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관 혈 지압이 통증 자가 조절(PCA)을 하는 부인과 수술환자의 오심과 구토 억제 및 환자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ei-Guan Acupressure on Nausea, Vomiting and Level of Satisfaction for Gynecological Surgery Patients Who Are Using 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3, 2010년, pp.423 - 432  

김남초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유제복 (삼성서울병원 회복실 파트) ,  조명숙 (삼성서울병원 간호본부) ,  신은주 (군산간호대학) ,  함태수 (삼성서울병원 마취통증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effects of Nei-Guan acupressure on nausea, vomiting and level of satisfaction for gynecological surgery patients who were using 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Methods: For this study, 51 patients were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a control group (1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내관 혈 지압이 부인과 수술 후 PCA를 사용하는 환자의 오심∙구토정도와 환자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특별히 내관 혈 지압 방법 중 손가락을 이용하는 손 지압 방법과 경피 신경자극(TENS)을 하는 릴리프 밴드 방법의 효과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연구 결과의 민감성을 얻기 위해 한국인에서 수술 후 오심과 구토의 위험인자로 밝혀진 5가지 인자 중(Choi et al.
  • 본 연구는 내관 혈 지압이 수술 후 PCA를 사용하는 환자의 오심과 구토억제 및 환자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손 지압과 릴리프 밴드 지압 방법의 효과 차이를 밝히고자 시도된 유사 실험 연구이다. 전신마취하에 부인과 수술을 받은 환자 총 51명을 대상으로 PCA 제공 전후로 손 지압과 릴리프 밴드 지압을 제공하면서 회복실 퇴실 시점을 포함하여 24시간 동안 6시간 간격으로 오심과 구토 정도 및 환자 만족도를 숫자평정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전신마취하에서 1시간 이상 부인과 수술을 실시한 후 PCA를 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회복실 퇴실 후 24시간 동안 내관 혈 지압이 PCA 약물의 부작용인 오심, 구토억제와 환자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인 유사 실험연구이다(Figure 1). 독립변수는 손 지압과 릴리프 밴드 지압이고, 종속변수는 오심과 구토의 정도 및 환자 만족도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인과 수술 후 통증 자가 조절을 하는 여성 환자에게 적용한 내관 혈 지압의 오심, 구토의 억제와 환자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손 지압과 릴리프 밴드 지압 방법의 효과 차이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 이때 적용한 손목밴드는 안쪽에 둥근 플라스틱 버튼이 부착되어 있는 단순 지압밴드로서 릴리프 밴드와는 다르며, 손 지압에 비해 지속적으로 내관 혈을 압박하는 장점이 있으나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 위치이탈이나 피부홍반 및 혈액순환에 장애를 초래할 수도 있다(Lee & Min, 2008). 이에 본 연구는 수술 후 오심과 구토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부인과 수술 후 회복실에서 PCA를 사용하는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손가락으로 내관 혈을 압박하는 손 지압(finger acupressure)군, 경피 전기신경자극을 하는 릴리프 밴드(relief band)군과 대조군 등 3개 군으로 나누어 내관 혈 지압이 오심과 구토억제 및 환자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제1가설: 내관 혈 지압을 실시한 손 지압군, 릴리프 밴드군과 대조군은 시간에 따라 오심 정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 제2가설: 내관 혈 지압을 실시한 손 지압군, 릴리프 밴드군과 대조군은 시간에 따라 구토 정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 제3가설: 내관 혈 지압을 실시한 손 지압군, 릴리프 밴드군과 대조군은 시간에 따라 환자 만족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1: 내관 혈 지압을 실시한 손 지압군, 릴리프 밴드군과 대조군은 시간에 따라 오심 정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내관 혈 지압을 실시한 손 지압군, 릴리프 밴드군과 대조군은 시간에 따라 구토 정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내관 혈 지압을 실시한 손 지압군, 릴리프 밴드군과 대조군은 시간에 따라 환자 만족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인과 수술 후 오심과 구토의 발생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이유는 무엇인가? , 2004). 이는 환자관련 요인으로서 수술 후 오심과 구토가 사춘기 이전에는 남녀의 차이가 없으나 사춘기 이후에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3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호르몬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Eberhart et al., 2004).
통증 자가 조절법에서 사용되는 진통제는 어떤 것인가? 최근에는 수술 후 통증제거 목적으로 약물주입기를 이용하여 경막 외 또는 정맥을 통해 진통제를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방법이 보편화되었다(Hwang, Shim, Lee, & Kim, 2004). 즉 환자가 스스로 자신의 통증을 조절하는 통증 자가 조절법(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을 말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진통제가 보통 아편유사제이다. 아편유사제의 사용은 통증경감에는 효과적이나 오심과 구토를 유발할 수 있어 수술 후 환자는 통증과 오심, 구토라는 이중의 고통을 받게 된다(Park, Choi, Cho, & Kim, 2004).
아편유사제의 사용은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즉 환자가 스스로 자신의 통증을 조절하는 통증 자가 조절법(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을 말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진통제가 보통 아편유사제이다. 아편유사제의 사용은 통증경감에는 효과적이나 오심과 구토를 유발할 수 있어 수술 후 환자는 통증과 오심, 구토라는 이중의 고통을 받게 된다(Park, Choi, Cho, & Kim,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kaissi, A., Evertsson, K., Johnsson, V., Ofenbartl L., & Kalman, S. (2002). P6 acupressure may relieve nausea and vomiting after gynecological surgery: An effectiveness study in 410 women. Canadian Journal of Anesthesia, 49, 1034-1039. 

  2. Andrews, P. L. (1992). Physiology of nausea and vomiting. British Journal of Anesthesia, 69 (7 Suppl 1), 2S-19S. 

  3. Baek, Y. H., Ok, S. Y., Kim, S. I., Kim, S. C., & Lee, M. H. (2007). Effects of continuous epidural infusion after thoracic epidural anesthesia for mastectomy on postoperative pain, nausea and vomiting.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52, 396-402. 

  4. Choi, D. H., Ko, J. S., Ahn, H. J., & Kim, J. A. (2005). A Korean predictive model for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 811-815. 

  5. Dundee, J. W., & Ghaly, R. G. (1989). Does the timming of P6 acupuncture influence its efficacy as a postoperative anti-emetic?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63, 630. 

  6. Dundee, J. W., & Yang, J. (1990). Prolongation of the antiemetic action of p6 acupuncture by acupressure in patients having cancer chemotherapy.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Medicine, 83, 360-362. 

  7. Eberhart, L. H., Geldner, G., Kranke, P., Morin, A. M., Schauffelen, A., Treiber, M., et al. (2004).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risk score to predict the probability of postoperative vomiting in pediatric patients. Anesthesia and Analgesia, 99, 1630-1637. 

  8. Fassoulaki, A., Papilas, K., Sarantopoulos, C., & Zotou, M. (1993).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reduces the incidence of vomiting after hysterectomy. Anesthesia and Analgesia, 76, 1012-1014. 

  9. Hwang, K. I., Shim, K. D., Lee, S. H., & Kim, H. D. (2004). The effect of continuous infusion of ondansetron on nausea and vomiting during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7, 830-833. 

  10. Jang, Y. S., Kim, S. C., Hong, J. T., Ok, S. Y., & Kim, S. I. (2003).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P6 acupoint reduces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fte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4, 853-859. 

  11. Kim, J. S., Choi, H. Y., Park, C. H., Na, H. W., & Hong, S. S. (2007). Effects of the Nei-Guan acupressure by wrist band on post 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fter thyroidectomy.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79-89. 

  12. Kim, K. S., Kim, D. S., Shin, K. I., & Kim, Y. S. (1995). Effect of electric acupuncture stimulation of PC 6 and PC 7 antiemetic point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28, 433-439. 

  13. Kim, M. S., Lee, S. Y., Kim, J. S., Min, S. K., Park, Y. D., & Park, H. J. (2007). The effect of ondansetron or dolasetron for th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 patients with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53, 624-629. 

  14. Kim, S. I., Kim, S. C., Choi, J. K., & Jin, H. C. (2001). Transcutaneous electrical acupoint stimulation for preventi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 female patients receiving iv-PCA. Intravenous Anesthesia, 5, 210-215. 

  15. Kim, S. I., Yoo, I. S., Park, H. N., Ok, S. Y., & Kim, S. C. (2004).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P6 acupoint reduces postoperative nausea after minor breast surgery.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7, 843-849. 

  16. Kim, W. M., Kwak, S. H., & Yoon, M. H. (2002). Effect of the P6 acupoint on opioid-induced nausea.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2, 450-454. 

  17. Kim, Y. S. (2003). The effects of the Nei-Guan (P6) acupressure on chemotherapy related nausea and vomiting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8. Lee, H. S., Song, J. H., Kim, T. J., Han, J. U., Lim, H. K., Shin, H., et al. (2004). Comparison of dexamethasone and ondansetron for the prevention of nausea and vomiting using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after gynecologic surgery.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7, 726-731. 

  19. Lee, K. H. (2002). Effects of Nei-Guan acupressure on chemotherapyrelated nausea and vomiting in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 Lee, M. Y., & Min, H. S. (2008). Effects of the Nei-Guan acupressure by wrist band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fter middle ear surge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503-512. 

  21. Lee, P. B., Park, J. H., Seo, M. S., Kim, Y. C., & Lee, S. C. (2003). The study upon non-invasive and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th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fter mastoidectomy with tympanoplasty.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5, 743-748. 

  22. Machin, D., Campbell, M. J., Fayers, P. M., & Pinol, A. P. (1997). Sample size tables for clinical studies (2nd ed.). Oxford: Blackwell Science Ltd. 

  23. Ming, J. L., Kuo, B. I., Lin, J. G., & Lin, L. C. (2002). The efficacy of acupressure to prevent nausea and vomiting in post-operative pati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9, 343-351. 

  24. Park, C. K., Choi, H. Y., Cho, C. K., & Kim, M. S. (2004). Comparis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between gynecologic surgery and cesarean section during intravenous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with fentanyl.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6, 306-310. 

  25. Shin, H. S., & Song, Y. A. (2005). The effect of P6 acupressure for symptom control in pregnant women having hyperemesis gravidar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593-601. 

  26. Shin, M. S. (2002). Effect of acupressure on nausea and vomiting during chemotherapy in postoperative stomach cancer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