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식 프랜차이즈 거래에서 지역제한(Territorial Restraint)이 가맹본사의 브랜드 확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rritorial Restraint in Food&Beverage Similar Brand Extension 원문보기

流通硏究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v.15 no.5, 2010년, pp.217 - 235  

임채운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  이수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  이호택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프랜차이즈 산업에서 지역제한(territorial restraint, 가맹점 상권보호조건)은 가맹본부가 가맹점에게 일정한 지역 내 영업권리을 보장하여 가맹점주들의 안정적인 영업활동을 보장해 주는 제도이다. 이러한 지역제한의 의미는 가맹점주의 초기 투자에 대한 지역 내 독점이윤을 보장하고 차후에 가맹본부는 기존 가맹점의 상권을 보호하여 동일 브랜드를 출점시키지 않겠다는 약속을 담고 있다. 지역제한은 이와 같이 가맹본부의 사후 기회주의(postcontractual opportunism)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제도이다. 본 연구는 실제 외식프랜차이즈 기업들을 대상으로 지역제한의 여부에 따른 브랜드 수와 계약해지정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브랜드 수를 분석하는 목적은 브랜드 수에 따른 프랜차이즈본사의 기회주의를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제한이 계약서에 반영된 상태에서는 가맹본사가 동일한 이름의 브랜드 입점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브랜드를 만들고자 할 것이다. 즉 계약서에서 언급한 동일한 브랜드 조건을 피해가면서 해당 상권에 또 다른 가맹점을 출점시키려고 할 것이다. 따라서 가맹본사의 기회주의가 존재한다면 계약서의 지역제한 명기에 따라서 보유하는 브랜드수가 달라질 것이다. 또한 지역제한이 계약서에 명기된 경우, 기존 가맹점들에 대한 계약해지 사유 발생 시 즉각적인 실행에 대한 동기가 높아질 것이다. 가맹본사는 새로운 점포를 개설할 때마다 추가비용(인테리어비용, 개설비, 초기 집기 비용 등)을 매출로 인식하기 때문에 지역제한 때문에 출점에 제한을 받아오던 본사입장에서 가맹점의 계약해지 상황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실행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지역제한이 존재할 경우, 기존 가맹점에 대한 계약해지 가능성이 그 만큼 높아지는 것이다. 분석 결과, 브랜드 숫자와 계약해지 정도는 지역제한에 따라서 차이가 있어 가맹본사는 지역제한이 있는 경우, 더 적극적으로 새로운 브랜드를 시장에 출시하려고 하며 계약해지 사유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franchise industry, territorial restraint is a system that imposes exclusive right to franchisers in a certain business area. To the franchisers, this system guarantees monopoly profits in a local market and exclusive rights during the contract periods. In such a way, franchisee generates a big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산업에서 ‘브랜드 내 경쟁’을 가맹본사의 기회주의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2007년부터 2008년까지 가맹사업법에 대한 개정시기에 관련 데이터를 통해서 지역제한 조건이 있는 경우, 가맹본사들의 기회주의 행동의 하나로서 유사 브랜드 확장의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예를 들어 명시적 계약의 이행(Lusch and Brown 1996), 관계규범(Heide and John 1992, Macneil 1980), 입증절차(Heide and John 1990, Stump & Heide 1996), 상호거래특유투자(Anderson and Weitz 1996), 감시(Lal 1990) 등이 대표적인 통제기제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러한 행동규범이나 상쇄 투자관점이 아닌 계약조건으로써 지역제한이 가맹본사의 기회주의를 통제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2008년 가맹사업법 개정으로 이후 이러한 동일 가맹본사에 의한 유사 브랜드 업종진출은 금지되어 왔다. 본 연구는 법 개정 직후인 2008년을 기준으로 지역제한이 있는 경우 가맹본사의 브랜드 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지역제한여부에 따른 브랜드 수의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특히 거래비용관련 논문 (Anderson and Weitz, 1986)들은 제조업체의 자산특유성과 잠재거래규모를 통해서 수직적 통합여부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맹본사의 기회주의적 상황에 대해서 지역제한을 통해서 실제사례에 적용시켜 통계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는데 연구의의가 있다. 특히 지역제한이 본사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는데 그 역할이 부족하다는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기존 기회주의 연구들과 달리 실제 거래를 바탕으로 제도의 변화에 따른 기회주의 전략의 하나로써 가맹본사의 유사 브랜드 확장의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변수들은 프랜차이즈에 관련된 기존연구들(Dwyer, Schurr, and Oh 1987)에서 사용한 변수를 변화시킨 것으로서 거래빈도, 환경 불확실성, 자산특이성을 프랜차이즈 산업 특성에 맞게 변화시켰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구조적인 변수들을 제외하고 지역제한이라는 조건이 있을 때 가맹본사와 가맹점들의 기회주의가 어떻게 새로운 전략으로 구체화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상반된 관점에서 ‘지역 제한(territorial restraint)’의 기회주의 통제 효과에 대해서 살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산업에서 ‘브랜드 내 경쟁’을 가맹본사의 기회주의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가맹 거래과정에서 지역제한에 따른 기회주의 속성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프랜차이즈 산업에서 지역제한(territorial restraint)1)이란, 독과점에서 흔히 언급하는 수직적 제한의 하나로서 프랜차이즈 거래 시 가맹본사가 가맹점에게 영업지역을 제한하는 규정이다(장범진 등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제한 여부에 따라서 가맹본사와 가맹점들의 대응전략이 기회주의 측면에서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따라서 지역제한의 여부(지역제한 有/無)에 따른 브랜드수, 계약파기 정도, 가맹점 당 본사 매출기여수준을 One Way ANOVA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법 개정 직후인 2008년을 기준으로 지역제한이 있는 경우 가맹본사의 브랜드 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지역제한여부에 따른 브랜드 수의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가설1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이러한 가맹본사의 기회주의적 상황에 대해서 지역제한을 통해서 실제사례에 적용시켜 통계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는데 연구의의가 있다. 특히 지역제한이 본사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는데 그 역할이 부족하다는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지역제한제도가 실제로 가맹본사의 기회주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사 브랜드 런칭과 계약해지 사유에 대한 명문화와 유예기간의 장기화 산정이 동시에 추진되어야 하며 동시에 가맹점들에 대한 체계적인 판매/영업지원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가설1: 지역 제한에 따라서 가맹본사 브랜드 수의 차이가 존재할 것이다.
  • 가설2: 지역 제한에 따라서 가맹본사와 가맹점간의 계약해지정도에서 차이가 존재할 것이다.
  • Mathewson and Winter(1983, 1984)는 제조업체가 소매상을 통제하여 이익추구를 하는 것을 가정으로 이익극대화를 위해서 점포수를 통제하거나 가격을 통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수리적 모형으로 정리하였다. 즉 한 가맹점에게 지역제한을 줄 경우, 동일 브랜드 내 경쟁은 일어날 수가 없다(Benjamin and Murphy 1988)는 사실을 토대로 제조업체가 소매상 개수를 자기에게 유리하게 제한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맹본사가 예비가맹점 모집에 집중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즉 고객을 통한 매출증대보다는 예비가맹점 모집에 본사의 영업력을 집중하고 있는 것이다(강병오 등 2009). 구체적으로 가맹본사는 새로운 가맹점들이 생길 때마다 가맹비, 인테리어비, 설치비 등을 추가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가맹점 모집만으로도 충분한 부가수익을 얻을 수 있고 이러한 부가수익이 소비자 매출로 인한 영업이익보다 크기 때문에 가맹본사의 역할이 시장 확대가 아닌 거래선 확보로 변질된 것이다.
가맹본사의 기회주의로 인한 문제 중 가장 큰 것은 무엇인가? 프랜차이즈 관계자인 본사, 가맹점, 고객 3자 관계 속에서 가맹본사의 기회주의는 여러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문제가 가맹점들의 과도한 초기 투자 비용 문제이다.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은 불명확한 거래실적과 영업자료의 부족으로 매출에 따른 로열티를 받을 수 없는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김경민 2007).
프랜차이즈 산업에서 지역제한이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가맹 거래과정에서 지역제한에 따른 기회주의 속성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프랜차이즈 산업에서 지역제한(territorial restraint)1)이란, 독과점에서 흔히 언급하는 수직적 제한의 하나로서 프랜차이즈 거래 시 가맹본사가 가맹점에게 영업지역을 제한하는 규정이다(장범진 등 2003). 흔히 이러한 상권을 제한할 때는 가구수, 또는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그 범위를 결정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