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Depressive Dispositions, and Depression on the Self Esteem of Adolescent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1 no.6, 2010년, pp.87 - 106  

이은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 ,  박성연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structural model, of which the effect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depressive dispositions, and depression upon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458 adolescents recruited from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M age = 17.4 y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부모의 애정적이고 합리적인 양육행동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김연희·박경자, 2001; 김원경·권희경·전제아, 2001), 거부적이고 강압적인 양육행동은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DeHart, Pelham, & Tennen, 2006; Milevsky, Schlechter, Netter, & Keehn, 2007). 그러나 특정 양육행동이 항상 동일하게 긍정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발달시기나 발달영역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특히 청소년의 독립성 발달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알려진 부모의 심리적 통제(박성연․이은경․송주현․Soenens, 2008)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우울이 자아존중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고려하여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우울을 거쳐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구조적 모형을 설정하고 연구모형의 구조적 관계와 교차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문제의 주요 결과를 요약,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예를 들어 자아존중감을 조사한 통계자료(김순흥, 2007)에서 ‘나는 가끔 나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나는 때때로 나는 안돼 라고 생각한다’ 등의 문항에 청소년들의 약 50%가 응답하였다는 사실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이 상당히 낮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을 고양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그 경로를 탐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경우 청소년기에 무엇을 경험하게 되는가?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진입하는 이행적 발달단계로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으로 많은 변화를 경험하면서 부모로부터 보다 독립적이 되어가고, 삶의 목표나 가치관, 자신에게 맞는 직업, 성역할 및 종교적 또는 철학적 이념을 찾아내야 하는 도전적인 과업들에 직면하게 되는 시기이다(Erikson, 1968).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청소년기는 동양의 집단주의(collectivism)의 영향과 더불어 학업으로 인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가중되는 시기로, 부모로부터 독립하고자 하는 청소년의 욕구와 여전히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기를 바라는 부모의 욕구사이에서 청소년들은 상당한 갈등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심지어 후기 청소년기인 대학생이 되고나서도 자녀의 주의를 떠나지 못하고 항상 맴돌면서 자녀의 개인생활까지 사사건건 개입하는 소위 ‘헬립콥터형’ 부모들(helicopter parents)이 많아, 청소년들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현상은 보편적으로 확산되고 있다(연합뉴스, 2007.
청소년기는 어떠한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진입하는 이행적 발달단계로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으로 많은 변화를 경험하면서 부모로부터 보다 독립적이 되어가고, 삶의 목표나 가치관, 자신에게 맞는 직업, 성역할 및 종교적 또는 철학적 이념을 찾아내야 하는 도전적인 과업들에 직면하게 되는 시기이다(Erikson, 1968).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청소년기는 동양의 집단주의(collectivism)의 영향과 더불어 학업으로 인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가중되는 시기로, 부모로부터 독립하고자 하는 청소년의 욕구와 여전히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기를 바라는 부모의 욕구사이에서 청소년들은 상당한 갈등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청소년의 우울이 자아존중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고려하여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우울을 거쳐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구조적 모형을 설정하고 연구모형의 구조적 관계와 교차타당성을 검증하고자 분석 한 결과와 그 결과를 토대로 논의 한 내용은 무엇인가? 우선 연구문제 1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성향, 우울, 자아존중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에 앞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측정모형의 전반적 적합도 지수들은 모두 기준치에 부합하는 좋은 적합도를 나타내, 잠재변인과 측정변인 사이에 이론적 배경의 근거한 논리구조가 확인되었다. 또한,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성도 확보되어 이 연구에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청소년의 우울성향, 우울, 자아존중감을 측정하는 모형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 타당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그 다음 단계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인 우울성향과 우울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선행연구를 근거로 제안한 이론모형과 그에 대한 대안모형으로 부분매개 모형과 완전매개 모형을 비교한 결과 적합도의 지수가 가장 양호하고 간명한 모형인 완전매개 모형을 연구모형으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에서 채택한 완전매개 모형의 구조적 관계를 경로계수를 통해 살펴본 결과 예상한 바와 같이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청소년의 우울한 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우울성향이 우울을 거쳐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심할수록 청소년은 성격적으로 우울성향을 많이 갖게 되고, 이를 통해 만성적으로 우울을 느끼면서 자아존중감에 손상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모형의 직 간접 경로를 분석한 결과 외생변인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내생변인인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우울, 자아존중감 사이에 직접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우울성향에 영향을 미친다는 직접적 경로는 자녀의 정서적 요구인 독립성을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거나 간섭적인 행동을 하고 소유욕과 과보호행동을 나타내는 분리불안 심리적 통제를 보이는 경우, 자녀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매달리고 의존하며 돌보아지기를 갈망하는 의존적 우울성향을 갖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반면에 아버지와 어머니가 자녀에 대한 기대수준을 지나치게 높게 갖고 있으며, 자녀가 그 기대에 못 미칠 때 죄의식을 유발하는 성취지향적 심리적 통제를 하는 부모의 자녀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 회의적이고 비판적인 자아비난적 우울성향을 가져오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박성연 등(2008)과 Blatt(1974), Sonenes(2006, 2007) 등, Welkowitz 등(1985)의 연구에서 심리적 통제 유형이 우울성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또한, 청소년의 우울성향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의존적이고 자아비난적인 우울성향이 있는 개인은 우울하고 부정적인 평가를 하거나 무기력한 행동을 하는 우울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손보영과 정남운(2006)과 Zuroff 등(1983)의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즉, 우울성향으로 인해 우울을 갖게 된 청소년들은 감정적으로 우울, 슬픔, 무망감, 절망감 등을 느끼게 되며 인지적으로 부정적이거나 비관적인 평가를 많이 하게 되고 행동과 사고가 느려지고 지연행동을 반복하며 사회적 활동을 회피하게 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 나타난 청소년의 우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직접적 경로는 우울한 사람들의 경우, 스스로 자신에 대해 낮은 가치감을 느끼며, 인지적으로 왜곡하여 자기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를 하게 됨으로써 우울이 낮은 자아존중감의 예측변인임을 강조한 Beck(1976), Fray와 Carlock(1989), Rosenberg(1986)의 연구를 지지한다. 즉, 우울한 감정과 부정적인 평가와 둔화된 행동으로 나타나는 우울은 자신을 무능하고 무가치하게 평가하게 함으로써 자아존중감에 손상을 입히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 변인들 사이에 직적접인 경로가 선행연구들에 의해 지지가 됨으로써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우울성향과 우울을 통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본 연구에서의 구조모형은 이론적으로 매우 적합한 모형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연구모형에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 비해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에 우울성향에 미치는 경로의 계수가 작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들어 아버지의 양육참여 중요성이 알려지면서 자녀 양육과 교육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쏟는 아버지들이 많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영향력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서 어머니의 영향력이 더 크다는 결과에 대해서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우선,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적으로 부모에 대한 이해가 엄부자모(嚴父慈母)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아버지의 통제적인 양육행동에 대해 어머니의 통제적인 양육행동보다 더 당연하고 긍정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는데 기인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미국에 거주하는 아시아 청소년들이 권위적이고 엄한 부모를 훌륭한 부모라고 생각하는 경향으로 인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손상을 입지 않았다는 Chao(1994)의 연구결과에 근거한다. 그러나 또한 Chao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영향력은 적지만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 역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자녀간 대화가 적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김경민, 2010), 아버지와 별로 상호작용을 많이 하지 않는 청소년들의 경우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가 있을 경우 이를 보다 민감하게 받아들이기(Bean, Bush, McKenry, & Wilson, 2003) 때문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는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우울을 통해 완전매개 되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청소년의 우울성향과 우울을 차례대로 매개하며, 이 영향을 받아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직접적으로 자아존중감을 저해시키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이 우울한 경험으로 이어져 우울에 취약한 성격특성인 우울성향을 갖게 되며 이러한 직접적인 관계가 장기화되면서 우울상태로 이어져 심각성이 증대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심각한 우울은 자신을 무능력하고 무가치하게 느끼도록 하여 자아존중감을 손상시키게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연구모형을 성과 연령별로 적용했을 때에도 안정된 결과를 도출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남학생과 여학생, 고등학생과 대학생 간 동일성 검증을 한 결과,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경로의 측정계수 뿐만 아니라 공분산 구조까지 동일화제약을 가한 후에도 좋은 모형의 적합도를 나타내며 성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는 동일한 모형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을 우울에 취약한 우울성향을 만들고 이로 인해 더 우울을 느끼게 되며 결국 개인의 적응 및 건강한 성격발달과 자아실현에 중요한 요소인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연구모형은 남 여, 고등학생과 남학생에 차이가 없다는 것으로 모두에게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형임이 입증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우울, 자아존중감 간에 직간접적인 경로는 남녀, 고등학생과 대학생에 관계없이 동일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따라서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청소년으로 하여금 우울한 경험을 많이 하게하여 우울에 취약한 성격 즉, 우울성향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증상적인 우울로 이어지고 이는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6)

  1. 김경민(2010). 부부갈등,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남녀 청소년의 친구관계 질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계수(2007). NEW AMOS 16.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3. 김소연(2008). 미술매체를 이용한 집단 상담이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순홍(2007). 한국 청소년의 사회심리와 일탈행위. 한국사회조사연구소. 

  5. 김연희.박경자(2001).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및 귀인 성향과 아동의 자아 존중감의 관계. 아동학회지, 22(2), 49-64. 

  6. 김원경.권희경.전제아(2001). 부모 양육 행동 및 아동의 심리적 제반 변인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경로 분석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4(3), 87-105. 

  7. 박성연.이은경(2009). 청소년기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구성요소의 타당성 연구 : 분리불안 심리적통제와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 아동학회지, 30(2), 211-229. 

  8. 박성연.이은경.송주현.Soenens, B. (2008). 부모의 심리적 통제유형이 청소년의 의존심, 자아비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5), 65-78. 

  9. 배성우.신원식(2005). CES-D척도의 요인구조 분석 : 확인적 요인분석 방법의 적용. 보건과 사회과학, 18, 165-190. 

  10. 손보영.정남운(2006). 자기 비판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에서 나타나는 대인관계 패턴 : CCRT 방법을 통한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18(1), 21-45. 

  11. 송지준(2009).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 분석방법. 파주: 21세기사. 

  12. 연합뉴스, 2007. 10. 8. 

  13. 이순묵(2000). 요인분석의 기초. 서울: 교육과학사. 

  14. 정태연(2010). 한국사회의 집단주의적 성격에 대한 역사.문화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24(3), 53-76. 

  15. 한규석(2009). 사회심리학의 이해(3판). 서울: 학지사. 

  16. 홍세희(2007). 구조방정식 모형의 이론과 응용.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17.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18. Barber, B. K. (1990). Marital quality, parental behaviours, and adolescent self-esteem. In : Barber, B. K. and Rollins, B. C., Editors, 1990.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 Barber, B. K. (1996).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 Revisiting a neglected contruct. Child Development, 67, 3296-3319. 

  20. Barber, B. K. (2002). Intrusive parenting.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1. Barber, B. K., & Harmon, E. L. (2002). Violating the self :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B. K. Barber (Ed.), Intrusive parenting : 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ts.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2. Barber, B. K., Olsen, J. E., & Shagle, S. C. (1994). Associations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ontrol and youth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65, 1120-1136. 

  23. Bean, R. A., Barber, B. K., & Crane, D. R. (2006) Parental support, behavioral control, and psychological control among African American youth : The relationship to academic grades, delinquency, and depression. Journal of Family, 27, 1335-1355. 

  24. Bean, R. A., Bush, K. R., McKenry P. C., & Wilson, S. M, (2003). The Impact of Parental Support, Behavioral Control, and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steem of African American and European American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8 (5), 523-541. 

  25. Beck, A. T. (1976). Cognitjve therapy and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26. Blatt, S. J. (1974). Levels of object representation in anaclitic and introjective depression. Psychoanalytic Study of child, 29, 107-154. 

  27. Blatt, S. J. (2004). Experiences of depression : Theoretical, clinical and research perspectives.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8. Blatt, S. J., D'Afflitti, J. P., & Quinlan, D. M. (1976). Experiences of depression in nomal young adul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5, 383-389. 

  29. Blatt, S. J., & Homann, E. (1992). Parent-child interaction in the etiology of depress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12, 47-91. 

  30. Burns, D. (1980). The perfectionist's script for selfdefeat. Psychology Today, November, 34-52. 

  31. Chao, R. (1994). Beyond parental control and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 understanding Chinese parenting through the cultural notion of training. Child Development, 65, 1111-1119. 

  32. Charles, W., & Patricia, K. (2006).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Boston : McGraw.Hill. 

  33. Collins, W., A., & Russell, G. (1991). Mother-child and father-child relationships in middle childhood and adolescence : A developmental analysis. Developmental Review, 11(2), 99-136. 

  34.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 Freeman and Company. 

  35. DeHart, T., Pelham, B. W., & Tennen, H. (2006). What lies beneath : Parenting style and implicit self-esteem.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2, 1-17. 

  36. Erikson, E. H. (1968). Identity : Youth and crisis. New York : Norton. 

  37. Flouri, E., & Buchanan., A. The Role of Father Involvement and Mother Involvement i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 being.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33(3), 399-406. 

  38. Fomell, C., & Larcker, D. F. (1981).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 Algebra and Statistic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3), 382-388. 

  39. Fray, D., & Carlock, C. J. (1989). Parental behaviour and adolescent self-esteem.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8, 461-465. 

  40. Hagborg, W. J. (1993)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and Harter's Self-perception Profile for adolescents : A concurrent validity study. Psychology in Schools, 30, 132-136. 

  41.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e Analysis (6th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 Prentice Hall. 

  42. Hammen, C., Ellicott, A., Gitlin, M., &. Jamison, K. (1989). Sociotropy/autonomy and vulnerability to specific life events in patients with unipolar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8, 154-160. 

  43. Harter, S., & Whitesell, N. R. (1996). Multiple Pathways to Self Reported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8, 761-777. 

  44. Hewitt, P. L., & Dyck, D. G. (1986). Perfectionism, stress, and vulnerability to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0, 137-142. 

  45. Hokanson, J. E., & Butler, A. C. (1992). A cluster analysis of depressed college students' social behavio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 273-280. 

  46.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1), 1-55. 

  47. Kanfer, F. H., & Hagerman, S. (1981). The role of self-regulation. In L. P. Rehm (Eds.), Behavior therapy for depression : Pres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New York : Academic Press. 

  48. Kernis, M. H., Grannemann, B. D., & Mathis, L. C. (1991). Stability of self-esteem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 between level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81-84. 

  49. Lewinsohn, P. M., Gotlib, I. H., & Seeley, J. R. (1997). Depression-related psychosocial variables : Are they specific to depress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6, 365-375. 

  50. Milevsky, A., Schlechter, M., Netter, S., & Keehn, D. (2007). Maternaland paternal parenting styles in adolescents : Associations with self-esteem,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6, 39-47. 

  51. Miniton, C., & Pasely, K. (1996). Fathers' Parenting Role Identity and Father lnvolvement A Comparison of Nondivorced and Divorced, Nonresident Fathers. Journal of Family Issues, 17(1), 26-45. 

  52. Mruk, C. J. (2006). Self-esteem research, rheory, and practice : Toward a positive psychology of selfesteem (3th ed.), New York : Springer. 

  53. Owens, T. J. (1993). Accentuating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 Rethinking the use of self-esteem, selfdeprecation, and self-confidence. Social Psychology Quarterly, 56, 288-299. 

  54. Oyserman, D., Coon, H., & Kemmelmeier, M. (2002). Rethinking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 Evaluation of theoretical assumptions and metaanalyses. Psychological Bulletin, 128, 3-72. 

  55.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56. Raykov, T., & Marcoulides, G. A. (1999). On Desirability of Parsimony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Selec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 292- 300. 

  57.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J : Princeton University Press. 

  58.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59. Rosenberg, M. (1986). Self-concept from middle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 In J. Suls & A. G., Greenwald (Eds.), Psychologycal perspectives on the self, 3. Hillsdale, NJ : Erlbaum. 

  60. Soenens, B., & Vansteenkiste, M. (2007). Distinguishing among types of psychological control : Seperationanxious versus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In A. Assor (Chit), Disentangling the contruct of parental control : Conceptual and measurement issues. Symposium conduc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on Child Development (SRCD), Boston. 

  61. Soenens, B., Vansteenkiste, M., Duriez, B., & Goossens, L. (2006). In search of sources of psychologically controlling parenting : the role of parental separation anxiety and parental maladaltive perfectionism.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16, 539-559. 

  62. Stolz, H. E., Barber, B. K., & Olsen, J. A. (2005). Disentangling fathering and mothering : An assessment of relative importan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7(4), 1076-1092. 

  63. Tafarodi, R. W., & Swann, W. B., Jr. (1995). Selfliking and self-competence as dimensions of global self-esteem: Initial validation of a measur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5, 322-342. 

  64. Trzesniewski, K. H., Donnellan, M. B., Moffitt, T. E., Robins, R. W., Poulton, R., & Caspi, A. (2006). Low self -esteem during adolescence predicts poor health, criminal behavior, and limited economic prospects during adulthood. Developmental Psychology, 42, 381-390. 

  65. Welkowitz, J., Lish, J. D., & Bond, R. N. (1985). The Depressive Experiences Questionnaire : Revision and valid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89-94. 

  66. Zuroff, D. C., Moskowitz, D. S., Wielgus, M. S., Powers, T. A., & Franko, D. L. (1983).Construct validation of the dependency and self-criticism scales of the Depressive Experiences Questionnaire. Journal of Research on Personality, 17, 226-2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