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0분의 수술전 가온이 고관절 전치환술 노인 환자의 수술중 심부체온, 수축기압, 심박동수, 수술후 전율 및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30-Minutes of Pre-Warming on Core Body Temperature, Systolic Blood Pressure, Heart Rate, Postoperative Shivering, and Inflammation Response in Elderly Patients with Total Hip Replacement under Spinal Anesthesia: A Randomized Double-blind Controlled Tria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4, 2017년, pp.456 - 466  

천유미 (가천대학교 길병원 간호부) ,  윤혜상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e-warming on core body temperature (CBT) and hemodynamics from the induction of spinal anesthesia until 30 min postoperatively in surgical patients who undergo total hip replacement under spinal anesthesia. Our goal was to assess posto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0분의 수술전 가온이 마취유도후 2시간과 3시간의 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Hynson 등[19], Horn 등[20], Andrzejowski 등[21]과 Fossum 등[25]의 연구결과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나 이러한 선행연구의 수술전 가온 적용 시간이 10분~120분으로 편차가 크기 때문에 수술전 가온 시간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120분의 수술전 가온을 했을 때 마취유도후 1시간에서의 체온은 36.1℃ [19]로 본 연구에서의 36.13℃와 유사하며, 60분의 수술전 가온으로 마취유도후 2시간에서 대조군보다 0.3℃의 체온상승이 나타난 현상은[21] 본 연구에서 수술전 가온으로 마취유도후 2시간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체온을 0.31℃ 상승시킬 수 있었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에서의 30분 수술전 가온은 선행연구에서의 60분 또는 120분의 수술전 가온이 수술중 체온에 미치는 영향과 거의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 본 연구는 19℃ 미만의 수술실에서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40~42℃의 강제공기가온 담요를 이용한30분의 수술전 가온이 마취유도후부터 수술 및 마취 종료 후 30분까지의 심부체온, 수축기혈압, 심박동수, 수술 및 마취종료후의 전율 및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30분의 수술전 가온이 마취유도후 2시간과 3시간의 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Hynson 등[19], Horn 등[20], Andrzejowski 등[21]과 Fossum 등[25]의 연구결과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나 이러한 선행연구의 수술전 가온 적용 시간이 10분~120분으로 편차가 크기 때문에 수술전 가온 시간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 본 연구는 30분 간 43℃ 강제공기가온을 제공하여 69 kcal의 체열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는 Sessler 등[26]의 연구를 토대로 30분의 수술전 가온이 마취유도후부터 수술 및 마취종료 후 30분까지의 심부체온, 수축기압과 심박동수, 수술 및 마취종료 후 전율, 그리고 수술후 1일과 2일에서의 염증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무작위화 대조군 실험연구설계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는 65세 이상의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30분의 수술전 가온이 수술중 및 수술 및 마취종료 후의 체온, 수축기혈압, 심박동수, 수술 및 마취종료 후 전율과 염증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에 있으며 구체적 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자들은 마취유도 후 3시간에 상지와 하지와 같은 말초부의 체열은 57 kcal가 감소하고 체간부와 두부와 같은 중심부로 부터 말초부로 46 kcal의 체열이 이동하며[3,4] 43℃ 강제공기를 30분 제공하여 69 kcal의 체열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는 Sessler 등[26]의 선행연구에 주목하고자 한다. Kurz 등[3], Matsukawa 등[4]과 Sessler 등[26]의 연구에 근거하여 30분의 수술전 69 kcal의 체열을 비축해두면 마취유도후 3시간 동안 57 kcal의 체열을 상실해도 수술중 정상적 체온 유지가 가능한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 Kurz 등[3], Matsukawa 등[4]과 Sessler 등[26]의 연구에 근거하여 30분의 수술전 69 kcal의 체열을 비축해두면 마취유도후 3시간 동안 57 kcal의 체열을 상실해도 수술중 정상적 체온 유지가 가능한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척추마취 하에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는 65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30분의 수술전 가온이 수술중 체온, 수축기혈압 및 심박동수, 수술 및 마취종료 후 전율과 수술후 염증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저체온 관련 간호중재에 대한 근거기반실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5. 30분의 수술전 가온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CReactive protein (CRP)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6. 30분의 수술전 가온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30분의 수술전 가온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중 심박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1. 30분의 수술전 가온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중 체온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4. 30분의 수술전 가온을 제공받은 실험군의 전율 발생빈도는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인체가 마취유도후 3시간 동안 말초부로부터 57 kcal의 체열이 소실되고[3,4] 30분의 가온으로 69 kcal의 체열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26] 30분의 수술전 가온으로 말초를 통해 소실되는 체열을 비축하여 수술중 저체온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가설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수술전 가온을 통해 상승시킨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체온의 기준은 무엇인가? 6℃, 그리고 추후 1시간 경과후 1.1℃의 체온이 저하되는데 심부체온이 36℃미만으로 저하되는 것을 저체온이라고 한다[1,2,5]. 수술중 저체온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가온요법을 제공하고 있으나 여전히 마취환자의 45~70%에서 저체온이 발생하고 있다[6,7].
영국은 저체온 예방을 위해 수술을 하기 전 어떠한 노력을 하는가? 영국의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5]는 저체온 위험 요인을 가진 수술환자에게는 수술전 가온을 통해 마취유도전의 체온을 36℃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수술 전 가온은 1990년부터 수술중 저체온 예방을 위해 시도되었는데 수술전 가온이 수술중 저체온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지만[19-22]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도 있다[23,24].
수술 중 저체온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수술 중 저체온은 순환 혈중 카테콜아민을 증가시켜 말초혈관 수축, 빈맥 및 고혈압 등으로 심혈관계에 부담을 줄 수 있고[8], 혈액응고장애로 출혈을 증가시키고, 마취제 및 근이완제의 대사를 지연시켜 수술 및 마취로 부터의 회복을 지연시키거나 수술부위감염증을 초래하여[9,10] 의료비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척수마취 환자의 25~43%에서 수술후 회복과정 중 전율이 나타나며 고관절 전치환술과 같은 인공보철기구 삽입후 저체온에 대한 보상기전으로 전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11,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essler DI, Moayeri A, Stoen R, Glosten B, Hynson J, Mc-Guire J. Thermoregulatory vasoconstriction decreases cutaneous heat loss. Anesthesiology. 1990;73(4):656-660. 

  2. Matsukawa T, Sessler DI, Christensen R, Ozaki M, Schroeder M. Heat flow and distribution during epidural anesthesia. Anesthesiology. 1995;83(5):961-967. 

  3. Kurz A, Sessler DI, Christensen R, Dechert M. Heat balance and distribution during the core-temperature plateau in anesthetized humans. Anesthesiology. 1995;83(3):491-499. 

  4. Matsukawa T, Sessler DI, Sessler AM, Schroeder M, Ozaki M, Kurz A, et al. Heat flow and distribution during induction of general anesthesia. Anesthesiology. 1995;82(3):662-673. 

  5.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he management of inadvertent perioperative hypothermia in adults. London: Royal College of Nursing; 2008. p. 1-567. 

  6. Kim EJ, Yoon H. Preoperative factors affecting the intraoperative core body temperature in abdominal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an observational cohort. Clinical Nurse Specialist. 2014;28(5):268-276. http://dx.doi.org/10.1097/NUR.0000000000000069 

  7. Lee SH, Yoon HS. Factors affecting intraoperative body temperature in surgical patients with laparo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5;17(3):236-244. http://dx.doi.org/10.7586/jkbns.2015.17.3.236 

  8. Kasai T, Hirose M, Matsukawa T, Takamata A, Yaegashi K, Tanaka Y. Preoperative blood pressure and catecholamines related to hypothermia during general anesthesia. Acta Anaesthesiologica Scandinavica. 2003;47(2):208-212. http://dx.doi.org/10.1034/j.1399-6576.2003.00048.x 

  9. Matsui T, Ishikawa T, Takeuchi H, Okabayashi K, Maekawa T. Mild hypothermia promotes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monocytes. Journal of Neurosurgical Anesthesiology. 2006;18(3):189-193. http://dx.doi.org/10.1097/01.ana.0000188639.39844.f6 

  10. Cereda M, Maccioli GA. Intraoperative temperature monitoring. International Anesthesiology Clinics. 2004;42(2):41-54. 

  11. Eberhart LH, Doderlein F, Eisenhardt G, Kranke P, Sessler DI, Torossian A, et al.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shivering. Anesthesia and Analgesia. 2005;101(6):1849-1857. 

  12. Shakya S, Chaturvedi A, Sah BP. Prophylactic low dose ketamine and odansetron for prevention of shivering during spinal anaesthesia. Journal of Anaesthesiology, Clinical Pharmacology. 2010;26(4):465-469. 

  13. Frank SM, Fleisher LA, Olson KF, Gorman RB, Higgins MS, Breslow MJ, et al. Multivariate determinants of early postoperative oxygen consumption in elderly patients. Effects of shivering, body temperature, and gender. Anesthesiology. 1995;83(2):241-249. 

  14. Kong MJ. Risk factors of intraoperative hypothermia in laparoscopic abdominal surgery [Master's thesis]. Incheon: Gachon University; 2013. p. 1-42. 

  15. Kasai T, Hirose M, Yaegashi K, Matsukawa T, Takamata A, Tanaka Y. Preoperative risk factors of intraoperative hypothermia in major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Anesthesia and Analgesia. 2002;95(5):1381-1383. 

  16. Kitamura A, Hoshino T, Kon T, Ogawa R. Patients with diabetic neuropathy are at risk of a greater intraoperative reduction in core temperature. Anesthesiology. 2000;92(5):1311-1318. 

  17. Kongsayreepong S, Chaibundit C, Chadpaibool J, Komoltri C, Suraseranivongse S, Suwannanonda P, et al. Predictor of core hypothermia and the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Anesthesia and Analgesia. 2003;96(3):826-833. http://dx.doi.org/10.1213/01.ANE.0000048822.27698.28 

  18. A statistical year book for 2015 major surgical case [Interne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6 [cited 2017 May 31].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bbs7/boards/B0039/22280. 

  19. Hynson JM, Sessler DI, Moayeri A, McGuire J, Schroeder M. The effects of preinduction warming on temperature and blood pressure during propofol/nitrous oxide anesthesia. Anesthesiology. 1993;79(2):219-228, discussion 21A-22A. 

  20. Horn EP, Bein B, Bohm R, Steinfath M, Sahili N, Hocker J. The effect of short time periods of pre-operative warming in the prevention of peri-operative hypothermia. Anaesthesia. 2012;67(6):612-617. http://dx.doi.org/10.1111/j.1365-2044.2012.07073.x 

  21. Andrzejowski J, Hoyle J, Eapen G, Turnbull D. Effect of prewarming on post-induction core temperature and the incidence of inadvertent perioperative hypothermia in patients undergoing general anaesthesia.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2008;101(5):627-631. http://dx.doi.org/10.1093/bja/aen272 

  22. Akhtar Z, Hesler BD, Fiffick AN, Mascha EJ, Sessler DI, Kurz A, et al. A randomized trial of prewarming on patient satisfaction and thermal comfort in outpatient surgery. Journal of Clinical Anesthesia. 20 16;33:376-385. http://dx.doi.org/10.1016/j.jclinane.2016.04.041 

  23. Fettes S, Mulvaine M, Van Doren E. Effect of preoperative forced-air warming on postoperative temperature and postanesthesia care unit length of stay. AORN Journal. 2013;97(3):323-328. http://dx.doi.org/10.1016/j.aorn.2012.12.011 

  24. Wong PF, Kumar S, Bohra A, Whetter D, Leaper DJ.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perioperative systemic warming in major elective abdominal surgery.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7;94(4):421-426. http://dx.doi.org/10.1002/bjs.5631 

  25. Fossum S, Hays J, Henson MM. A comparison study on the effects of prewarming patients in the outpatient surgery setting.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2001;16(3):187-194. http://dx.doi.org/10.1053/jpan.2001.24039 

  26. Sessler DI, Schroeder M, Merrifield B, Matsukawa T, Cheng C. Optimal duration and temperature of prewarming. Anesthesiology. 1995;82(3):674-681. 

  27. Crossley AW, Mahajan RP. The intensity of postoperative shivering is unrelated to axillary temperature. Anaesthesia. 1994;49(3):205-207. http://dx.doi.org/10.1111/j.1365-2044.1994.tb03422.x 

  28. Kim HY, Lee KC, Lee MJ, Kim MN, Kim JS, Lee WS, et al.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a forced-air warming system and circulating-water mattress on core temperature and post-anesthesia shivering in elderly patients undergoing total knee arthroplasty under spinal anesthesia.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014;66(5):352-357. http://dx.doi.org/10.4097/kjae.2014.66.5.352 

  29. Mekjavic IB, Bligh J. Core threshold temperatures for sweating. Canadi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1989;67(9):1038-1044. 

  30. C-reactive protein: Clinical applications [Internet]. Delhi: Embee Diagnostics; c2002 [cited 2017 July 07]. Available from: www.embeediagnostics.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