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함께 주의하기와 언어발달
Joint Atten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in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1 no.6, 2010년, pp.35 - 50  

박영신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oint attention,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ere compared in infants from multi-cultural and Korean families. Joint attention was observed in both the Early Social Communication Scale (ESCS) and in infant-mother free play. Language development was evalu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동들이 언어를 구사하기 전에 언어발달에 중요한 여러 가지 사회·인지 능력이 발달할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전 언어적(preverbal) 행동들이 나타나는데 이들은 이후의 언어발달과 의미있는 관련성을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종래 연구와 달리 24개월 이하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 유아들의 언어발달을 비교하고, 더나아가 언어발달과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밝혀진 유아기의 중요한 사회․인지능력인 함께 주의하기(joint attention)를 중심으로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언어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24개월 이하의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 유아들을 대상으로 함께 주의하기와 어휘발달에 차이가 있는지, 또 함께 주의하기와 어휘발달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와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4개월 이하의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 유아들을 대상으로 함께 주의하기와 어휘발달에 차이가 있는지, 또 함께 주의하기와 어휘발달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연구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요약하며 두 집단을 비교해 보면, 일반 가정과 다문화 가정 유아들이 기본적으로 함께 주의하는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일반 가정 어머니들이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에 비해 흥미로운 대상에 함께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유아를 지원하고, 비계설정 하는 행동을 더 많이 하고 또 더 효율적이어서 결과적으로 서로가 흥미있어 하는 대상을 가지고 상호작용하는 기회를 더 많이 마련하는 것 같다. 특히 어머니가 유아와 동일한 대상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어휘를 지도할 때 유아들이 새로운 단어를 더 잘 학습하기 때문에(Tomasello & Farrar, 1986) 일반 가정 유아들은 생활 속에서 다문화 가정 유아들에 비해 어머니로부터 새로운 어휘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가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거나 이해할 수 있는 명사가 더 발달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다문화 가정 유아들은 어머니로부터 새로운 어휘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나 상황을 일반 가정 유아들에 비해 덜 가질 뿐 아니라, 어머니와의 함께 주의하기도 유아들의 어휘발달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는 다문화 가정 유아들에서는 함께 주의하기와 더불어 어휘발달과 더 중요하게 관련되는 변인들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국 남성들과 결혼하여 구성하는 다문화 가정 이민자 인구 수는 어떠한가? 지난 30여 년 동안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과 필리핀, 베트남, 태국 등의 동남아 여러 나라 여성들이 한국 남성들과 결혼하여 구성하는 다문화 가정이 급격하게 증가하여서 2010년 현재 결혼으로 인한 여성 이민자가 약 18만 명에 달하고, 다문화 가정에서 출생하여 성장하는 아동들도 약 12만 명에 달한다(행정안전부, 2010). 따라서 이들이 사회에 잘 적응하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성인으로 성장하고 발달하도록 돕는 것이 우리 사회의 중요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필요에 따라 다문화 가정 아동들에 대한 연구들이 꾸준하게 이루어져 왔다.
다문화 가정 아동들이 언어발달에서 문제를 보이는 것은 무엇 때문이라고 인식되어 왔는가? 이처럼 다문화 가정 아동들이 언어발달에서 문제를 보이는 것은 어머니들의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인식되어 왔다(김민화․신혜은, 2008; 오성배, 2005, 2007; 정은희, 2004;정순연, 2008; 황상심, 2008). 즉 어머니들이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여 언어가 한창 발달하는 시기에 있는 자녀들에게 적절한 언어자극을 제공 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경상북도 여성정책연구원(2007). 2007 경상북도 결혼이민자가족실태 조사와 정책 연구. 

  2. 곽금주(2008). 다문화 가정 아동의 발달과 적응 : 다문화 가정에서의 부모-자녀간의 상호작용패턴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 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26. 

  3. 구효진.최진선 (2007). 농어촌 다문화 가정 유아의 인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43-67. 

  4. 권수진(2006).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 가정 아동의 생성이름대기 특성 비교.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언어치료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갑성(2006). 한국 내 다문화 가정의 자녀 교육 실태 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민화.신혜은(2008).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취학 전 유아 한국어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연구. 아동학회지, 29(2), 155-176. 

  7. 김연수.곽금주(2010). 영아기 어머니의 언어적 반응성 및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과 아동초기 언어능력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7(1), 191-208. 

  8. 김이선(2008).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 갈등과 소통 경험을 통해 본 정신건강의 역동성. 한국 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7-51. 

  9. 김희태.권영덕 (2007). 다문화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에의 적응과 변화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96-117. 

  10. 박경자.김송이(2007).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아동학회지, 28(5), 91-108. 

  11. 박영신.박난희.김효정(2009). ESCS로 평가한 함께 주의하기의 발달 : 종단적 비교. 한국 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74-75. 

  12. 배소영.곽금주.장유경.성현란(2006). M-B CDI-K 영유아용과 유아용. 

  13. 송혜은(2008).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수학학습성취도 실태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양순미(2007). 농촌지역 다문화 가족의 초등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과 가족생화행복에 작용하는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12(4), 559-576. 

  15. 오성배(2005).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32(3), 61-83. 

  16. 오성배(2007).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교육기회실태와 대안모색. 인간연구, 12, 1-15. 

  17. 유현경.장현심.최나야.이순형.이강이(2009).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아동학회지, 30(3), 23-36. 

  18. 윤갑정.고은경(2006).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의 한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6(2), 147-168. 

  19. 이현진(2010).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함께 주의하기와 언어발달. 경북대학교 36차 사회과학콜로키움자료집. 

  20. 이혜련.이귀옥.이영주(2007). 영아의 공동주의와 초기 언어발달의 관계. 아동학회지, 28(5), 297-307. 

  21. 정순연(2008).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과 유아 언어능력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정윤경.곽금주(2005). 영아기 공동주의 발달에 대한 단기 종단연구 : 어머니와 자유놀이에서 주의상태와 가리키기 행동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8(1), 137-154. 

  23.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언어치료연구, 13(3), 33-52. 

  24. 조용달(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 교육 실태조사. 교육인적자원부. 

  25. 행정안전부(2010). 2010년 지방자치단체 외국계 주민현황. 

  26. 허미화(2008). 한국사회의 다문화적 변화와 국제결혼가정 유아의 교육환경 고찰. 유아교육연구, 28(1), 265-281. 

  27. 황상심(2008). 농촌지역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Bakeman, R., & Adamson, L. B. (1984). Coordinating attention to people and objects in mother-infant and peer-infant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55, 1278-1289. 

  29. Baron-Cohen, S. (1991). Precursors to a theory of mind : Understanding attention in others. In A. Whiten (Ed.), Natural theories of mind : Evolution, development, and simulation of everyday mindreading. Oxford, England : Basil Blackwell. 

  30. Carpenter, M., Nagell, K., & Tomasello, M. (1998). Social cognition, joint attention, and communicative competenee from 9 to 15 months of age.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3(4). 

  31. Charman, T., Baron-Cohen, S., Swettenham, J., Baird, G., Cox, A., & Drew, A. (2000). Testing joint attention, imitation, and play as infancy precursors to language and theory of mind. Cognitive Development, 15(4), 481-498. 

  32. Claussen, A. H., Mundy, P. C., Willoughby, J. C., & Scott, K. (2002). Joint attention and disorganized attachment status in infants at risk.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4, 279-292. 

  33. Flanagan, P., Coppa, D., Riggs, S., & Alario, A. (1994). Communicative behavior of infants of teen mother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15, 169-175. 

  34. Goldsmith, D., & Rogoff, B. (1997). Mothers' and toddlers' coordinated joint focus of attention : Variations with maternal dysphoria. Developmental Psychology, 33, 113-119. 

  35. Hecke, A. V. V., Mundy, P. C., Acra, C. F., Block, J. J., Delgado, C. E. F., Parlade, M. V., Meyer, J. A., Neal, A. R., & Pomares, Y. B. (2007). Infant joint attention, temperament, and social competence in preschool children. Child Development, 78(1), 53-69. 

  36. Hirose, T., Mikuni, K., Tanaka, K., Minagawa, E. M., Kitagawa, K. K. K., & Suzuki, M. (2000). A preliminary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joint attention in Japan.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1(4-5), 269-269. 

  37. Hustedt, J. T., & Raver, C. C. (2002). Scaffolding in low-income mother-child dyads : Relations with joint attention and dyadic recipro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6(2), 113- 119. 

  38. Mundy, P., Block, J., Delgado, C., Pomares, Y., Hecke, A. V. V., & Parlade, M. V. (2007). Individual differences and development of joint attention in infancy. Child Development, 78(3), 938-954. 

  39. Mundy, P., Delgado, C., Block, J., Venezia, M., Hogan, A., & Seibert, J. (2003). A manual for the abridged Early Social Communication Scales (ESCS). University of Miami. 

  40. Raver, C. C. (1996). Success at catching and keeping toddler's attention : An examination of joint attention among low-income mothers and their 2-year-olds. Early Development and Parenting, 5(4), 225-236. 

  41. Tomasello, M. (1995). Joint attention as social cognition. In C. Moore & P. Dunham (Eds.), Joint attention : Its origin and role in development..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42. Tomasello, M., &. Farrar, M.J. (1986). Joint attention and early language. Child Development, 57, 1454-1463. 

  43. Vaughan, A., Mundy, P., Block. J., Brunette, Co., Delgado, C., Gomez, Y., Meyer, J., Neal, A. R., & Pomares, Y. (2003). Child, care-giver, and temperament contribution to infant joint attention. Infancy, 4(4), 603-6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