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술 환자에게 적용한 가온요법 연구논문 분석
Analysis of Researches on the Warming Therapy for Surgical Patien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2 no.3, 2010년, pp.260 - 270  

전점이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main question is systematic review of the published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on warming therapy for surgical patients. Methods: The researchers searched at Medline, CINAHL, KERIS, Adult Nursing Association,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수술 환자의 저체온 시간과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준화된 가온요법 지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수술 환자에게 적용된 가온요법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구체적인 내용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가온요법을 독립변수로 다룬 연구논문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고, 가온요법 및 가온요법 효과변수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가온요법 지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수술 후 환자에게 항상성 유지는 중요하므로(Hershey, 1997) 수술실 간호사는 수술 후 저체온 시간과 저체온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중재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환자의 안위를 증진시키며,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을 줄일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수술 환자의 가온요법에 대한 표준화된 지침의 필요성 및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수술 환자에게 가온요법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연구한 국내 ‧ 외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그 내용을 분석한 문헌분석 연구다.
  • 순환 물 담요, 전기담요, 강제 공기 가온기, 저항성 탄소섬유 매트래스, 또는 방사열 등을 사용하여 체열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순환 물 담요, 강제공기 가온기, 저항성 탄소섬유 매트래스, 적외선램프, 가열 이피가, 복사열등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수술 환자의 저체온에 대한 가온요법의 기대효과를 높이기 위해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설계, 대상자 선정, 종속변수의 타당성, 종속변수 측정법 등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둘째, 수술 환자의 체온을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체온계를 사용하여 올바른 방법(측정부위와 시간)으로 정확하고 지속적으로 심부체온을 감시해야할 것이다. 셋째, 수술시간, 가온요법 유형 및 적용시기별 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수술 환자의 저체온 예방을 위한 표준화된 가온요법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 환자에게 저체온이 흔한 현상인 이유는? 수술 환자에게 저체온은 아주 흔한 현상이며, 이는 마취로 인한 열조절성 혈관수축장애와 말초혈관 확장, 차가운 실내환경과 찬 용액주입 등이 원인이다(Kumar, Wong, Melling, & Leaper, 2005). 심부체온이 36℃ 미만으로 하강하면 면역기능 억제, 혈액응고 지연, 심박출량 감소, 내장으로의 혈류 감소, 정맥정체, 간 기능 억압 및 마취제 대사지연등 신체의 상호작용과 세포기능에 영향을 미쳐 심각한 임상 문제가 발생된다(Kumar et al.
수술 환자의 저체온 시간과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준화된 가온요법 지침이 필요한 이유는? 지금까지 국내 · 외적으로 수술 환자에게 가온요법을 적용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으나 가온요법의 종류, 적용시기 및 효과변수 등이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였으며(Giuffre, Heidenreich, & Pruitt, 1994; Kim, 2006; Kuyn et al., 1998; Rodriguez et al., 1983; Son, 1991), 가온요법의 효과도 연구자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 또는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결과인 것 외에도 동일한 효과변수가 서로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Alfonsi, Nourredine, Adam, Chauvin, & Sessler, 2003; Giuffre, Finnie, Lynam, & Smith, 1991; Giuffre et al., 1994; Hersio, Takala, Kari, & Huttunen, 1991; Kuyn et al., 1998)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부체온이 36℃ 미만으로 하강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수술 환자에게 저체온은 아주 흔한 현상이며, 이는 마취로 인한 열조절성 혈관수축장애와 말초혈관 확장, 차가운 실내환경과 찬 용액주입 등이 원인이다(Kumar, Wong, Melling, & Leaper, 2005). 심부체온이 36℃ 미만으로 하강하면 면역기능 억제, 혈액응고 지연, 심박출량 감소, 내장으로의 혈류 감소, 정맥정체, 간 기능 억압 및 마취제 대사지연등 신체의 상호작용과 세포기능에 영향을 미쳐 심각한 임상 문제가 발생된다(Kumar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fonsi, P., Nourredine, K., Adam, F., Chauvin, M., & Sessler, D. I. (2003). The effect of postoperative skin-surface warming on oxygen consumption and the shivering threshold. Anaesthesia, 58 , 1228-1234. 

  2. Bales, R. (1988). Hypothemia: A postoperative problem that's easy to miss. Registered Nurse, 51, 42-43. 

  3. Giuffre, M., Finnie, J ., Lynam, D. A., & Smith, D. (1991). Rewarming postoperative patients: Lights, blankets, or forced warm air. Journal of Post Anesthesiological Nursing, 6, 387-393. 

  4. Giuffre, M., Heidenreich, T., & Pruitt, L. (1994). Rewarming cardiac surgery patients: Radiant heat versus forced warm air. Nursing Research, 43, 174-178. 

  5. Hasankhani, H., Mohammadi, E., Moazzami, F., Mokhtari, M., & Naghgizadh, M. M. (2007). The effects of intravenous fluids temperature on perioperative hemodynamic situation, post-operative shivering, and recovery in orthopedic surgery. Canadian Operating Room Nursing Journal, 25, 20-24. 

  6. Hershey, J. (1997). Comparison of three rewarming methods in a postanesthesia care unit. AORN Journal, 65, 597-601. 

  7. Hersio, K., Takala, J ., Kari, A., & Huttunen, H. (1991). Changes in whole body and tissue oxygen consumption during recovery from hypothermia: Effect of amino acid infusion. Critical Care Medicine, 19, 503-508. 

  8. Ihn, C. H., J oo, J . D., Chung, H. S., Choi, J . W., Kim, D. W., & J eon, Y. S. (2008). Comparison of three warming devices for the prevention of core hypothermia and post-anaesthesia shivering.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 36, 923-931. 

  9. Jeong, S. M., Hahm, K. D., J eong, Y. B., Yang, H. S., & Choi, I. C. (2008). Warming of intravenous fluids prevents hypothermia during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Journal of Cardiothoracic and Vascular Anesthesia, 22, 67-70. 

  10. Just, B., Trevien, V., Delva, E., & Lienhart, A. (1993). Prevention of intraoperative hypothermia by preoperative skin surface warming. Anesthesiology, 79, 214-218. 

  11. Kim, J . O. (2007). The effects of warming methods on the anxiety and cold discomfort of patients undergoing operation under spinal anesthes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12. Kim, M. K. (2006). Comparison of warming methods on body temperature change and thermal discomfort in abdominal surger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13. Kumar, S., Wong, P. F., Melling, A. C., & Leaper, D. J . (2005). Effects of perioperative hypothermia and warming in surgical practice. International Wound Journal, 2, 193-204. 

  14. Kuyn, E. O., Kim, S. K., Ku, J. A., J un, S. E., Kim, J. Y., & Choi, M. J. (1998). A research on rewarming methods for recovery to normal body temperature in the PACU.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4, 97-113. 

  15. Lee, J . Y., & Lee, H. R. (2002). The effect of warning patients before or during the surgical operations on the patients' body temperature and shiver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4 , 135-148. 

  16. Lee, K. C., Lee, D. C., Chang, Y. J ., J ung, W. S., & J ang, J . H. (2008). The effects of Insuffation with heated CO upon body temperature and arterial blood gas analysis during gynecologic laparoscopic surger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 54, 261-266. 

  17. Lim, S. H., Cho, M. S., & Choi, K. S. (1997). The effect of preoperative warming of reducing rectal temperature drop in surgica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9, 55-69. 

  18. Matsuzak, Y., Mastsukawa, T., Ohiki, K., Yamamoyo, Y., Nakamura, M., & Oshibuchi, T. (2003). Warming by resistive heating maintains perioperative normothermia as well as forced air heating.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90, 689-691. 

  19. Murat, I., Berniere, J ., & Constant, I. (1994).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a forced-air warmer (Bair Hugger) during spinal surgery in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Anesthesia, 6, 425- 429. 

  20. Negishe, C., Hasegawa, K., Mukai, S., Nakagawa, F., Ozaki, M., & Sessler, D. I. (2003). Resistive-heating and forced-air warming are comparably effective. Anesthesia & Analgesia 96, 1683-1687. 

  21. Rodriguez, J . L., Weissman, C., Damask, M. C., Askanazi, J ., Hyman, A. I., & Kinney, J . M. (1983). Morphine and postoperative rewarming in critically ill patients. Circulation, 68, 1238-1246. 

  22. Sessler, D. I. (1997). Mild perioperative hypothermia.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6, 1730-1737. 

  23. Son, J . T. (1991). The effects of skin-surface warming on the recovery from postoperative hypotherm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4. Steven, R., Insler, S. R., & Sessler, D. I. (2006). Perioperative thermoregulation and temperature monitoring. Anesthesiology Clinics, 24, 823-837. 

  25. Weirich, T. L. (2008). Hypothermia/warming protocols: why are they not widely used in the OR? AORN Journal, 87, 334-344. 

  26. Wong, P. F., Kumar, S., Bohra, A., Whetter, D., & Leaper, D. J . (2007).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perioperative systemic warming in major elective abdominal surgery. British Journal of Surgery, 94, 421-4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