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자생 식물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항균성 스크리닝
Screening of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local some native pla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1 no.4, 2014년, pp.593 - 599  

김현수 (중원대학교 한방식품바이오학과) ,  안정좌 (중원대학교 한방식품바이오학과) ,  최태호 ((주)에스앤텍) ,  황태영 (중원대학교 한방식품바이오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산화항균활성을 가진 천연물을 활용해 합성보존료를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국내 자생 식물 중 135종을 대상으로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이중 항산화 활성이 10%대로 낮게 나타난 식물 8종에 대해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식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0.41~94.84%로 다양하였으며, 가장 효과가 좋은 식물은 꽃향유와 우엉으로 각각 94.84, 80.55%를 나타내었다. 우엉은 잎의 경우 26.87, 뿌리 19.29%의 활성을 나타내 동일 식물이라도 추출부위에 따라 활성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선이질풀과 비쭈기나무는 각각 그람양성균인 B. subtilis, 그람음성균인 E. coli 및 Candida속인 C. albicans에 대해 2.2~10.8 mm 수준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식물에 대한 다양한 추출법을 적용하여 기능성을 확인하고 이들 항산화성 물질에 대한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potentials of some available plants to source alternate antioxidants and antibiotics.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by determining the antioxidant activity reducing powers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ie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식물 추출물 중 식품으로 사용이 가능한 식물 원료를 중심으로 이들의 항산화 효과를 탐색하여 천연 보존료로의 가능성이 있는 소재를 확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산화제란 무엇인가? 최근 관심이 집중되어 있는 항산화 제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항산화제는 산화로 인한 식품의 변질 및 품질 열화를 방지하고 인체에서의 노화 지연, 성인병 예방 등의 기능을 가진 생리활성물질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기존 합성 항산화제로 butylated hydroxy anisole(BHA), butylated hydroxy toluene(BHT) 및 천연 항산화제로 토코페롤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전자의 경우 합성화합물이 가질 수 있는 독성 문제, 후자의 경우 높은 가격과 합성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항산화 효과가 문제가 되어 새로운 항산화제에 대한 탐색과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1,2).
국내 자생 식물 중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135종의식물추출물을 대상으로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한 결과는 어떠한가? 국내 자생 식물 중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135종의 식물추출물을 대상으로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의 Table 2와 같다. 추출물에 따라 0.41~94.84%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꽃향유, 우엉(줄기)이 각각 94.84%, 80.55%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아마, 자귀나무, 이질풀, 꽃범의꼬리는 50%대의 활성을, 익모초, 의성개나리(연교) 지상부, 까실쑥부쟁이, 꿀풀, 살구나무, 뱀무의 경우 40%, 사위질빵, 부추, 아스파라거스, 금마타리, 다이어스카모마일, 순비기나무, 의성개나리(연교) 뿌리, 애기기린초, 진측찰, 단삼, 살구나무, 붓꽃, 산톱풀은 30%대의 활성을 순서대로 나타내고 있었다.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꽃향유는 실제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4). 
기존 합성 항산화제에는 무엇이 있는가? 항산화제는 산화로 인한 식품의 변질 및 품질 열화를 방지하고 인체에서의 노화 지연, 성인병 예방 등의 기능을 가진 생리활성물질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기존 합성 항산화제로 butylated hydroxy anisole(BHA), butylated hydroxy toluene(BHT) 및 천연 항산화제로 토코페롤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전자의 경우 합성화합물이 가질 수 있는 독성 문제, 후자의 경우 높은 가격과 합성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항산화 효과가 문제가 되어 새로운 항산화제에 대한 탐색과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1,2). 식품의 저장 중 보존성을 확보하기 위한 보존료의 경우에도 합성보존료를 기피하는 현상이 강하게 일어나고 있어 천연 보존료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Gupta VK, Sharma SK (2006) Plants as natural antioxidants. Nat Prod Radiance, 5, 326-334 

  2. MS Brewer (2011) Natural antioxidants: sources, compounds, mechanisms of action, and potential applications. Compr Rev Food Sci Food Safety, 10, 221-247 

  3. Sa YJ, Kim JS, Kim MO, Jeing HJ, Yu CY, Park DS, Kim MJ (2010) Comparative study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reducing power, antimicrobial activity and inhibition of ${alpha}$ -glucosidase by Sorghum bicolor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98-604 

  4. Ifesan BOT, Fashakin JF, Ebosele F, Oyerinde AS (2013)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selected plant leaves. Eur J Med Plants, 3, 465-473 

  5. Nik AK, Guzej B, Kolar MH, Abramovic H, Moz SS (2009) In vitro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mmercial rosemary extract formulations. J Food Prot, 72, 174-1752 

  6. Fattouch S, Caboni P, Coroneo V, Tuberoso C, Angioni A, Dessi S, Marzouki N, Cabras P (2008) Comparative analysis of polyphenolic profiles and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unisian pome fruit pulp and peel aqueous acetone extracts. J Agric Food Chem, 56, 1084-1090 

  7. Singh G, Maurya S, deLampasona MP, Catalan CAN (2007) A comparison of chemic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studies of cinnamon leaf and bark volatile oils, oleoresins and their constituents. Food Chem Toxicol, 45, 1650-1661 

  8. Moon YG, Heo MS (2007) Screening of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y from methanol extracts of Indigenous plants, Jeju-island. Korean J Biotechnol Bioeng, 22, 78-83 

  9. Kim EJ, Choi JY, Yu MR, Kim MY, Lee SH, Lee BH (2012)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10. Lee YM, Kim DI, Lee SH, Cho SM, Chun HK, Park HJ, Lee YS (2005) Investigation of DPPH radical scavenging and prolyl endopept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plant extract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6, 95-102 

  11. Sharma OP, Bhat TK (2009) DPPH antioxidant assay revisited. Food Chem, 113, 1201-1205 

  12. RS Farag (1989)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Egyptian spice essential oils. J Food Prot, 52, 665-670 

  13. Musialik M, Litwinienko G (2005) Scavenging of DPPH radicals by vitamin E is accelerated by its partial ionization: the role of sequential proton loss electron transfer. Org Lett, 7, 4951-4954 

  14. Lee JA, Jeong DS (2011)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nd anti-elastase activities for the extracts of Jeju endemic plants. Res Sci Educ, 13, 249-269 

  15. Woo WS, Lee EB, Han BH (1979) Biological evaluation of Korean medical plants (III). Arch Pharm Res, 2, 127-188 

  16. Lee BH (2014)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extract of Geranium sibiricum L.. Korea Patent No 10-2014-0031489 

  17. Lee MW, Oh MH (2014) Novel hydrolysable tannis isolated from the leaves of Cleyera japonica Thunberg and anti-oxidative use thereof. Korea Patent No 10-2014-0008694 

  18. Oh SJ, Lee JH, Ko KS, Shin DB, Koh SC (2010) Antioxidative activity, including Inhibitory activities of ACE, APN and ${alpha}$ -amylase, in Theaceae Plants Native to Jeju island. Korean J Plant Res, 23, 406-4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