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소비자의 의복 쇼핑 성향에 따른 의복 구매 행동 - 연령집단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on Women Consumers'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 Focu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by Age Variable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18 no.6, 2010년, pp.1138 - 1152  

이미숙 (공주대학교 의류상품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egment women consumers on the basis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to investigat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of each segmented group by age variable for development of effective fashion marketing strategies to meet very changeable modern consumers' need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의복 쇼핑 성향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일부 연구들은 특정 연령층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의복 쇼핑 성향에 따른 의복 행동을 연령별로 비교분석하기에는 미흡하며7~9), 20~50대 이상의 폭넓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전체 소비자의 의복 쇼핑 성향에 대해서만 분석한 연구가 대부분으로10~13), 연령집단별로 세분화하여 그 차이를 비교분석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60대에 걸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의복 쇼핑 성향을 조사하고 의복 쇼핑 성향에 따른 소비자 유형을 연령별로 구분하여 각 집단의 다양한 의복 구매 행동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패션기업에게 여성의 의복 쇼핑 성향에 따른 연령별 차이와 의복 구매 행동의 특성을 이해하고 각 세분시장에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60대에 걸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의복 쇼핑 성향에 의한 소비자 유형별 의복 구매 행동의 특성을 연령별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의복 쇼핑 성향에 따른 소비자 유형별 특성과 의복 구매 행동을 연령별로 비교분석함으로써 패션기업에게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의 소비자를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복 쇼핑 성향이란? 의복 쇼핑 성향이란 의복 쇼핑 특정적 라이프스타일 즉, 의복 쇼핑에 대한 소비자 개인의 행동, 흥미, 의견이 통합되어 나타나는 패턴화된 의복 쇼핑 양상을 말한다1). 의복 쇼핑 성향은 소비자들의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고 세분화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으로 보여지는데, 선행 연구 결과2~4)들을 살펴보면 소비자들은 의복 쇼핑 성향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특성, 심리적 특성, 선호하는 패션 정보원, 상점 선택, 의복 평가 기준 등의 다양한 의복 구매 행동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시장 세분화에는 어떤 변인이 사용되는가? 일반적으로 패션시장 세분화에는 지리적 변인, 인구통계학적 변인, 심리적 변인, 행동학적 변인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추구 혜택, 사용 상황, 의복 쇼핑 성향 등과 같은 행동학적 변인은 구매 행동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변인으로서 누가 비슷한 욕구를 갖고 있는지를 가려내는데 효과적인 변인으로 고려되어 진다5).
의복 쇼핑 성향에 따른 연령별 소비자 유형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한편, 의복 쇼핑 성향에 따른 연령별 소비자 유형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대는 의복 쇼핑 성향에 따른 소비자 유형별로 용돈, 학력, 사회계층, 직업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외모 관심에서만 차이가 나타나 쾌락추구형이 가장 높은 외모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대는 직업 유무에 차이가 있어 쾌락추구형은 직업이 없는 경우가 많은 반면 무관심형은 직업이 있는 경우가 많았고, 과시추구형과 편의추구형은 직업 유무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0대는 외모 관심, 용돈, 학력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여, 과시추구형은 외모 관심이 비교적 높고 경제적으로 여유있으며 대학원 이상의 고학력자가 많았고, 편의추구형과 쾌락추구형은 외모 관심은 비교적 높으나 용돈이 적고 고졸 학력자가 많았으며, 무관심형은 경제적으로 여유 있고 학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모 관심이 4유형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0대는 외모 관심, 용돈, 학력, 직종 등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과시추구형은 외모 관심은 중간수준이며 경제적으로 여유있는 집단으로 학력도 비교적 높고 다른 유형에 비해 전문직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추구형은 외모 관심은 과시추구형보다 높으나 용돈이 가장 적고 학력은 고졸학력이 대부분이었으며, 쾌락추구형은 외모 관심이 매우 높고 경제적으로 여유 있으며 중졸 이하가 많으나 대학원 이상의 고학력자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무관심형은 외모 관심이 매우 낮으며 용돈은 중간 수준이고 학력은 중졸 이하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귀연, 이경희 (1998). "패션전문점 소비자의 쇼핑 성향과 점포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권 7호. 

  2. 김세희, 이은영 (2004). "의복 쇼핑 성향의 개념 규명을 위한 문헌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권 3/4호. 

  3. 김세희, 이은영 (2004). "의복 쇼핑 성향의 측정도구 개발(제 1보)." 한국의류학회지 28권 9/10호. 

  4. 김소영, 이은영 (1994). "소비자의 의복 쇼핑 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권 3호. 

  5. 서은희 (1995). "소비자의 의복 쇼핑 성향: 의복관여, 지속적 정보 탐색 및 의복 구매 행동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서현수 (2004). "30-4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 구매 행동."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손민석, 박혜선 (2001). "의복 쇼핑 성향에 따른 청소년집단들의 의복 구매 행동." 한국의류학회지 25권 6호. 

  8. 손선화 (2002). "여대생들의 의복 쇼핑 성향과 점포 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패션? 텍스타일 비즈니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신수연 (1999). "여대생들의 의복 쇼핑 성향에 따른 점포속성중요도, 정보원의 이용, 자기이미지의 차이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7권 6호. 

  10. 이명희 (1995). "소비자의 의복 구매 성향과 구매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권 5호. 

  11. 이영미, 이옥희 (2003). "직장 여성의 쇼핑 성향에 따른 의복 구매 동기와 제품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1권 2호. 

  12. 임경복 (2001). "소비자의 가치체계가 의복관여도와 쇼핑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권 7호. 

  13. 임경복 (2006). "거주지별 쇼핑 성향이 의복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4권 3호. 

  14. 임경복 (2007). "여성 구매자의 정보원활용 유형에 따른 의복관여도 및 쇼핑 성향과 의복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9권 1호. 

  15. 임성경 (2006). "문화의 차이에 따른 의복 가치관과 의복 구매 행동 비교연구: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임숙자, 신혜봉, 김혜정, 이현미 (2001). 패션마케팅과 소비자행동. 서울: 교문사. 

  17. 전경란, 이미숙 (2008). "여성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청년층, 중년층, 노년층을 대상으로." 복식문화연구 16권 3호. 

  18. 정혜영 (1996). "여대생들의 의복 쇼핑 성향과 시장 행동." 복식문화연구 4권 2호. 

  19. 최선형, 박혜선, 손미영, 전양진 (2005). 21세기 패션 마케팅. 서울: 창지사. 

  20. Bellenger, D. N. and P. K. Korgaonkar (1980). "Profiling the Recreational Shopper." Journal of Retailing Vol. 56, No. 3. 

  21. Full, G. K. and S. C. Blackwell (1992). "Wardrobe Consultant Clientele: Identifying and Describing Three Market Segment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Vol. 10, No. 2. 

  22. Howell, R. D. (1979). A Multi-variate Examination of a Patronage Model: The Impact of Values and Life Styles on Shopping Orientation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isty of Arkansas, Fayetteville. 

  23. Moschis, G. P. (1976). "Shopping Orientation Segmentation of the Elderly Consumer." Journal of the Retailing Vol. 52, No. 2. 

  24. Moye, L. N. and D. H. Kincade (2003). "Shopping Orientation Segments: Exploring Differences in Store Patronage and Attitudes Toward Retail Store Environments among Female Apparel Consumer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 27, No. 1. 

  25. Shim, S. and A. Kotsiopulos (1992). "Patronage Behavior of Apparel Shopping: Part I . Shopping Orientations, Store Attributes, Information Sourc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Vol. 10, No. 2. 

  26. Shim, S. and A. Kotsiopulos (1993). "Typology of Apparel Shopping Orientation Segments among Female Consumer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Vol. 12, No. 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