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cillus licheniformis KJ-9를 이용한 항균발효퇴비의 생산
Production of Antifungal Compost by Using Bacillus licheniformis KJ-9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0 no.9 = no.125, 2010년, pp.1339 - 1344  

서동철 (진주산업대학교 미생물공학과) ,  고정애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원) ,  이상원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환경친화적인 항균발효퇴비를 생산할 목적으로 식물병원성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우수한 B. licheniformis KJ-9를 톱밥우분에 접종하여 고품질의 항균발효퇴비(B. licheniformis KJ 9 fermented compost, BLC)의 개발을 행하였다. B. licheniformis KJ-9가 생산한 물질의 온도 안정성은 $100^{\circ}C$, 10분간 열처리하여도 약 60% 이상의 항균활성을 유지하였으며, pH 안정성은 산성보다는 pH 7.0 이상의 중성 및 알칼리성 영역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유지하였다. 퇴비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BLC의 경우는 우분 냄새가 확실히 줄어들었으며 또한 퇴비의 발효시간도 3일 정도 단축되었다. 고추의 pot실험 결과 BLC를 첨가한 시험구 이외의 다른 시험구에서는 고추 잎이 마르고 약간의 황색반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BLC를 이용한 시험구는 밭 흙만을 사용한 시험구 및 밭 흙에 기존의 판매퇴비(commercial available compost, CC)를 혼합한 시험구보다 잎의 수가 많고(1.5~2배), 줄기 및 뿌리의 성장이 빠르며, 줄기가 굵은(1.5~3배)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 및 들깨를 재배한 현장적용 실험결과 두 시험구 모두 자연발생적인 병충해의 피해는 없었지만 BLC를 사용한 밭에서 마늘 및 들깨의 생육이 현저하게 빠른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produce environmental-friendly fermented compost, a cattle manure-sawdust compost (antifungal compost) was developed by inoculation of B. licheniformis KJ-9 to cattle manure-sawdust.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antifungal substance produced by B. licheniformis KJ-9 maintained more th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자들은 전보[9]에서 식물 병원성균주인 Botrytis cinerea, Corynespora cassicola, Fusarium oxysporum, Rhizoctonia solani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고 cellulase, protease 및 chitinase효소 분비력이 우수한 Bacillus licheniformis KJ-9를 자연계로부터 분리․동정하여 배양학적 특성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 licheniformis KJ-9를 이용한 고품질의 항균발효퇴비를 생산할 목적으로 B. licheniformis KJ-9의 배양용액을 정기적으로 퇴비 발효조에 투여하여 제조한 항균발효퇴비(B. licheniformis KJ 9 fermented compost, BLC)를 개발한 다음 대조구인 기존의 판매퇴비(commercial compost, CC)와 함께 고추, 들깨 및 마늘의 in vivo 실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Liu 등[12]은 길항미생물 Bacillus subtilis로부터 내열성의 항진균성 단백질 B1을 분리하여 여러 가지 곰팡이에 대한 검토 결과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자들은 전보[9]에서 식물 병원성균주인 Botrytis cinerea, Corynespora cassicola, Fusarium oxysporum, Rhizoctonia solani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고 cellulase, protease 및 chitinase효소 분비력이 우수한 Bacillus licheniformis KJ-9를 자연계로부터 분리․동정하여 배양학적 특성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질병을 방제하기 위한 미생물로 어떤 길항미생물이 이용되고 있나요? 이러한 생물학적 병충해 방제의 효과는 토양 전염병을 감소시키며, 기주식물의 근권 정착능력을 촉진함으로서 작물의 성장을 양호하게 하여 수확량을 증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식물질병을 방제하기 위한 미생물로는 Trichoderma sp., Pseudomonas sp., Streptomyces sp. Agrobacterium sp. Bacillus sp. 등의 다양한 길항미생물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사용방법은 주로 이들 길항미생물 배양액 자체 혹은 대사물질을 상품화하여 이용하고 있다[8].
B. licheniformis KJ-9가 생산한 항균물질의 pH 안정성 검사 결과 산성, 중성, 알칼리성 중 어떤 조건의 영역에서 더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나요? 그러나 pH 11의 강알칼리 영역에서는 Corynespora cassicola를 제외한 Botrytis cinerea 및 Fusarium oxysorum에서만 항균활성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B. licheniformis KJ-9가 생산한 항균물질은 산성영역보다는 중성 및 알칼리 영역에서 더욱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B.
Bacillus licheniformis KJ-9는 어떤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이 높게 나타나나요? Liu 등[12]은 길항미생물 Bacillus subtilis로부터 내열성의 항진균성 단백질 B1을 분리하여 여러 가지 곰팡이에 대한 검토 결과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자들은 전보[9]에서 식물 병원성균주인 Botrytis cinerea, Corynespora cassicola, Fusarium oxysporum, Rhizoctonia solani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고 cellulase, protease 및 chitinase효소 분비력이 우수한 Bacillus licheniformis KJ-9를 자연계로부터 분리․동정하여 배양학적 특성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ker, R. 1968. Mechanism of biological control of soilborne plant pathogens. Ann. Rev. Phytopathol. 6, 263-294. 

  2. Chang, K. W., J. J. Lee, and J. E. Lee. 2002. Evaluation of safety and fertilizer effect of composts according to rapid fermentation composting of agro?livestock?marine organic waste. J. of Kowrec. 10, 305-311. 

  3. Han, K. H., C. U. Lee, and S. D. Kim. 1999. Antagonistic role of chitinase and antibiotic produced by Promicromonospora sp. KH-28 toward F. oxysporum.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7, 349-353. 

  4. Han, K. H. and S. D. Kim. 1999. Se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Promicromonospora sp. KH-28 producing chitinase and antifungal antibiotic.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7, 191-196. 

  5. Hwang, K. S., B. J. Yoo, and Y. C. Kim. 2006. Growth change of ficus benjamiana affected by application of fowl manure. Korean J. Environ. Agriculture 25, 170-173. 

  6. Kharbanda, P. D., J. Yang, P. Beatty, S. Jensen, and J. P. Tewari. 1997. Potential of a Bacillus sp., to control blackleg and other disease of canola. Phytopathology 87, 51-55. 

  7. Kim, H. J., G. J. Park, S. G. Lee, Y. L. Jeong, and J. H. Lee. 1984. Biological control of Finseng root-rot. Korean Ginseng Research Institute. 

  8. Kim, Y. S., J. K. Son, D. C. Moon, and S. D. Kim. 1997.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antifungal from Bacillus subtilis YB-70, a powerful agent.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62-67. 

  9. Ko, J. A., D. C. Seo, S. W. Gal, and S. W. Lee. 2010.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KJ-9 isolated from soil. J. Life Sci. 20, 403-410. 

  10. Korean association of agrochemical industry. 1993. Reduction by pest and pathogen in non-agrochemical cultivation. Agrochemials Information 14, 13-15. 

  11. Kwak, M. S., S. G. Lee, S. C. Jeong, S. H. Suh, J. H. Lee, Y. J. Jeon, Y. H. Kim, and M. H. Sung. 1999. Screening and Taxonomic characterization of D-amino acid aminotransferase producing thermophiles.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7, 184-190. 

  12. Liu, Y. Q. W., Y. P. Pan, and Z. L. Chen. 1994. Identification of antagonistic strain TG26 and purification of its antifungal protein BI. Acra Botanica Sinica. 36, 197-203. 

  13. Lorito, M., G. E. Harman, C. K. Hayes, R. M. Broadway, A. Tronsmo, S. L. Woo and D. A. Pietro. 1993. Chitinolytic enzymes produced by Trichoderma harzianum: antifungal activity of purified endochitinase and chitobiosidase. Phytopathology 83, 302-307. 

  14. Min, K. B. and S. D. Hong. 1996. Effect of different fermented manure-sawdust composts application on chinese cabbage yield. J. Agr. Sci. Chungbuk Nat'l. Univ. 13, 3-11. 

  15. Park, S. K., H. S. Ryu, and S. W. Lee. 2008. Characterization of an antibacterial substanc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HS 25 isolated from fermented soybean foods. Korean J. Food Preserv. 15, 300-305. 

  16. Piva, A. and D. R. Hedadon. 1994. Pediocin A, a bacteriocin produced by Pediococcus pentosaceus FBB61. Microbiology 140, 697-702. 

  17. Siegelm, M. and H. D. Sisker. 1977. Antifungal compounds, pp. 227-236, Vol 2. Interactions in Ecological System. 

  18. Yu, G. Y. and J. B. Sinclair. 1997.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fungal protein produced by a poential biocontrol agent Bacillus amyloliquefaciens B94. Phytopathology 87, 107-112. 

  19. Yun, G. H., E. T. Lee, and S. D. Kim. 2001. Identification and antifungal antagonism of Chryseomonas luteola 5042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9, 186-1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