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스타트(We Start)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수용.표현 언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We Start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in Multi-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9 no.7, 2011년, pp.51 - 66  

방소영 (경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황혜정 (경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language level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whether the language level of these children would be in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We Start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 The subjects were 30 36-75-month old children attend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6년 국제결혼가정의 초·중·고 자녀의 수는? 다문화가정이란, 한국인과 외국인이 결혼해 이루어진 가정과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에서 결혼을 해 이룬 가정이나 본국에서 결혼한 외국인 가족이 함께 국내에 이주해 온 경우, 그리고 북한에서 입국해 한국인이나 외국인과 결혼한 새터민 가족을 모두 일컫는 말이다(정하성, 유진이, 이장현, 2007). 교육과학기술부(2010a)는 국제결혼이민자 수가 지난 5년간 약 3배 증가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국제결혼가정의 초·중·고 자녀의 수는 2006년도에 7,998명이었고, 2007년에는 13,445명으로 약 2배로 증가했다. 이후로도 꾸준히 증가하여 2010년도 통계에 의하면 국제결혼가정의 학령기 자녀의 수는 30,040명으로 4년 전에 비해 4배로 급증한 것을 볼 수 있다.
다문화가정이란? 국제결혼 가족은 물론 외국인 근로자 역시 가족들과 함께 우리나라에 거주하거나 국내에서 새로운 가정을 꾸리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다문화가정이 증가하게 되었다. 다문화가정이란, 한국인과 외국인이 결혼해 이루어진 가정과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에서 결혼을 해 이룬 가정이나 본국에서 결혼한 외국인 가족이 함께 국내에 이주해 온 경우, 그리고 북한에서 입국해 한국인이나 외국인과 결혼한 새터민 가족을 모두 일컫는 말이다(정하성, 유진이, 이장현, 2007). 교육과학기술부(2010a)는 국제결혼이민자 수가 지난 5년간 약 3배 증가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국제결혼가정의 초·중·고 자녀의 수는 2006년도에 7,998명이었고, 2007년에는 13,445명으로 약 2배로 증가했다.
최근 급증한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수준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유아의 언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위스타트 언어중재 프로그램 실시 후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이 향상했는지 알아보고자 한 본 연구의 제한점을 중심으로 제언을 하면? 본 연구의 제한점을 중심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사전사후의 비교집단이 설정되지 않아 수용·표현 어휘력검사(REVT)의 규준을 이용하여 일반 유아와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을 비교하였다. 하지만 다문화가정의 유아로 구성된 비교집단이 없어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다문화가정 유형에 따라 유아의 언어능력이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하고 있다는 제한이 있다. 물론 유사한 사회적 환경에 노출된 다문화가정 유아를 다수 모집한다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비교집단을 설정하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본 연구결과 수용언어능력에 비해 표현언어능력은 미비하게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를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장시간 결핍된 언어적 환경을 비교적 단기간의 중재 프로그램으로 대체하고자 했다는 것과 관련지을 수 있다. 그러므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한 명의 유아에게 두 가지 언어검사를 단기간을 두고 실시함으로써 학습효과가 개입되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차후에 이루어진 언어검사에 대한 유아의 흥미가 떨어져 비교적 소극적으로 참여함으로 인해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유아면접 형식의 검사 도구와 담임교사나 부모가 응답하도록 하는 검사 도구를 함께 사용하여 효과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금화(2010). 5세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읽기, 음운인식 능력에 관한 연구. 대불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8년도 다문화가정 학생지원 계획. http://www.mest.go.kr/web/1105/ko/board/view.do?bbsId147&boardSeq11956에서 2011년 3월 인출. 

  3. 교육과학기술부(2010a). 다문화가정 학생현황(2010. 4. 출신국 포함). http://www.mest.go.kr/web/1111/ko/board/view.do?bbsId150&boardSeq14710에서 2011년 3월 인출. 

  4. 교육과학기술부(2010b). 다문화 교육을 위한 지침서. http://www.mest.go.kr /upload/_fileData/Z06_18_3.pdf 에서 2010년 12월 인출. 

  5. 구효진(2009).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인지 사회-정서발달 수준과 공격성의 구조모형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9(3), 1-21. 

  6. 구효진, 최진선(2007).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인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6), 43-67. 

  7. 김갑성(2006). 한국 내 다문화가정자녀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경숙, 안은영, 이영선(2008).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행동특성과 이들을 위한 교수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8(1). 1-14. 

  9. 김경희, 황혜정(1998). 저소득아동의 정서, 행동 문제와 부모의 자녀 양육 태도에 관한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1(1), 12-26. 

  10. 김명순, 배선영(2007). We Start 유아용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을 위한 교사 매뉴얼: 제 2-3차년도. 경기도: We Start 경기도 마을. 

  11. 김명순, 정미라, 배선영(2006). We Start 유아용 기관방문 교육중재프로그램. 경기도: We Start 경기도 마을. 

  12. 김영태, 성태제, 이윤경(2003).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발달 척도.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3. 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 이주연(2009).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4. 김정규, 정남미(1997). 문학적 접근의 활동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2), 5-27. 

  15. 김현(2008). 영아의 언어능력과 제반변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문무경, 조혜주(2008). 다문화가정 육아지원 방안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연구보고.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17. 박나현(2011).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실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정체성 형성. 경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미경(2007).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 결혼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민주(2005). 가정결손여부가 저소득가정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찬화(2010). 그림책읽기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저소득 가정 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박현선(2008). 빈곤지위가 아동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26, 113-137. 

  22. 법률지식정보시스템(2008). 다문화가족지원법. http://likms.assembly.go.kr/law/jsp/m ain.jsp에서 2011년 2월 30일 인출. 

  23. 보건복지부(2009).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http://www.mw.go.kr/front/sch/search.jsp에서 2010년 12월 인출. 

  24. 보건복지부(2010). 2009 보건복지백서. http://www.mw.go.kr/front/jb/sjb0501vw.jsp?PAR_MENU_ID03&MENU_ID030501&BOARD_ID320&BOARD_FLAG00&CONT_SEQ242734&page1에서 2011년 4월 인출. 

  25. 안현숙(2007). 가정의 소득수준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영아의 어휘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양진희(2010). 문학적 접근에 기초한 아버지 참여활동이 국제결혼가정 유아의 어휘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0(2), 5-31. 

  27. 여성가족부(2007). 결혼이민자 가족실태 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 방안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28. 오소정, 김영태, 김영란(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대한 기초연구. 특수교육, 8(1), 137-161. 

  29. 위스타트(2011). http://www.westart.or.kr/page.php?Main6&sub1에서 2011년 4월 20일 인출. 

  30. 윤갑정, 고은경(2006).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의 한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6(2), 147-168. 

  31. 윤경선(2006). 사회적 지식에 관한 이야기 나누기 교수 학습 유형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또래 인기도, 사회 인지 및 언어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이경우, 장영희, 이차숙, 노영희, 현은자(1997). 유아에게 적절한 그림책: 유아도서추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양서원. 

  33. 이경화(1999). 문학적 접근을 통항 유아기 언어 학습 방법 모색. 사회과학연구, 6(1), 213-226. 

  34. 이세희(2006). 저소득층 가정환경과 영아의 언어발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언어치료연구, 13(3). 33-52. 

  36. 정하성, 유진이, 이장현(2007). 다문화청소년이해론. 파주: 양서원. 

  37. 황상심, 정옥란(2008).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변인 상관연구. 언어치료연구, 17(1), 81-102. 

  38. Alexander, K. L., & Entwisle, D. R.(1988). Achievement in the first 2 years of school: Patterns and process.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Serial No. 218), 53, 2. 

  39. Ekstand, L. H.(1976). Adjusment among immigrant pupils in Sweden. International Review of Applied Psychology, 25, 167-187. 

  40. McLoyd, V.(1998). Socioeconomic disadvantage and child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3, 185-204. 

  41. Ramey, S. L., & Ramey, C. T.(1992). Early educational intervention with disadvantaged children - to what effect? Applied and Preventive Psychology, 1, 131-140. 

  42. Ramey, S. L., & Ramey, C. T.(2006). Early educational intervention: Principles of effective and sustained benefits from targeted early educational program. In A. K. Dickinson & S. B. Neuman (Eds.), Handbook of early literacy research. New York: Guilford. 

  43. Taft, R.(1977). A comparative study of the initial adjustment school children in Australia.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13, 7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