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 유아교사의 전공 관련 봉사학습의 의미 탐색
Examining Conceptions of Voluntee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Diverse Perspectives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19 no.3, 2010년, pp.471 - 485  

안효진 (인천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s how volunteering to help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conceptualiz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ree parties involved; university students, university professors, and principals as well as teachers, and children‘s mothers from a local daycare center and a kindergar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봉사활동이란? 새로운 문제 상황에서는 새로운 사회적 대응책으로 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봉사활동은 개인의 선의에 의해 자발적으로 이웃을 돕는 인간에 대한 작은 관심에서 출발하여 나와 내 가족의 행복 뿐 만 아니라 이웃사랑을 실천하며 함께 살아가는 지혜를 배우고 나누는 방법으로(류나미, 최은희에서 재인용, 2007), 봉사활동을 통해 개인과 사회에 산재되어있는 문제를 해결하기도 하고, 사전에 예방을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함께 사는 성숙한 민주 사회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한다. 봉사활동은 각 개인이 자아실현이나 사회적 승인을 바라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하게 만들며, 이타적인 사고를 획득하게 되며, 지역사회와의 연결을 갖고, 지역사회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하게 되며, 사회 일원으로서 자신을 자각하며, 공동체 의식을 가질 수 있게 도와준다(삼성사회봉사단, 1996)고 할 수 있다.
봉사활동의 긍정적인 기능은? 새로운 문제 상황에서는 새로운 사회적 대응책으로 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봉사활동은 개인의 선의에 의해 자발적으로 이웃을 돕는 인간에 대한 작은 관심에서 출발하여 나와 내 가족의 행복 뿐 만 아니라 이웃사랑을 실천하며 함께 살아가는 지혜를 배우고 나누는 방법으로(류나미, 최은희에서 재인용, 2007), 봉사활동을 통해 개인과 사회에 산재되어있는 문제를 해결하기도 하고, 사전에 예방을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함께 사는 성숙한 민주 사회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한다. 봉사활동은 각 개인이 자아실현이나 사회적 승인을 바라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하게 만들며, 이타적인 사고를 획득하게 되며, 지역사회와의 연결을 갖고, 지역사회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하게 되며, 사회 일원으로서 자신을 자각하며, 공동체 의식을 가질 수 있게 도와준다(삼성사회봉사단, 1996)고 할 수 있다.
대학생 집단의 봉사활동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이유는? 이 처럼 어떤 개인이나 단체가 자발적인 의도에서 다른 사람을 돕거나 지역사회에 무보수로 기여하는 계획적이고, 지속적인 활동을 하는 봉사활동(남경현, 1977; 홍승혜, 1995)에 대해 최근 다른 집단보다 사회적 자원으로서의 유용성을 갖고 있는 대학생 집단의 봉사활동에 대해 사람들 많은 관심 갖게 되었다. 관심이 커지는 이유는 과거 교수와 연구의 기능을 강조하였던 대학이 최근엔 전인교육과 실용주의 교육을 강조하는 사회적인 분위기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대학에서 강조하는 실용주의 교육은 듀이의 철학에 근거한 민주적 교육훈련방법으로 대학이 지역사회와 더불어 조화롭게 활성화 시키고자 하는 방법으로(Harkavy & Benson, 1997), 특히, 미국의 경우, 1985년경부터 대학생 전공 관련 봉사 활동을 봉사 학습을 인식하고, 체험적 교육의 형태로 확장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김경철, 김은정, 배예경. (2008). 유치원포트폴리오 평가수행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경험.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327-348. 

  2. 김계현, 김혜란, 손진희, 이상균, 이지수. (1995). 서울대학생의 학업성취 과정. 학생연구, 30(2), 18-37. 

  3. 김명순, 정미라, 배선영, 이영신, 이민주. (2008). We Start 유아용 기관방문 교육프로그램. 경기도. 

  4. 김범수, 권선진, 손병돈, 신승연, 신은주, 이종복. (2004). 자원 봉사의 이해. 서울: 학지사. 

  5. 김수욱, 오재연. (2006). 도시와 농촌지역의 가정 문해환경 및 유아의 읽기 능력 비교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1), 92-110. 

  6. 김수욱, 오재연, 남민우. (2008). 도시와 농촌지역 유아 어머니의 교육지원활동 비교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 개발, 40(4), 165-189. 

  7. 김욱, 송미영. (2006). 대학생의 자원봉사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3(6), 329-359. 

  8. 김용우. (1993). 농어촌 소규모 중등학교 개선방안 연구. 연구보고, 93-10. 

  9. 남경현. (1977). 자원봉사: 한국사회복지 총람. 서울: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0. 로저스, 라이트 & 바니키, 레스리. (2003). 초임교사를 위한 학습 공동체. 조부경, 백은주, 고영미 옮김 (2005). 서울: 양서원. 

  11. 류기형, 남미애, 박경일, 홍봉선, 이경희, 장중탁. (2005). 자원봉사론. 서울: 양서원. 

  12. 류나미, 최은희. (2007). 대학생이 경험하는 봉사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14(2), 1-26. 

  13. 박민서, 이순득. (2000). 대학 자원봉사 활동의 내실화를 위한 지도교수 및 교직원의 역할강. 화방안, 사회복지연구, 32(1), 59-74. 

  14. 삼성사회봉사단. (1996). 자원봉사의 이해와 활동방법. 서울: 삼성사회봉사단. 

  15. 서은희. (2009). 봉사-학습에서의 교수 경험이 여자대학생들의 성취 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3(3), 477-489. 

  16. 서현. (2008). 농촌지역 조부모-손자녀 가정 유아의 양육에 대한 조부모의 어려움.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13-27. 

  17. 안수향. (1992). 한국 대학생 자원 봉사의 동기 및 관리 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안효진. (2006). 교육실습상황에서 실습교사들이 느끼는 갈등과 그 의미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연구, 25(3), 259-309. 

  19. 오효선. (2001). 취학 전 유아의 조기 교육 실태조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오필순. (1998). 도시, 농촌, 어촌 지역 유아의 가정 생활사 비교 분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윤현숙. (2002). 도시와 농어촌 유아의 지적 능력에 대한 비교연구. 유아교육학논집, 6(2), 231-254. 

  22. 이선주. (1996). 대학생의 자원 봉사 활동에 관한 인식 및 태도 조사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이소진. (2005). 대학생의 사회봉사 만족도 및 지속의사에 지도감독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임승렬. (1999). 교사교육에서 포트폴리오의 개발과 활용. 한국교사교육, 17(1), 315-335. 

  25. 장현. (1998). 대학사회봉사론. 서울: 형설출판사. 

  26. 정계숙. (1989). 도시 농촌의 학습 준비도를 결정하는 생태학적 변인.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조용하. (2002). 대학생자원봉사활동의 이론적 고찰-봉사학습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9(3), 2242-265. 

  28. 조운주. (2004). 유아교육 실습생의 특성 및 지원 맥락에 대한 이해. 한국교원교육연구, 21(2), 5-25. 

  29. 조휘일. (1995).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실천과 활동화 방안. 오늘의 청소년, 10(6), 18-21. 

  30. 지성애. (1998). 농촌보육사업의 실태와 과제. 한국아동보육의 개혁과제와 방향모색.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49-73. 

  31. 최원규. (2006). 대학전공학문연계 사회봉사활동 지원사업 총평 및 향후과제. 2006년 대학 전공학문연계 사회 봉사활동 결과보고서. 

  32.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 (2008). 통계로 알아보는 200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ORM 2008-34). 

  33. 한인영, 박형원, 김주현. (2005). 전공교육과 연계한 봉사학습의 효과 연구: 사회복지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복지학, 57(3), 251-276. 

  34. 홍승혜. (1995). 자원봉사활동의 동향과 과제: 한국 사회복지 이해. 서울: 한울아카데미. 

  35. 홍연숙. (2002). 대학생의 자원 봉사 활동 참여 동기 및 중단 원인에 대한 분석. 청소년 복지연구, 2(2), 3-30. 

  36. Astin, A. W. (1993).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an Francisco: Jossey Bass. 

  37. Blyth, D. A., Satio, R., & Berkas, T. (1997). A Quantitative study of the impact ofservice-learning programs. In A. S. Waterman(Ed.). Service-Learning: Applications from the Research(pp. 39-56).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38. Cairn, R. (1995). Service-learning makes the grade. Educational Leadership, 56(6), 66-68. 

  39. Caskey, O. L. (1991). Suggestive-Accelerative Learning and Teaching. New Jersey: Englewood Cliffs. 

  40. Coles, R. (1993). The Call of Service: A Witness to Idealism.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41. Dube, E. F. (1982). Literacy, cultural familiarity and intelligence as determinants of story recall. In U. Neisser (Ed.). Memory Observed: Remembering In Natural Contexts. New York: Freeman. 

  42. Eyler, J., & Giles, D. E. Jr. (1999). Where's The Learning In Service-Learning. San Francisco: Jossey-Bass. 

  43. Gay, J., & Cole, M. (1967). The New Mathematics and An Old Culture. A Study of Learning Among the Kpelle of Liberia. New York: Holt. Rhinehart & Winston. 

  44. Harkavy, I., & Benson, L. (1998). De-Platonizing and democratizing education as the bases of service learning. New Direc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73, 11-20. 

  45. Jacoby, B. (1996). Servic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46. Kendall, J. C. (1990). Combining Service and Learning: A Resource Book for Community and Public Service. Raleigh, North Carolina: NSEE. 

  47. Markus, G. B., Howard, J. F., & King, D. C. (1993). Integrating community service and classroom instruction enhances learning: Results from an experiment.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15(4), 410-419. 

  48. Newmann, F. M., & Rutter, R. A. (1983). The Effects of High School Community Service Programs on Students' Social Development.(Final report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Washington, DC). Madison: Wisconsin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49. OECD (2004). Equity in Education: Policy brief. 

  50. Robinson, G. (1999/2000). Stepping into our destiny: Service learning in community colleges. Community College Journal, 70(5), 8-12. (EJ 597 669) 

  51. Sachs, J. (2003). The Activist Teaching Profession.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52. Schindler-Rainman, E., & Lippltt, R. (1977). Toward interagency collaboration, Volunteer Administration, 10(2), 123-145. 

  53. Sheckley, B. G., & Keeton, M. T. (1997). Service Learning: A theoretical model. In J. Schine (Ed.). Service Learning: Ninety-six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Part I(pp. 32-55).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4. Shulman, L.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55. Shulman, L. (1999). Taking learning seriously. Change, 31(4), 11-17. 

  56. Spradley, J. (1980). The Ethnographic Interview.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