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orced-air Warming System을 이용한 수술 전 가온이 복부 수술 환자의 체온, 불안, 통증 및 온도 편안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e-warming for Patients under Abdominal Surgery on Body Temperature, Anxiety, Pain, and Thermal Comfor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3, 2010년, pp.317 - 325  

박옥분 (건국대학교병원 수술간호팀) ,  최희정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re-warming on body temperature, anxiety, pain, and thermal comfort. Methods: Forty patients who were scheduled for abdominal surgery were recruited as study participants and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For the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신마취하에서 개복수술을 하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forced-air warming system을 이용한 수술 전 가온이 수술 중과 수술 후의 체온 및 수술 후 불안, 통증, 온도 편안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의 실험 연구이다. 연구 결과 수술 전 가온은 수술 중 저체온을 예방하고 수술 후 체온 회복에도 기여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수술 후의 불안 및 통증완화, 그리고 온도 편안감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 본 연구는 전신마취하에서 개복수술을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가온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마취하에서 개복수술을 실시하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forced-air warming system을 통해 가온을 적용한 후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Kolcaba (2003)의 편안감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수술시간이 3-5시간 정도인 복부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forced-air warming system을 통한 수술 전 가온이 수술 중과 수술 후의 체온, 수술 후 불안과 통증, 그리고 전반적 온도 편안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수술 전 가온이 적용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마취직전, 마취 시작 후 15분, 30분, 45분, 60분, 수술완료 시, 및 수술 완료 2시간 후에 측정한 체온이 높다.
  • 가설 2: 수술 전 가온이 적용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술 완료 2시간 후와 수술 다음날 불안이 낮다.
  • 가설 3: 수술 전 가온이 적용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술 완료 2시간 후 통증 정도가 낮다.
  • 가설 4: 수술 전 가온이 적용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술 다음날 온도 편안감이 높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과 마취 과정에서 마취제, 마약제 및 진정제의 작용은 환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수술과 마취 과정에서는 마취제, 마약제 및 진정제의 작용으로 인해 환자의 자율신경 반응이 저하되고 떨림과 같은 행동반응이 소실되어 열생산과 열소실 간의 균형이 깨지면서 저체온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수술 중의 신체 노출, 차가운 소독제의 적용, 수액 주입, 수술장의 낮은 온도 등과 같은 외적 요인도 저체온 발생을 촉진하며 이러한 이유로 수술 환자의 50-90% 정도가 수술 중 저체온을 경험한다(Cooper, 2006; Insler & Sessler, 2006).
수술 중 경험하는 저체온은 어떤 문제를 유발하는가? 또한 수술 중의 신체 노출, 차가운 소독제의 적용, 수액 주입, 수술장의 낮은 온도 등과 같은 외적 요인도 저체온 발생을 촉진하며 이러한 이유로 수술 환자의 50-90% 정도가 수술 중 저체온을 경험한다(Cooper, 2006; Insler & Sessler, 2006). 그러나 수술 중 경험하는 저체온은 그 정도가 경미하더라도 출혈량 증가, 심혈관계 문제, 상처 감염, 치유 지연 등과 같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며(Sessler, 2008) 이는 환자의 편안감 지각에 저해가 될 뿐만 아니라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입원 기간을 연장시키고 의료비 증가를 초래한다(Odom, 1999; Wagner, 2003).
가온이 수술 환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에 가온이 수술 환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수술 중 가온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들은 각기 고관절 혹은 슬관절 치환술(Berti, Casati, Torri, Aldegheri, Lugani, & Fanelli, 1997; Borms, Engelen, Himpe, Suy, & Theunissen, 1994; Fanelli, Danelli, Ghisi, Ortu, Moschini, & Fanelli, 2009), 복부 수술(Negishi, Hasegawa, Mukai, Nakagawa, Ozaki, & Sessler, 2003) 등 다양한 종류의 성인 수술및소아의척추수술(Murat, Berniere, & Constant, 1994) 등을 대상으로 가온 담요, 가온 램프 및 forced-air warmer 둥 다양한 방법으로 가온을 적용하였으며, 그 효과로는 주로 체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술 중 적극적 가온(active forcedair warming system)이 환자의 체온 유지 및 저체온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술 중 가온 적용은 이미 임상에서 일상화된 간호중재로 자리 잡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drzejowski, J., Hoyle, J., Eapen, G., & Turnbull, D. (2008). Effect of prewarming on post-induction core temperature and the incidence of inadvertent perioperative hypothermia in patients undergoing general anaesthesia.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101, 627-631. 

  2. Berman, A., Snyder, S., Kozier, B., & Erb, G. (2008). Kozier &Erb's fundamentals of nursing: Concepts, process, and practice (8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Health. 

  3. Berti, M., Casati, A., Torri, G., Aldegheri, G., Lugani, D., & Fanelli, G. (1997). Active warming, not passive heat retention, maitains normothermia during combined epidural-general anesthesia for hip and knee arthroplasty. Journal of Clinical Anesthesia, 9, 482-486. 

  4. Borms, S., Engelen, S., Himpe, D., Suy, C., & Theunissen, W. (1994). Bair hugger forced-air warming maintains normothermai more effectively than thermo-lite insulation. Journal of Clinical Anesthesia, 6, 303-307. 

  5. Camus, Y., Delva, E., Sessler, D., & Lienhart, A. (1995). Pre-induction skin-surface warming minimizes intraoperative core hypotheria. Journal of Clinical Anesthesia, 7, 384-388. 

  6. Cooper, S. (2006). The effect of preoperative warming on patients' postoperative temperatures. AORN Journal, 83, 1074-1076, 1079-1084. 

  7. Fanelli, A., Danelli, G., Ghisi, D., Ortu, A., Moschini, E., & Fanelli, G. (2009). The efficacy of a resistive heating under-patient blanket versus a forced-air warming syste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esthesia and Analgesia, 108, 199-201. 

  8. Fossum, S., Hays, J., & Henson, M. M. (2001). A comparison study on the effects of prewarming patients in the outpatient surgery setting.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16, 187-194. 

  9. Insler, S. R., & Sessler, D. I. (2006). Perioperative thermoregulation and temperature monitoring. Anesthesiology Clinics, 24, 823-837. 

  10. Kiekkas, P., & Karga, M. (2005). Prewarming: Preventing intraoperative hypothermia. British Journal of Perioperative Nursing, 15, 444, 446-447, 449-451. 

  11. Kim, C., Baek, W., Hong, J., Park, J., & Kim, B. (1988). Temperature changes during general anesthesia. Journal of Korean Society Anesthesiology, 21, 27-32. 

  12. Kim, J. Y., Shinn, H., Oh, Y. J., Hong, Y. W., Kwak, H. J., & Kwak, Y. L. (2006). The effect of skin surface warming during anesthesia preparation on preventing redistribution hypothermia in the early operative period of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European Journal of Cardiothoracic Surgery, 29, 343-347. 

  13. Kolcaba, K. (2003). Comfort theory and practice: A vision for holistic health care and research.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 

  14. Lim, S., Cho, M., & Choi, K. (1997). The effect of preoperative warming on reducing rectal temperature drop in surgical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9, 55-69. 

  15. Murat, I., Berniere, J., & Constant, I. (1994).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a forced-air wamer (Bair Hugger) during spinal surgery in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Anesthesia, 6, 425-429. 

  16. Negishi, C., Hasegawa, K., Mukai, S., Nakagawa, F., Ozaki, M., & Sessler, D. I. (2003). Resistive-heating and forced-air warming are comparably effective. Anesthesia and Analgesia, 96, 1683-1687. 

  17. Odom, M. (1999). Maintaining intraoperative normothermia: A meta-analysis of outcomes with costs. AANA Journal, 67, 155-164. 

  18. Putzu, M., Casati, A., Berti, M., Pagliarini, G., & Fanelli, G. (2007). Clinical complications,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perioperative mild hypothermia: Anesthesiological features. Acta Biomedica, 78, 163-169. 

  19. Robinson, S., & Benton, G. (2002). Warm blankets. Geriatric Nursing, 23, 320-323. 

  20. Rose, D. K., Cohen, M. M., & Soutter, D. I. (1992).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The anaesthetist's point of view. Canadian Journal of Anaesthesia, 39, 809-815. 

  21. Sessler, D. I. (2000). Perioperative heat balance. Anesthesiology, 92, 578-596. 

  22. Sessler, D. I. (2008). Temperature monitoring and perioperative thermoregulation. Anesthesiology, 109, 318-338. 

  23. Spielberger, C., Gorsuch, R., Lushene, R., Vagg, P., & Jacobs, G. (1983).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adults.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4. Vanni, S. M., Braz, J. R., Modolo, N. S., Amorim, R. B., & Rodrigues, G. R. Jr. (2003). Preoperative combined with intraoperative skin-surface warming avoids hypothermia caused by general anesthesia and surgery. Journal of Clinical Anesthesia, 15, 119-125. 

  25. Wagner, D., Byrne, M., & Kolcaba, K. (2006). Effects of comfort warming on preoperative patients. AORN Journal, 84, 427-448. 

  26. Wilson, L., & Kolcaba, K. (2004). Practical application of comfort theory in the perianesthesia setting.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19, 164-17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