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여성의 주관적 연령과 의복쇼핑성향에 관한 연구
Subjective Age and Clothes Shopping Orientation of Adult Wome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0 no.6, 2010년, pp.74 - 88  

최정원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evance between the subjective age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by adults women located in the cities of Seoul and Gyeonggi.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subjective age was identified with interest age, look age, and physical age. Customers were segmented into...

주제어

참고문헌 (49)

  1. bnt뉴스 패션팀 (2009. 11. 21). 여성 패션, 이제는 30-40대가 주도한다. 한경닷컴, 자료검색일 2010. 1. 2, 자료출처 http://bntnews.hankyung.com 

  2. 한국패션협회 (2009. 12. 14). Korea Fashion Market Trend 보고서. 한국패션협회, 자료검색일 2010. 1. 21, 자료출처 http://www.koreafashion.or.kr 

  3. 이정연, 윤영미 (2009. 2. 6). '4050 루비족. 노무족'을 모셔라. 한겨레, 자료검색일 2010. 1. 10, 자료출처 http://www.hani.co.kr 

  4. 유인경 (2007. 6. 21). 新 중년여성들의 나이 탈출 '나우족'. 경향닷컴. 자료검색일 2010. 1. 10, 자료출처 http://news.khan.co.kr 

  5. 이은아, 김미숙 (2000). 주관적 연령에 따른 의복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3), pp. 355-365. 

  6. Barak, B., Mathur, A., Lee, K., & Zhang, Y. (2001). Perceptions of age-identity: A cross-cultural innerage exploration. Psychology & Marketing, 18(10), pp. 1003-1029. 

  7. 박영욱 (2003).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주관적 연령지각 및 여가활동 형태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71-72. 

  8. 서은현, 윤가현 (2001). 여성이 지각하는 주관적 연령.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6(1), pp. 61-70. 

  9. 김정진 (2004). 30, 40대의 주관적 연령지각과 심리적 건강.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2. 

  10. Howell, R. D. (1979). A multi-variate examination of a patronage model: The impact of value and life styles on shopping orientatio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kansas. Fayette ville. pp. 135-142. 

  11. 김세희 (2003). 의복쇼핑성향의 개념적 구조 규명과 측정 도구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5. 

  12. 정찬진, 박재옥 (1996). 노년층 소비자의 인지 연령에 따른 쇼핑성향과 의류점포속성 중요도. 한국의류학회, 21(1), pp. 28-42. 

  13. 부경희 (2005). 젊은 오빠인식: 인지 연령인식이 노인세대의 소비 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16(1), pp. 37-66. 

  14. 김정실 (2006). 뉴실버 여성소비자의 지각연령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연구-라이프스타일과 쇼핑성향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1. 

  15. 강은미, 박은주 (2009). 주관적 연령이 의류점포의 서비스품질 지각, 만족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실버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3(3), pp. 355-365. 

  16. 윤유경 (1996). 주관적 연령의 예측 요인과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 

  17. 윤유경 (1996). 주관적 연령의 예측 요인과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 

  18. Settersten, R., & Mayer, K.(1997). The measurement of age, age structuring, and the life course. Annual Review of Sociology, 23, pp. 233-261. 

  19. 이은아 (2000). 주관적 연령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6. 

  20. Barak B., & Stern, B. (1986). Subjective age correlate: A research note. Gerotologist, 26(5), pp. 571-579. 

  21. 부경희 (2005). 젊은 오빠인식: 인지 연령인식이 노인세대의 소비 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16(1), pp. 37-66. 

  22. 손원숙 (1994). 주관적 연령지각과 자아개념 및 생활 만족도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5-46. 

  23. Barak, B. (1998). Inner-ages of middle-aged primelifers.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46(3), pp. 243-269. 

  24. Henderson, K., & Goldsmith, R. (1995).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ive ag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5(4), pp. 447-439. 

  25. Montepare, J., & Lachman, M. N. (1989). You're only as old as you feel: Self-perceptions of age, fears of aging, and life satisfaction from adolescence to old age. Psychology and Aging, 4(1), pp. 73-78. 

  26. Peters, G. R. (1971). Self-conception of aged, Ageidentification and aging. The Gerontologist, 11(4 Part 2), pp. 69-73. 

  27. Ward, R. A. (1977). The impact of subjective age and stigma in older persons. Journal of Gerontology, 32(2), pp. 227-232. 

  28. 김정실 (2006). 뉴실버 여성소비자의 지각연령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연구-라이프스타일과 쇼핑성향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76-140. 

  29. 이은아 (2000). 주관적 연령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3-35. 

  30. 김정진 (2004). 30, 40대의 주관적 연령지각과 심리적 건강.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1. 

  31. Stone, G. P. (1954). City shoppers and urban identification: Observation on the social psychology of city lif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60(1), pp. 36-45. 

  32. Howell, R. D. (1979). A multi-variate examination of a patronage model: The impact of value and life styles on shopping orientatio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kansas. Fayette ville, pp. 8-10. 

  33. Hawkins, D. I., Best, R. J., & Coney, K. A. (1989). Consumer behavior: Building Marketing Strategy (4th ed.). Boston, Mass: Irwin/McGraw Hill, p. 641. 

  34. 최수현 (1996). 미혼여성의 가치관과 의복쇼핑성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35. 김세희 (2003). 의복쇼핑성향의 개념적 구조 규명과 측정 도구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7. 

  36. 김세희 (2003). 의복쇼핑성향의 개념적 구조 규명과 측정 도구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47. 

  37. 신수래 (2008). 가치관, 의복이미지와 의복쇼핑성향의 관계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6-17. 

  38. 정정현 (2004). 인터넷 쇼핑과 TV홈쇼핑 위험지각에 따른 의복쇼핑성향, 구매의도, 구매행동.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4. 

  39. 임경복 (2006). 거주지별 쇼핑성향이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4(3), pp. 366-380. 

  40. 신승현 (2007). 2635세대의 의복쇼핑성향 및 의복구매 동기에 관한 연구: 여가 행동 참여 정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4-85. 

  41. 신수래 (2008). 가치관, 의복이미지와 의복쇼핑성향의 관계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02. 

  42. 이호정 (2009).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매장 VM이 쇼핑감정 및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5. 

  43. 김정실, 이선재 (2008). 뉴실버 여성소비자의 지각연령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쇼핑성향 연구(제2보). 한국의류학회지, 32(11), pp. 1726-1738. 

  44. 류제은 (2005). 중 장년층 여성의 인지 연령(Cognitive Age)와 쇼핑행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0. 

  45. 김정실 (2006). 뉴실버 여성소비자의 지각연령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연구-라이프스타일과 쇼핑성향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73-174. 

  46. 이은아 (2000). 주관적 연령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97-98. 

  47. 김세희 (2003). 의복쇼핑성향의 개념적 구조 규명과 측정 도구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37-240. 

  48. 김정진 (2004). 30, 40대의 주관적 연령지각과 심리적 건강.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7. 

  49. 윤유경 (1996). 주관적 연령의 예측 요인과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