acceptanc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Developmental Psychology, 36, 438-448. 

  7. Berkowitz, L. (1989). Frustration-aggression hypothesis : Examination and reformulation. Psychology Bulletin, 106, 59-73. 

  8. Bjorkqvist, K. (1994). Sex differences in physical, verbal, and indirect aggression : A review of recent research. Sex Roles, 30, 177- 184. 

  9. Bonica, C., Yeshova, K., Arnold, D. H., Fisher, P. H., & ZleIja, A. (2003). Relational aggression and language development in preschoolers. Social Development, 12, 551-562. 

  10. Coie, J. D., & Dodge, K. A. (1998). Aggression and antisocial behavior. In W. Damon (Series Ed.) & N. Eisenberg (Vol.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5th ed., pp. 780-840). NY : Wiley. 

  11. Cook, E. T., Greenberg, M. T., & Kusche, C. A. (1994).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al understanding,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disruptive behavior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2, 205- 219. 

  12. Coy, K., Speltz, M. L., DeKlyen, M., & Jones, K . (2001). Social-cognitive processes in preschool boys with and without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9, 107-119. 

  13. Crain, M. M., Finch, C. L., & Foster, S. L. (2005). The relevance of th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for understanding relational aggression in girls. Merrill-Palmer Quarterly, 51, 213-249. 

  14. Crick, N. R., Casas, J. F., & Mosher, M. (1997).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in pre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29, 271-275. 

  15. Crick, N. R., & Dodge, K. A. (1994). A review and reformulation of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echanism in children's social adjustment. Psychological Bulletin, 115, 74-101. 

  16. Crick, N. R., & Dodge, K. A. (1996).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echanisms in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Child Development, 67, 993- 1002 

  17. Crick, N. R., Grotpeter, J. K., & Bigbee, M. A. (2002). Relationally and physically aggressive children's intent attributions and feelings of distress for relational and instrumental peer conflicts. Child Development, 73, 1134-1142. 

  18. Crick, N. R., Ostrov, J. M., & Werner, N. E. (2006). A longitudinal study of relational aggresstion, physical aggression, and children's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4, 131 -142. 

  19. Cummings, E. M., Iannotti, R. J., & Zahn-Waxler, C. (1989). Aggression between peers in early childhood : Individual continuity and developmental change. Child Development, 60, 887-895. 

  20. Denham, S., Blair, K., DeMulder, E., Levitas, J., Sawyer, K., Auerbach-Major, S., & Queenan, P. (2003). Preschool emotional competence : Pathway to soci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74, 238- 256. 

  21. Denham, S., Caverly, S., Schmidt, M., Blair, K., DeMuldder, E., Caal, S., Hamada, H., & Mason, T. (2002). Preschool understanding of emotions : contributions to classroom anger and aggressio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3, 901-916. 

  22. Denham, S., McKinley, M., Couchoud E. A., & Holt, R. (1990). Emotional and behavioral predictors of preschool peer ratings. Child Development, 61, 1145-1152. 

  23. Dodge, K. A., Bates, J. E., & Pettit, G. S. (1990). Mechanisms in the cycle of violence. Science, 250, 1678-1683. 

  24. Dodge, K. A., & Coie, J. D. (1987).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factors in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in children's peer grou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 1146-1158. 

  25. Dodge, K. A., Coie, J. D., & Lynam, D. (2006). Aggression and antisocial behavior in youth. In W. Damon (Series Ed.) & N. Eisenberg (Vol.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 Vol. 3. Social, emotional, andpersonality development. NY: Wiley. 

  26. Dodge, K. A., Laird, R. D., Lochman, J. E., Zelli, A., & Conduct Problems Prevention Research Group (2002). Multidimensional latent-construct analysis of children's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patterns : Correlations with aggressive behavior problems. Psychological Assessment, 14, 60-73. 

  27. Eisenberg, N., & Fabes, R. A. (1992). Emotion reg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In M.S. Clark (Ed.), Emotion and social behavior :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14, pp. 119-150). Newbury Park, CA : Sage. 

  28. Eisenberg, N., Fabes, R. A., Guthrie, I. K., Murphy, B. C., Maszk, P., & Holmgren, R. (1996). The relations of regulation and emotionality to problem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8, 141-162. 

  29. Eisenberg, N., Guthrie, I. K., Fabes, R., Reiser, M., Murphy, B. C., & Holgren, R. (1997). The relations of regulation and emotionality to resiliency and competent social functioning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Child Development, 68, 295-311. 

  30. Gamer, P. W., & Lemerise, E. A. (2007). The roles of behavioral adjustment and conceptions of peers and emotions in preschool children's peer victim. izat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9, 57-71. 

  31. Gamer, P. W., Jones, D. C., & Miner, J. L. (1994). Social competence among low-income preschoolers : Emotion socialization practices and social cognitive correlates. Child Development, 65, 622-637. 

  32. Han, C. H., Nelson, D. A., Robinson, C. C., Olsen, S. F., & McNeilly-Choque, M. K. (1998).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 in Russian nursery-school-age children : Parenting style and marital linkages. Developmental Psychology, 34, 687-697. 

  33. Hubbard, J. A., & Coie, J. D. (1994). Emotional correlates of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Merrill-Palmer Quarterly, 40, 1-20. 

  34. Lemerise, E. A., Gregory, D. S., & Fredstrom, B. K. (2005). The influence of provocateurs' emotion displays on th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of children varying in social adjustment and age.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90, 344-366. 

  35. Little, T. D., Jones, S. M., Henrich, C. C., & Hawley, P. H. (2003). Disentangling the "whys" from the "whal" of aggressive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7, 122-133. 

  36. Marsee & Frick (2007). Exploring the cognitive and emotional correlates to proactive and reactive aggression in a sample of detained girl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5, 969-981. 

  37. McEvoy, M. A., Estrem, T. L., & Olsen, M. L. (2003). Assessing relational and physical aggression among preschool children : Intermethod agreement.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3, 53-63. 

  38. Moffitt, T. E. (1993). Adolescence-limited and lifecourse-persistent antisocial behavior : A developmental taxonomy. Psychological Review, 100, 674-701. 

  39. Ostrov, J. M., & Keating, C. F. (2004). Gender differences in preschool aggression during free play and structured interactions : An observational study. Social Development, 13, 255-277. 

  40. Orobio de Castro, B., Merk, W., Koops, W., Veerman, J., & Bosch, J. (2005). Emotions in sip and their relations with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in referred aggressive boys.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4, 105-116. 

  41. Orobio de Castro, B., Veerman, J., Koops, W., Bosch, J., & Monshouwer, H. (2002). Hostile attribution of intent and aggressive behavior : A metaanalysis. Child Development, 73, 916-934. 

  42. Quiggle, N. L., Garber, J., Panak, W. F., & Dodge, K. A. (1992).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in aggressive and depressed children. Child Development, 63, 1305-1320. 

  43. Rothbart, M. K., Ahadi, S. A., & Hershey, K. L. (1994). Temperament and social behavior in childhood. Merrill-Palmer Quarterly, 40, 21-39. 

  44. Saarni, C. (1999).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competence. NY : Guilford. 

  45. Schultz, D., Izard, C. E., & Bear, G. (2004). Children's emotion processing : Relations to emotionality and aggression. DeveIopment and Psychopathology, 16, 371-387. 

  46. Shields, A., & Cicchetti, D. (1997). Emotion regulation among school-age children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criterion Q-sort scale. Child Development, 33, 906-916. 

  47. Sullivan, T. N., Helms, S. W., Kliewer, W., & Goodman, K. (2010). Associations between sadness and anger regulation coping, emotional expression, and physical and relational aggression among urban adolescents. Social Development, 19, 30-51. 

  48. Tomada, G., &. Schneider, B. H. (1997). Relational aggression, sex, and peer acceptance : Invariance across culture, stability over time and concordance among informants. Developmental Psychology, 33, 601-609. 

  49. Tremblay, R. E. (2000). The development of aggressive behaviour during childhood : What have we learned in the past centur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4, 129-141. 

  50. Underwood, M. K. (2004). Gender and peer relations : Are the two gender cultures really all that different? In J. B. Kupersmidt &. K. A. Dodge (Eds.), Children's peer relations : From development to intervention (pp. 21-36). Washington, DC : APA Publications. 

  51. Werner, R. S., Cassidy, K. W., &. Juliano, M. (2006). The role of social cognitive abilities in preschoolers' aggressive behaviour.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4, 775-799. 

  52. Werner, N., & Crick, R. (1999). Relational aggression and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in a college sampl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8, 615-6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