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큰도둑놈의갈고리 지상부의 DPPH Free Radical 소거효과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the Aerial Parts of Desmodium oldhami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1 no.3 = no.162, 2010년, pp.180 - 184  

양석원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  박새롬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  안달래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  양재헌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  조종현 (전북농업기술원) ,  황용훈 ((주)건보) ,  박종한 ((주)건보) ,  김대근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Desmodium oldhami (Leguminosae)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n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The methanolic extract of D. oldhami showed the strong antioxidant activity. Five compounds, kaempferol-3-O-rhamnopyranoside (afzeline) (1),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5,16) 큰도둑놈의 갈고리에 대한 약리활성과 식물화학적 성분연구는 지금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큰도둑놈의갈고리의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효과가 있는 분획의 화합물을 분리하고 그 구조를 확인하여 이 식물이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산화제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항산화제는 반응 기작에 따라 free radical terminator인BHT (buthylhydroxytoluene), BHA (tert-buthylhydroxyanisol)와 reducing agent인 ascorbic acid, glucose oxidase가 있으며, chelating agent인 citric acid, EDTA 등이 있다.8) 이들중 BHT와 BHA 등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있는 합성 항산화제로 경제성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발암성등의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free radical terminator의 단점은? 항산화제는 반응 기작에 따라 free radical terminator인BHT (buthylhydroxytoluene), BHA (tert-buthylhydroxyanisol)와 reducing agent인 ascorbic acid, glucose oxidase가 있으며, chelating agent인 citric acid, EDTA 등이 있다.8) 이들중 BHT와 BHA 등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있는 합성 항산화제로 경제성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발암성등의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9) 따라서 인체에 무해하고 강한 활성을 가진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천연물에서 항산화 물질을 확보하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 되고 있으며, 다양한 항산화 물질들이 보고되고 있다.
활성 산소종에 의해 생성되는 oxidative stress가 유해한 이유는? 인체 내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흡입된 산소의 대부분은 산화적 인산화를 통해 정상적으로 환원되지만 그 중 일부분은 대사 과정 중에서 인체에 유해한 활성산소나 유리기를 형성하여 생체에 장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활성 산소종에 의해 생성되는 oxidative stress는 노인성 질환과 노화를 비롯한 많은 질환의 중요 원인으로 보고2-4)되어 있으며, 활성 산소종이나 유리기를 제거하기 위한많은 항산화의 연구가 보고 되고 있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teinmetz, K. A. and Potter, J. D. (1991) Vegetables, fruit, and cancer. II. Mechanisms. Cancer Causes Contrl. 2: 427-442. 

  2. Yu, B. P. (1996) Aging and oxidative stress: modulation by dietary restriction. Free Radic. Biol. Med. 21: 651-668. 

  3. Cross, C. E., Halliwell, B., Borish, E. T., Pryor, W. A., Ames, B. N., Saul, R. L., Mccord, J. M. and Harman, D. (1987) Oxygen radicals and human diseases. Ann. Intern. Med. 107: 526-545. 

  4. Marx, J. L. (1987) Oxygen free radicals linked with many diseases. Science 235: 529-531. 

  5. Heo, C., Chung, J. H., Jo, B. K., Kim, H. P. and Heo, M. Y. (2003) Antioxidative activities of 60 plant extracts. The Journal of Applied Pharmacology 11: 196-199. 

  6. Suk, S. H. (2006) Antioxidant effect of vitamin E on vascular endothelial cells damag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 685-689. 

  7. You, H. J. and Woo, E. R. (2004) The suppressive effect of medicinal herbs on the H2O-induced hypoxanthine-guanine phosphoribosyl transferase (HPRT) mutation. Kor. J. Pharmacogn. 35: 28-34. 

  8. Dziezak, J. D. (1986) Antioxidants. Food Technology 40: 94-102. 

  9. Branen, A. 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10. Choi, U., Shin, D. H., Chang, Y. S. and Shin, J. I. (1992) Screening of natural antioxidant from plant 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42-148. 

  11. Rim, Y. S., Park, Y. M., Park, M. S., Kim, K. Y., Kim, M. J. and Choi, Y. H. (2000) Screening of antioxida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 native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342-350. 

  12. 정성제, 이진희, 송효남, 성낙술, 이승은, 백남인.(2004) 약 용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검색.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35-140. 

  13. Cheigh, H. S. and Lee C. Y. (1993)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plant phenolic compounds. Life Science 3: 9-17. 

  14. 이정수, 최홍식. (1994) Free radical scavenger로서의 plant phenolics의 특성과 항산화 활성. Life Science 4: 11-18. 

  15. 고경식 (1991) 한국 식물 검색도감(여름), 224, 아카데미서적, 서울. 

  16. 이창복 (1989) 대한식물도감, 474, 향문사, 서울. 

  17. Yoshida, T., Mori, K., Hatano, T., Okumura, T., Uehara, I., Komagoe, K., Fujita, Y. and Okuda, T. (1989) Studies on inhibition mechanism of autooxidation by tannins and flavonoids. V.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Chem. Pharm. Bull. 37: 1919-1921. 

  18. Harborne, J. B. and Mabry, T. J. (1982) The flavonoids. advances in research, 306, Chapman and Hall, London. 

  19. Choi, W. H., Park, W. Y., Hwang, B. Y., Oh, G. J., Kang, S. J., Lee, K. S. and Ro, J. S. (1998) Phenolic compounds from the stem bark of Cornus walteri Wanger. Kor. J. Pharmacogn. 29: 217-224. 

  20. Do, J. C., Yu, Y. J., Jung, K. Y. and Son, K. H. (1992)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Polygala japonica. Kor. J. Pharmacogn. 23: 9-13. 

  21. Do, J. C., Jung, K. Y. and Son, K. H. (1992) Flavonoid glycosides from the fronds of Pyrrosia lingua. Kor. J. Pharmacogn. 23: 276-269. 

  22. Agrawal, P. K (1989) Carbon-13 NMR of flavonoids. Elsevier Science 39: 207-212. 

  23. Kang, S. S., Kim, J. S., Kwak, W. J. and Kim, K. H. (1990)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Ginkgo biloba. Kor. J. Pharmacogn. 21: 111-120. 

  24. Yoshida, T., Mori, K., Hatano, T., Okumura, T., Uehara, I., Komagoe, K., Fujita, Y. and Okuda, T. (1989) Studies on inhibition mechanism of autooxidation by tannins and flavonoids. V.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Chem. Pharm. Bull. 37: 1919-19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