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유아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 Behavior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1 no.6, 2010년, pp.167 - 183  

조수정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도현심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김상원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 behaviors. The question as to whether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ttitudes and problem behaviors was also explore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만 3-5세 유아기 남녀 아동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유아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유아의 정서지능이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일반적으로 동일한 보고자에 의해 얻어진 점수들 간에는 상이한 보고자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데, 이러한 경향은 본 연구결과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의 두 가지 변인이 유아의 문제행동의 선행 요인임을 규명하는 데 그쳤다. 후속 연구에서는 또 다른 예측변인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변인들이 어떻게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 그 발달경로를 밝힘으로써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만 3-5세 유아기 남녀 아동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유아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유아의 정서지능이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였다.
  • 측정법과 관련하여 보고자 차이에서 발생하는 점을 고려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어머니가 직접 보고한 정서표현 수용태도 점수와 교사보고에 의한 유아의 정서지능, 문제행동 점수 간에 통계적으로 미약한 결과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의 일부는 서로 다른 보고자를 사용한 것에 기인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보고자에 의해 얻어진 점수들 간에는 상이한 보고자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데, 이러한 경향은 본 연구결과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 유아의 문제행동에 있어서 모-자녀관계와 정서발달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양자를 동시에 살펴본 선행 연구는 드물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모-자녀관계 중 자녀의 정서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어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관련된 아동 변인들에 관해 살펴보았고, 그와 동시에 정서발달 측면에서 유아의 정서적 능력과 문제행동간의 관계를 밝혔다. 특히, 유아의 정서지능의 여러 하위요인들 가운데 자기조절능력을 비롯한 다른 하위요인들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 마지막으로 선행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외현화, 내면화 등 포괄적 측면을 다루기보다 공격성과 같이 특정 문제행동에만 초점을 둠으로써 유아의 문제행동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데 부족함이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자신과 타인의 정서 인식 및 조절로 구성된 정서지능, 그리고 공격성, 불안, 산만성을 포함한 문제행동 등 세 가지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동시에,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적 역할을 탐색하였다.
  •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모-자녀관계 중 자녀의 정서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어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관련된 아동 변인들에 관해 살펴보았고, 그와 동시에 정서발달 측면에서 유아의 정서적 능력과 문제행동간의 관계를 밝혔다. 특히, 유아의 정서지능의 여러 하위요인들 가운데 자기조절능력을 비롯한 다른 하위요인들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렇듯 본 연구는 부모-자녀관계 개선과 유아의 건강한 정서발달을 목표로 하는 중재적 노력에서 정서를 둘러싼 관계 중심적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가설 설정

  •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마찬가지로, 정서지능과 관련된 기술의 습득 역시 일차적으로 가정에서 시작된다는 점에서, 유아는 부모를 통해 적절한 정서표현 발달을 경험할 수 있음을 가정할 수 있다. 즉 유아는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서를 경험하고, 정서적 반응을 해석하며, 다양한 상황에서 수용되는 정서표현과 적절치 못한 정서표현 방식을 인식하게 되며 이를 바탕으로 행동하게 된다(Parke, 199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행동은 무엇인가? 문제행동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한마디로 정의내리기 어려우나, 연령에 적절한 규범적 행동에 비추어 보았을 때 정상적인 범주에서 벗어나 발달상 부적절한 행동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유아기의 문제행동은 일반 부모나 교사의 일상적인 지도 범위를 벗어나 어려움을 야기하는 행동으로 볼 수 있다(조희숙ㆍ서수인, 1998; 황혜정ㆍ윤명희ㆍ강성빈ㆍ성낙운ㆍ황혜신, 2002).
문제행동은 어떻게 나누어 볼 수 있는가? 특히 유아기의 문제행동은 일반 부모나 교사의 일상적인 지도 범위를 벗어나 어려움을 야기하는 행동으로 볼 수 있다(조희숙ㆍ서수인, 1998; 황혜정ㆍ윤명희ㆍ강성빈ㆍ성낙운ㆍ황혜신, 2002). 문제행동은 외현화 문제행동과 내면화 문제행동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외현화 문제행동은 주로 환경이나 사회에 대한 공격성, 적대성, 거짓말, 도벽, 다른 사람을 못살게 구는 등 외적으로 드러나는 부적응 행동을 의미하는 반면, 내면화 문제행동은 외로움, 사회적 위축, 불안, 우울, 두려움 등 정서적인 문제를 의미한다(Achenbach & Edelbrock, 1981).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는 어떤 개념인가? 최근 연구자들은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에서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가 유아의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maternal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라는 용어를 개발하였다. 이 개념은 슬픔, 두려움, 행복, 기쁨, 혐오감, 호기심, 만족, 우울 등 자신이 느끼는 감정 또는 정서를 밖으로 표출하는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을 의미하며, 크게 허용ㆍ수용적 태도와 엄격ㆍ통제적 태도로 구분된다(Saarni, 1989; Saarni, Mumme, & Campos, 1998). 허용ㆍ수용적 태도는 아동이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 지지해 주는 것을 의미하며, 엄격ㆍ통제적 태도는 아동이 특히 부정적 정서를 표현할 때 감정을 인정해 주기보다는 제한하는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8)

  1. 강지현.오경자(2010). 유아기 외현화 문제행동의 하위 발달경로에 미치는 기질의 효과 : 잠재성장 혼합모형 분석을 적용한 단기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9(3), 875-894. 

  2. 김경희.김경회(1999). 유아 정서지능의 구인 타당화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2(1), 25-38. 

  3. 김문신.김광웅(2003).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정성표현 수용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6(1), 3-13. 

  4. 김수영.정정희(2003). 유아의 또래수용도, 정서지능, 적응행동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26, 239-257. 

  5. 김순정(2001). 어머니의 정서 표현 수용 태도와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 및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연.한태숙.황혜정(2004). 유아의 정서지능.인지능력.기질과 문제행동의 관계성 및 영향력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6), 277-298. 

  7. 김은경.도현심.김민정.박보경(2007).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부모의 태도, 남녀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8(3), 115-131. 

  8. 김지윤(2006). 유아의 기질 및 부부갈등과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호정(2002).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서향희(2002). DAP 유아교사 신념이 유아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송진숙(2004).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기질, 사회적 능력, 정서지능 및 부모의 양육태도.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35, 143-161. 

  12. 송혜영(2007). 유아의 정서적.행동적 자기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염미애.문혁준(2007). 유아의 정서지능 및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대학가정학회지, 45(4), 61-75. 

  14. 이병래(1997). 부모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이지현(2007).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정서지능 및 아동의 정서지능간의 관련성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이찬숙(2008).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개인, 가정환경 및 지역사회 변인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임지연.이정숙(2009).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언어통제 유형에 따른 아동의 문제해동의 차이.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4(2), 55-77. 

  18. 조희숙.서수인(1998).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 지각과 어머니 지각간의 관계 연구. 부산유아교육학회지, 8(1), 165-181. 

  19. 하승희(2000). 아동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및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한영민(2005). 부모의 정서표현 및 유아에 대한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허애수(2003).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 및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 유능성.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허태희(2008). 기질과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황혜정(1999). 아동의 정서지능 발달과 정서 행동 문제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3(1), 67-84. 

  24. 황혜정.윤명희.강성빈.성낙운.황혜신(2002). 유아용 문제행동 진단검사 개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지, 22(1), 72-88. 

  25. Achenbach, T. M., & Edelbrock, C. S. (1981). Behavral problems and competencies reported by parents of normal and disturbed children aged four through sixtee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46, 1-82. 

  26. Albercht, T. L., Burleson, B. R., & Goldsmith, D. J. (1994). Supportive communication. In M. L. Knapp & G. R. Miller (Eds.), Handbook of interrsonal communication. 2nd ed. (pp. 419-449). Thousand Oaks. CA : Sage. 

  2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ediator variables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y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28. Baumrind, D. (1968). Manual for the preschool behavior Q sort. Berkeley : University of California, institute of Human Development. 

  29. Behar, L., & Stringfield, S. (1974). A behavior rating scale for the preschool child. Developmental Psychology, 10, 601-610. 

  30. Brenda, L., Carlo, E., & Denham, B. (2001). The relation among Mother's acceptance of emotional expression children's emotional maladjustment and prosocial behavior. Human Relations, 13, 38-9. 

  31. Carnras, L. A. (1985). Socialization of affect commucation. In M. Lewis, & C. Saarni (Eds.), The socialization of emotions (pp. 141-160). New York : Plenum Press. 

  32. Caspi, A., Lynam, D., Moffitt, T. E., & Silva, P. A. (1993). Unraveling girls' delinquency : Biological, dispositional, and contextual contributions to adoscent misbehavior. Developmental Psychology, 29, 19-30. 

  33. Cole, P. M. (1986). Children's spontaneous control of facial expression. Child Development, 57, 1309-321. 

  34. Davies. P. T., & Cummings, E. M. (1994). Children and marital conflict : The impact of family dispute and resolution. New York : Guilford Press. 

  35. Denham, S. A., Zoller, D. & Couchoud, E. (1994). Preschoolers' causal understanding of emotion and its socializ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0, 928-936. 

  36. Dix, T. (1991). The affective organization of parenting : Adaptive and maladaptive processes. Psychological Bulletin, 110, 3-25. 

  37. Dunn, J., & Brown, J. (1994). Affect expression in the family,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others. Merrill-Palmer Quarterly, 40, 120-137. 

  38. Dunn, J., Brown, J., & Beardsall, L. (1991). Family talk about emotions, and child's later understanding of others' emo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27, 448-455. 

  39. Eisenberg, N., Fabes, R. A., Carlo, G., & Karbon, M. (1992). Emotional responsivity to others : Behavral correlates and socialization antecedents. New Directions in Child Development, 55, 57-73. 

  40. Eisenberg, N., & Mussen, P. H. (1989). The roots of prosocial behavior in children.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Eisenberg, N., &. Miller, P. (1988). The relation of empathy to aggressive and externalizing/antisocial behavior. Psychological Bulletin, 103, 324-344. 

  42. Garber, J., Braafladt, N., & Weiss, B. (1995). Affect regulation in depressed and nondepressed children and young adolescent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7, 93-115. 

  43. Goleman, D. (1995). Emotion intelligence, New York : Bantam Books. 

  44. Grolinick, W. S., Bridges, L. J., & Connell, J. P. (1996). Emotion regulation in two-year-olds : Strategies and emotional expression in four contexts. Child Development, 67, 928-941. 

  45. Gottman, J. M., Katz, L. F., & Hooven, C. (1997). Meta-emotion. Hillsdale, NJ : Erlbaum. 

  46. Hughes, R. Jr., Tingle, B. A., & Sawin, D. B. (1981). Development of empathic understanding in children. Child Development, 52, 122-128. 

  47. Hyson, M. C. (1994). 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Building on emotion-centered curriculum. New York :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48. Kaban, B. T., White, B. L., & Attanucci, J. (1979). Origins of human competence, Englewood Cliffs, NJ : Lexington Books. 

  49. Keiley, M. K., Lofthouse, N., Bates, J. E., Dodge, K. A., & Pettit, G. S. (2003). Differential risks of covarying and pure components in mother and teacher reports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across ages 5 to 14. Journal or Abnormal Child Psychology, 31, 267-283. 

  50. MacDonald, K., & Parke, R. D. (1984). Bridging the gap :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ve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55, 1265-1277. 

  51. Mathiesen, K. S., & Sanson, A. (2000). Dimensions of early childhood behavior problems : Stability and predictors of change from 18 to 30 month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Iogy, 28, 15-31. 

  52. Mischel, H. N., &. Mischel, W. (1983).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knowledge of self-control strategies. Child Development, 54, 603-619. 

  53. Mounton-Simien, P., McCain, A. P., & Kelley, M. L. (1997). The development of the toddler behavior screening inventory.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5, 59-64. 

  54. Owens, E. B., & Shaw, D. S. (2003). Predicting growth curves of externalizing behavior across the preschool year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1, 575-590. 

  55. Pamela, W. G., & Badiyyah, W.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 Behavioral Problem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1, 159-177. 

  56. Parke, R. D. (1994). Progress, Paradigms, and unresolved problems : Recent advances in our understanding of children's emotions. Merrill-Palmer Quarterly, 40, 157-169. 

  57. Putallaz, M. (1987). Maternal Behavior and Children's Sociometric Status. Child Development, 58, 324-340. 

  58. Roberts, W., & Strayer J. (1996). Empath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osocial behavior. Child Development, 67, 449-470. 

  59. Saami, C. (1989).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arental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 (PACES). Unpublished Manuscript, Sonoma State University. 

  60. Saarni, C. (1997). Emotional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in childhood. In P. Salovey & D.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pp. 35-66). New York : Basic Books. 

  61. Saarni, C., Mumme, D. L., & Campos, J. J. (1998). Emotional development : Action,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In W. Damon (series Ed.) & N. Eisenberg (Vol.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Vol. 3 (5th ed., pp. 237-309). New York : Wiley. 

  62. Sally, R. R., & Julie, A. H. (2002). Family expressiveness and parental emotion coaching : their role i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aggressio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0, 657-667. 

  63.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11. 

  64. Salovey, P., & Mayer, J. D.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D. Salovey & D. J.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al intelligence : Educational implications (pp. 3-34). New York : Basic Books. 

  65. Shields, A., & Cicchetti, D. (1998). Reactive aggression among maltreated children : The contributions of atten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7, 381-395. 

  66. Tomblin, J. B., Zhang, X., Buckwalter, P., & Catts, H. (2000). The association of reading disability, behavioral disorders, and language impairment among second-grade childre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1, 473-482. 

  67. Wood, J. J., Cowan, P. A., & Baker B. L. (2002). Behavior problems and peer rejection in preschool boys and girls.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63, 72-88. 

  68. Zeman, J., & Shipman, K. (1996). Children's expression of negative affect : Reasons and methods. Developmental Psychology, 32, 842-8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