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유통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현황과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National Economic Impacts of the Distribution Industry-Status and Input-output Analysis원문보기
본 연구는 한국 유통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한국의 유통산업은 GDP에서 8%내외의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이며 최대의 고용처로 전체 취업자수에서 15%대의 비중을 점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렇지만 주요 선진국에 비해 고용 비중은 유사하지만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 이를 향상시켜야 하는 과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유통산업을 도소매업으로 파악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유통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산업간 연쇄효과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유통산업의 산출이 자신에게 미치는 효과를 제외하는 외생화기법을 사용하여, 경제내 타부문에 대한 기여도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실증자료를 기반으로 유통산업이 자체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와 타산업에 미치는 간접적 효과로 구분한 총효과도 분석하였다. 산업연관분석 결과, 유통산업은 높은 생산유발효과, 높은 취업유발효과, 높은 고용유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통산업은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운수 및 보관 부문 산업에 높은 생산유발효과 및 부가가치유발효과를 파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간 연쇄효과 분석결과로 유통산업의 전방연쇄효과를 나타내는 감응도계수는 1보다 크고 후방연쇄효과를 나타내는 영향력계수는 1미만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후반부에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 한계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유통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한국의 유통산업은 GDP에서 8%내외의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이며 최대의 고용처로 전체 취업자수에서 15%대의 비중을 점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렇지만 주요 선진국에 비해 고용 비중은 유사하지만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 이를 향상시켜야 하는 과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유통산업을 도소매업으로 파악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유통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산업간 연쇄효과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유통산업의 산출이 자신에게 미치는 효과를 제외하는 외생화기법을 사용하여, 경제내 타부문에 대한 기여도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실증자료를 기반으로 유통산업이 자체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와 타산업에 미치는 간접적 효과로 구분한 총효과도 분석하였다. 산업연관분석 결과, 유통산업은 높은 생산유발효과, 높은 취업유발효과, 높은 고용유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통산업은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운수 및 보관 부문 산업에 높은 생산유발효과 및 부가가치유발효과를 파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간 연쇄효과 분석결과로 유통산업의 전방연쇄효과를 나타내는 감응도계수는 1보다 크고 후방연쇄효과를 나타내는 영향력계수는 1미만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후반부에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 한계에 대해 제시하였다.
This paper has two objectives. One is to understand status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Korea and compare it with industrialized countries. The other is an attempt to apply input-output(I-O)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the national economy for the ...
This paper has two objectives. One is to understand status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Korea and compare it with industrialized countries. The other is an attempt to apply input-output(I-O)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the national economy for the year 2008. In the economy as a whole, the distribution industry represented about around 15 per cent employment and accounted for near 8 percent in GDP. The employment portion of the distribution in overall industry is almost same that of US, UK, and Japan, but shared portion in GDP is at least 3 per cent below these countries. Next, a static I-O framework is employed, focusing on two topics in its application. First, the impacts of the product or investment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on the product, value-added, and employment of other sectors are explored by using demand-driven model. Second, the national economic impacts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Korea are looked into by using open model and inter-industry analysis.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distribution industry has a high production-inducing effect, more worker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a high forward and a low backward linkage effec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This paper has two objectives. One is to understand status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Korea and compare it with industrialized countries. The other is an attempt to apply input-output(I-O)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the national economy for the year 2008. In the economy as a whole, the distribution industry represented about around 15 per cent employment and accounted for near 8 percent in GDP. The employment portion of the distribution in overall industry is almost same that of US, UK, and Japan, but shared portion in GDP is at least 3 per cent below these countries. Next, a static I-O framework is employed, focusing on two topics in its application. First, the impacts of the product or investment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on the product, value-added, and employment of other sectors are explored by using demand-driven model. Second, the national economic impacts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Korea are looked into by using open model and inter-industry analysis.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distribution industry has a high production-inducing effect, more worker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a high forward and a low backward linkage effec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리고 유통산업에 관한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유통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생산, 부가가치, 고용 등의 유발효과로 분석한 실증연구와 산업간 관계를 규명하는 자료가 한정되어 있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유통관련 정책의 수립, 집행, 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의 유통산업 최근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주요 국가와 비교하고 유통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산업연관 분석으로 규명해보았다.
여기서는 유통산업이 타산업에 유발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인 산업연관분석(inter-industry analysis)에 대해 유통산업에 관련시켜 간략이 제시하였다. 이의 세부 내용은 생략하였는데 이는 전문서적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Miller and Blair 1985; 강광하 2000).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하여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주요산업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져왔다. 문헌 연구에서는 유통산업과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산업으로 물류산업, 광고산업, 방송산업을 중심으로 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다룬 연구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소매업의 부가가치유발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도 에 제시하였다.
유통산업이 경제전체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파악하기 위해 전후방연쇄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산업연관표를 구성하는 28개 산업전체에 대해 전방연쇄효과와 후방연쇄효과를 계산하여 서로 수평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유통산업의 국민경제적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방연쇄효과는 감응도계수로 후방연쇄효과는 영향력계수로 구해진다.
도소매업으로 한 유통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고용 유발효과에 관한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는 에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부가가치유발효과도 유통산업에서 생산이 1원만큼 증가하였을 때, 유통산업을 제외한 타산업의 부가가치가 얼마나 증가하게 되는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유통산업의 산출액 증가가 타산업에 미치는 부가가치유발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최종수요의 변동이 없다는 가정하에 유통산업을 외생화하여 유통산업의 산출액 증가에 따른 부가가치의 유발효과를 구한다. 취업유발효과는 유통산업에서의 생산이 1원만큼 증가하였을 때, 유통산업을 제외한 다른 산업의 취업자수가 얼마나 증가하게 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최종수요가 유발시키는 취업효과이다.
제안 방법
다음으로 한국 유통산업을 구성하는 도매업, 소매업, 자동차 및 차량연료판매별 매출액 규모 추이를 에 제시하였다.
이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산업분류 방법인 표준산업분류(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를 토대로 구성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도 한국표준산업분류(Korea Standard Industry Code, 이하 KSIC)로 하여 이에 따르고 있는데, 여기서 도소매업에 해당되는 업종이 유통산업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소매업을 유통산업으로 하여 접근하였다. 도소매업은 구입한 상품을 변형하지 않고 소비자, 기업 또는 다른 도소매업자에게 재판매하는 활동으로서, 상품의 조합 · 분류 · 재포장 · 상표 부착 · 배달 및 설치 서비스 등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정의된다(김영태, 강기우 2007).
한국에서 유통산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파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주요 선진국인 미국, 영국, 일본과의 유통산업에 대한 비교분석을 하였다. 이는 해당 국가에서 유통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고용 비중을 파악하고 비교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유통산업 부문의 산출물은 특성상 수입할 수는 있지만 본 연구가 유통산업이 국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관심사이고 수입 부문이 크지 않다고 판단하여 이를 고려하지는 않았다. 이에 유통산업 부문이 경제에 유발시키는 효과를 계측하기 위해 국산과 수입을 구분하여 작성한 비경쟁수입형 표를 이용하였다.
수요유도형모형을 이용하여 타산업에 대한 유통산업인 도소매업의 생산유발효과를 추정한 분석결과는 에 제시하였다.
2008년도 산업연관표는 대분류(28, 이는 산업 부문의 수를 의미하며 이하 동일), 소분류(78), 중분류(168) 그리고 기본부문(403)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분석을 위해 한국은행 28부문 대분류 방식에 근거하여 산업연관표를 재구성하였다. 여기서 유통산업을 도소매업으로 보고 산업 연관표에 대한 통합을 실시하는데, 산업연관표상에서 도소매업은 대분류 19부문에 해당한다.
여기서 유통산업을 도소매업으로 보고 산업 연관표에 대한 통합을 실시하는데, 산업연관표상에서 도소매업은 대분류 19부문에 해당한다. 따라서 유통산업을 외생화하여 해당 산업을 28부문으로 재편성하였다. <표 9>는 유통산업을 도소매업으로 정의하여 재분류한 산업연관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유통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미국, 영국, 일본과 비교하고 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유통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미국, 영국, 일본과 비교하고 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산업연관분석은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도소매업을 유통산업으로 재분류하여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파악하였다.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유통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산업간 연쇄효과를 살펴보았다.
산업연관분석은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도소매업을 유통산업으로 재분류하여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파악하였다.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유통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산업간 연쇄효과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실증자료를 바탕으로 직접적 효과와 간접적 효과로 구분한 총효과도 제시하였다.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유통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산업간 연쇄효과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실증자료를 바탕으로 직접적 효과와 간접적 효과로 구분한 총효과도 제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도출된 본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대상 데이터
자료원: ISTANS(지식경제부와 산업연구원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산업통계분석시스템으로 원출처는 한국은행의 국민계정임)를 참조하였으며 실질가격 기준임. NA는 Not Available을 나타내며 이하 동일.
한국에서 산업연관표 작성은 한국은행에서 담당하며 5년 간격으로 작성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산업연관표는 2010년 7월에 발표된 것으로 2008년도 산업연관표이다(한국은행 2010).
데이터처리
유통산업이 경제전체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파악하기 위해 전후방연쇄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산업연관표를 구성하는 28개 산업전체에 대해 전방연쇄효과와 후방연쇄효과를 계산하여 서로 수평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유통산업의 국민경제적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론/모형
반면에 개방모형(open model)은 재화와 용역의 배분을 중간수요와 최종수요로 구분하여 기록하고, 투입면에서는 생산을 위한 원재료 등의 중간투입, 노동 등의 원초적 투입으로 나누어 기록하며 최종수요부문과 원초적 투입부문을 개방부문(open sector)으로 취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모형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산업연관분석에서 주로 사용된다. 개방모형의 수요유도형모형을 이용하면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및 고용유발효과 등을 계산할 수 있다.
산업연관분석은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2008년도 산업연관표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2008년도 산업연관표는 대분류(28, 이는 산업 부문의 수를 의미하며 이하 동일), 소분류(78), 중분류(168) 그리고 기본부문(403)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능/효과
9%의 연평균성장률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자동차 및 차량연료판매는 2000년에 44조원에서 2008년에는 36조원을 기록하여 연평균 -2.3%의 역성장률을 보였다. 이를 통해 2000년에서 2008년에 걸쳐 도매업, 소매업의 순으로 성장했지만 자동차 및 차량연료판매는 그 규모가 감소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의 역성장률을 보였다. 이를 통해 2000년에서 2008년에 걸쳐 도매업, 소매업의 순으로 성장했지만 자동차 및 차량연료판매는 그 규모가 감소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도매업이 유통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00년에 56.
다음으로 한국 유통산업의 사업체수는 2008년 기준으로 860천개로 전체 사업체수인 3,265천개의 26.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의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2001년에 835천개로 2000년에 비해 82천개 감소한 후 2002년에 899천개로 증가하였다.
이는 해당 국가에서 유통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고용 비중을 파악하고 비교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표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국가별 GDP에서 유통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일본이 가장 높으며 그 다음은 미국, 영국의 순이며 한국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은 일본, 미국, 영국에 비해 최소 3%이상 낮아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비교대상 국가들 중에서 가장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은 유통산업이 국가의 전체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한국, 미국, 영국, 일본에서의 국가간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전체의 고용에서 유통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을 기준으로 했을 때 영국, 일본의 순으로 이들 국가는 거의 비슷하며 그 다음은 한국, 미국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전체의 고용에서 유통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을 기준으로 했을 때 영국, 일본의 순으로 이들 국가는 거의 비슷하며 그 다음은 한국, 미국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정리하면 유통산업의 고용이 한국의 전체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국, 영국, 일본과 비슷하지만 GDP에서 차지하는 생산액 비중은 이들 국가에 비해 상당히 낮다는 것이다.
그리고 광고산업의 고용유발효과는 인쇄 · 출판 및 복제 산업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은 통신 및 방송 산업과 자체인 광고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유도형모형을 이용하여 타산업에 대한 유통산업인 도소매업의 생산유발효과를 추정한 분석결과는 <표 10>에 제시하였다. 도소매업 1원 생산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가 0.1329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운수 및 보관, 통신 및 방송 등
의 순인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적으로는 도
의 순인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적으로는 도
소매업에서 1원 생산 증가는 타산업에
0.5999원의 생산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는 도소매업에서 1원 생산 증가
다. 따라서 도소매업에서 1원의 생산은 국
민경제 전체적으로 볼 때 1.5999원의 생산
을 유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0650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운수 및 보관, 음식점 및 숙박 등의 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체적으로는 도소매업에서 10억원 생산 증가는 타산업에서 3.6865명의 취업자수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도소매업에서 10억원 생산에 대한 취업자수가 23.
다음으로 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유통산업이 포함된 산업별 영향력계수는 기타 부문이 1.439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금속제품이 1.2464, 일반기계가 1.2276으로 각각 2위, 3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유통산업은 전방연쇄효과가 1보다 크고 후방연쇄효과가 1보다 작기 때문에 ‘중간수요적 원시산업형’에 해당되는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유통산업의 고용유발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표 11>에 제시하였다. 고용유발효과는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가 0.9761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운수 및 보관, 금융 및 보험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도소매업에서 10억원 생산 증가는 타산업 전체에 2.
9761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운수 및 보관, 금융 및 보험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도소매업에서 10억원 생산 증가는 타산업 전체에 2.7819명의 고용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도소매업에서 10억원 생산에 대한 피용자수가 11.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소매업의 생산유발액은 직접적 유발액인 126조 6천억원(산업연관표상의 도소매업 산출액)과 간접적 유발액인 75조 9천억원(산업연관표상의 도소매업 산출액×타산업 생산유발계수(0.5999)로 계산된 값)을 합한 202조 5천억원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도소매업에서의 취업유발자수는 직접적 유발 2,999,876명(산업연관표상의 취업자수)과 간접적 유발 466,846명(산업연관표상의 도소매업 산출액×타산업 취업유발계수(3.6865)로 계산된 값)을 합친 총 3,466,72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용유발자수는 직접적 유발자수인 1,416,918명(산업연관표상의 피용자수)과 간접적 유발자수인 352,290명(산업연관표상의 도소매업 산출액×타산업 고용유발계수(2.7819)으로 계산된 값)을 합친 총 1,769,208명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첫째, 한국의 유통산업은 미국, 영국, 일본과 대비했을 때 고용 비중은 대동소이하지만 GDP에서의 비중은 3%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유통산업 생산액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이들 국가의 수준으로 높여나가야 하는 과제가 있음을 알수 있다.
둘째, 한국의 유통산업은 타산업에 유발시키는 취업 및 고용 유발효과가 크며 자체의 직접적 효과 또한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에서 유통산업은 단일 산업으로는 최대 고용처인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유통산업의 높은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유지, 강화시키기 위한 유통산업과 타산업과의 연계성을 증진시키고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유통산업은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유발효과 모두가 크며 주로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운수 및 보관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유통산업이 국민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선도적 산업으로 다른 주요산업과 높은 연계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들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방송산업의 1원 생산은 타산업의 생산을 0.7059원 만큼 유발하며, 타산업의 부가가치를 0.3970원 만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한국도 일자리 현안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유통산업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나타난 유통산업이 취업과 고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유통산업에 관한 투자와 일자리 창출에 관한 정책적 결정에 근거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통산업의 높은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유지, 강화시키기 위한 유통산업과 타산업과의 연계성을 증진시키고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유통산업은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유발효과 모두가 크며 주로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운수 및 보관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는 한국 유통산업의 국민경제적 위상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계량적으로 제시한 것으로 연구결과를 향후 다양한 유통산업 정책 수립에 실증 및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한 예로 한국의 유통산업은 전반연쇄효과가 높으며 후방연쇄효과가 낮은 ‘중간수요적 원시산업형’인 것으로 연구결과 나타났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방법, 방법론이 유통산업의 위상,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다른 기법들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유통산업의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효과만을 다루어서 타산업과 비교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방법, 방법론이 유통산업의 위상,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다른 기법들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유통산업의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효과만을 다루어서 타산업과 비교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유통산업와 타산업 또는 유통산업과 주요 산업들을 대비시킨 산업연관분석이나 시계열분석이 이루어져 유통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비교가능성을 높여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유통산업의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효과만을 다루어서 타산업과 비교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유통산업와 타산업 또는 유통산업과 주요 산업들을 대비시킨 산업연관분석이나 시계열분석이 이루어져 유통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비교가능성을 높여나가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다룬 한국 유통산업의 현황 파악과 유통산업의 외생화를 통한 투입산출분석 이라는 체계적 접근방법을 사용한 것은 유통산업의 국민경제적 측면에 대한 실증적 이해를 높이는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유통산업에 관한 통계를 조사, 작성, 발표하는 대표기관은 무엇인가?
국내에서 유통산업에 대한 통계를 조사, 작성, 발표하는 대표적인 기관은 한국은행과 통계청이다. 이들 기관에서는 유통산업을 도매업, 소매업으로 구성된 산업으로 파악하고 있는데, 이러한 접근법은 해외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산업연관분석이 경제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산업연관분석은 한 산업이 미치는 각종 파급효과를 계량적인 수치로 파악하는 것으로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산업간 연쇄효과 등으로 계량화한다. 이를 통해 해당 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뿐만 아니라 거시적 분석이 미치지 못하는 산업과 산업간의 연관관계까지도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구조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으로 널리 사용된다(강광하 2000). 또한 최종수요가 생산, 고용, 소득 등 국민경제에 미치는 각종 파급효과를 산업부문별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계획의 수립과 예측 그리고 산업에 대한 정책의 수립, 조정 등에 유용한 분석도구로 활용된다.
우리나라 유통산업발전법에서 정의하는 유통산업이란 무엇인가?
유통산업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며 유통산업을 구성하는 업종의 범위, 내용 또한 나라마다, 시대마다 다르다(안광호, 한상린 2006). 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유통산업발전법에서는 유통산업을 농산물, 임산물, 축산물, 수산물(가공 및 조리물을 포함한다) 및 공산품의 도매, 소매 및 이를 영위하기 위한 보관, 배송, 포장과 이와 관련된 정보, 용역의 제공 등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을 말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박민규 2007). 한편 산업연구원에서는 유통을생산자로부터 소비자로 재화와 서비스를 이전시킴으로써 장소 및 시간의 효용성을 창조하는 활동으로 정의하고 유통산업의 범위를 상적유통, 물적유통으로 구성하여 물류활동까지 포함시킨 포괄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김숙경 2009).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