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에서 피부손상에 의한 표피내 칼슘이온 분포상
Visual Imaging of Calcium Ion Distribution in Acetone and Tape Stripping Damaged Canine Epidermis 원문보기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27 no.3 = no.74, 2010년, pp.216 - 219  

오원석 (네오딘동물의학연구소) ,  이근우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오태호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개 피부장벽 손상모델을 실험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개의 정상피부, 제모 된 피부 그리고 아세톤 및 테잎 스트리립핑에 의한 손상된 피부에서의 표피내 칼슘이온의 분포를 관찰하였다. 피부손상에 따른 표피의 칼슘이온 변화도는 화학적 표시자(Calcium Green-1)가 포함된 gel blotting을 적용하여 피부장벽손상 효과를 시간에 따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아세톤 손상 후 3분 및 1시간에 표피와 모낭의 칼슘이온의 차이를 나타내는 형광도차는 보다 밝게 관찰된 후 48시간 후에 소실되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테잎스트립핑손상 후 3분 및 1시간의 표피 칼슘이온의 형광도차는 아세톤 손상에서보다 더 밝게 보였다가 48시간 후에 소실되었다. 본 실험상의 방법을 통해 피부 손상 방법에 따른 표피 칼슘이온의 가시적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었고, 표피내 농도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화학표시자를 이용한 염색법은 개 피부장벽 복구기전에 대한 칼슘이온의 역할을 규명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표피칼슘이온 농도의 정량분석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experimental canine skin barrier disruption model, the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calcium ion in skin frozen tissue of canine skin and also the modulation of calcium ion distribution of normal skin with disrupted skin such as clipping, acetone, tape stri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However, there has been few study on epidermal ions in veterinary dermatology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experimental canine disrupted skin model for veterinary skin research. The study was designed to study calcium ion in skin frozen tissue of canine skin and alsothe modulation of calcium ion distribution of normal skin with disrupted skin such as clipping, acetone, tape stripping damages according to tim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rardesca E, Pirot F, Singh M. Differences in stratum corneum ph gradient when comparing white caucasian and black african-american skin. Br J Dermatol 1998; 139: 855-857. 

  2. Bikle DD, Ratnam A, Mauro T, Harris J, Pillai S. Changes in calcium responsiveness and handling during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Potential role of the calcium receptor. J Clin Invest 1996; 97: 1085-1093. 

  3. Chandra S, Smith DR, Morrison GH. Subcellular imaging by dynamic sims ion microscopy. Anal Chem 2000; 72: 104A- 114A. 

  4. Clapham D. Calcium signaling. Cell 1995; 80: 259-268. 

  5. Denda M, Fuziwara S, Inoue K. Influx of calcium and chloride ions into epidermal keratinocytes regulates exocytosis of epidermal lamellar bodies and skin permeability barrier homeostasis. J Invest Dermatol 2003; 121: 362-367. 

  6. Denda M, Hosoi J, Asida Y. Visual imaging of ion distribution in human epidermi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0; 272: 134-137. 

  7. Elias P, Menon G. Structural and lipid biochemical correlates of the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Adv Lipid Res 1991; 24: 1-26. 

  8. Elias PM, Ahn SK, Denda M, Brown BE, Crumrine D, Kimutai LK, Komuves L, Lee SH, Feingold KR. Modulations in epidermal calcium regulate the expression of differentiation- specific markers. J Invest Dermatol 2002; 119: 1128- 1136. 

  9. Elias PM, Nau P, Hanley K, Cullander C, Crumrine D, Bench G, Sideras-Haddad E, Mauro T, Williams ML, Feingold KR. Formation of the epidermal calcium gradient coincides with key milestones of barrier ontogenesis in the rodent. J Invest Dermatol 1998; 110: 399-404. 

  10. Fartasch M. Ultrastructure of the epidermal barrier after irritation. Microsc Res Tech 1997; 37: 193-199. 

  11. Forslind B. Quantitative x-ray microanalysis of skin. Partile probe evaluation of the skin barrier function. Acta Derm Venereol 1987; 134: 1. 

  12. Grubauer G, Elias PM, Feingold KR. Transdermal water loss: the signal for recovery of barrier structure and function. J Lipid Res 1989; 30: 323-333. 

  13. Lee SH, Elias PM, Proksch E, Menon GK, Mao-Quiang M, Feingold KR. Calcium and potassium are important regulators of barrier homeostasis in murine epidermis. J Invest Dermatol 1992; 89: 530-538. 

  14. Mao-Qiang M, Mauro T, Bench G, Warren R, Elias PM, Feingold KR. Calcium and potassium inhibit barrier recovery after disruption, independent of the type of insult in hairless mice. Exp Dermatol 1997; 6: 36-40. 

  15. Mauro T, Bench G, Sidderas-Haddad E, Feingold K, Elias P, Cullander C. Acute barrier perturbation abolishes the $ca2^+$ and $k^+$ gradients in murine epidermis: Quantitative measurement using pixe. J Invest Dermatol 1998; 111: 1198-1201. 

  16. Menon GK, Elias PM, Lee SH, Feingold KR. Localization of calcium in murine epidermis following disruption and repair of the permeability barrier. Cell Tissue Res 1992; 270: 503-512. 

  17. Menon GK, Feingold KR, Elias PM. Lamellar body secretory response to barrier disruption. J Invest Dermatol 1992; 98: 279-289. 

  18. Menon GK, Grayson S, Elias PM. Ionic calcium reservoirs in mammalian epidermis: Ultrastructural localization by ioncapture cytochemistry. J Invest Dermatol 1985; 84: 508-512. 

  19. Tanaka M, Zhen Y, Tagami H. Normal recovery of the stratum corneum barrier function following damage induced by tape stripping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Br J Dermatol 1997; 136: 966-967. 

  20. Yuspa S. Expression of murine epidermal differentiation markers is tightly regulated by restricted ex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in vitro. J Cell Biol 1989; 109: 1207. 

  21. Zhai H, Leow YH, Maibach HI. Human barrier recovery after acute acetone perturbation: An irritant dermatitis model. Clin Exp Dermatol 1998; 23: 11-13. 

  22. Zhai H, Poblete N, Maibach HI. Stripped skin model to predict irritation potential of topical agents in vivo in humans. Int J Dermatol 1998; 37: 386-3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