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가통증조절장치 (PCA) 사용자에서 향기흡입법이 자궁적출술 후 스트레스, 수면 및 오심과 구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romatherapy on Stress, Sleep, Nausea and Vomiting during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Treatment of Patients with Hysterectomy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9 no.4, 2013년, pp.211 - 218  

최정희 (가천대학교 길병원) ,  김윤미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aromatherapy on stress, sleep, nausea and vomiting of women after laparoscopic hysterectom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60 women who had laparoscopic hysterectomy: experiment group for aromatherapy (n=30) and control group for routine ca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자궁적출술 후 여성에게 향기흡입법을 적용하여 수술 후 스트레스, 수면, 오심과 구토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자궁적출술 여성의 향기흡입법 간호중재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자궁적출술은 중년여성이 경험하는 수술 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고 수술 후 스트레스, 수면장애, 자가통증 조절장치의 마약성 진통제로 인한 오심과 구토를 경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Hong &Lee, 2013)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수술 직후와 수술당일 저녁에 향기흡입을 적용하여 자가통증 조절장치를 갖고 있는 급성기의 스트레스, 수면장애, 오심과 구토에 대한 향기흡입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한 간호중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아로마 향기 흡입이 자궁적출술 여성의 스트레스, 수면 및 자가통증조절장치로 인한 오심과 구토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복강경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여성에게 아로마 향기흡입을 적용하여 수술 후 스트레스, 수면 및 자가통증조절장치로 인한 오심과 구토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기요법이 사용하는 것은? 향기요법은 불편감을 감소시키는 데 사용되는 대체보완 요법 중 하나로서 식물의 꽃, 잎, 줄기, 뿌리, 열매 등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다. 향기요법 중 흡입법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본인 스스로 할 수 있고 향을 흡입한 지 0.
향기요법 중 흡입법이란 무엇인가? 향기요법은 불편감을 감소시키는 데 사용되는 대체보완 요법 중 하나로서 식물의 꽃, 잎, 줄기, 뿌리, 열매 등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다. 향기요법 중 흡입법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본인 스스로 할 수 있고 향을 흡입한 지 0.1초 만에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진정효과를 일으키는 간단하고 빠른 방법이며 흡수된 후 3~6시간 내에 호흡기, 신장 등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되어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Buckle, 2001). Jager, Buchbauer, Jirovetz과 Fritzer (1992)는 향기 흡입 후 5분 이내에 혈액에서 오일의 성분이 검출되기 시작하여 20분 내에 최대치를 보이고 90분 후에는 혈액에서 대부분이 제거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아로마 요법의 시너지 효과를 내는 방법은 무엇인가? 아로마 요법에서 안전하게 사용하고 있는 향기흡입법은 폐에서 혈액으로 또 신체 기관으로 전파되는 간단하고 빠른 비침습적인 방법이다. 오일의 특유성으로 블렌딩 했을 때 시너지 효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라벤더, 만다린, 마조람을 3:2:1의 비율로 혼합한 아로마 향기흡입법을 적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uckle, J. (2001). The role of aromatherapy in nursing car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36, 57-72. 

  2. Cha, H. S., Kim, M. Y., & Moon, D. H. (2012). Effects of stress relief by aromatherapy among the nurses in operating thea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8, 623-631. 

  3. Choi, E. M., & Lee, K. S. (2012). Effects of aroma inhalation on blood pressure, pulse rate, sleep, stress, and anxiety in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 41-48. 

  4. Han, S. H., Ro, Y. J., & Hur, M. H. (2001). Effects of aromatherapy on menstrual cramps and dysmenorrhea in college student woman: A 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3, 420-430. 

  5. Hong, S. J., & Lee, E. J. (2013). Cost analysis of post operative pain management for surgical patients using PC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 137-146. 

  6. Jager, W., Buchbauer, G., Jirovetz, L., & Fritzer, M. (1992). Percutaneous absorption of lavender oil from a massage oil.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Chemists, 43, 49-54 

  7. Jo, M. J. (2010).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on stress, fatigue, mood, and vital signs of the nurses in the operating room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2, 153-160. 

  8. Jung, E. S., & Lee, B. S. (2004). Effects of aroma oil inhalation on nausea.vomiting and anorexia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6, 135-145. 

  9. Kim, J. S., Lee, J. R., Jun, Y. S., Kim, B. R., & Park, C. M. (2009).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stress related hormon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5, 1452-1462. 

  10. Kim, N. H. (2010). The effects of aromatherapy to reduce nausea .vomiting and pain in patients receiving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1. Kim, O. J., Kim, K. H., & Park, K. S. (2007). The effect of aroma inhalation on stress, anxiety and sleep patter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 99-111. 

  12. Kim, Y. J., Kim, J. Y., Choi, I. R., Kim, M. W., & Rhodes, V. (2000). The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Korean transla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2, 278-284. 

  13. Lee, S. O., & Hwang, J. H. (2011). Effects of aroma inhalation method on subjective quality of sleep, state anxiety, and depression in mothers following cesarean section delive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 54-62. 

  14. Naito, Y., Tamai, S., Shingu, K., Shindo, K., Matsui, T., Segawa, H., et al. (1992). Responses of plasma adrenocorticotropic hormone, cortisol, and cytokines during and after upper abdominal surgery. Anesthesiology, 77, 426-31. 

  15.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2). The Statistics of Major Operation Retrieved December 30, 2012, from http:// www.nhis.or.kr/portal/site/main/MENU_WBDDG0207/ 

  16. Oh, H. K. (2002). Aromatherapy handbook. Seoul: Yang Moon Press; 2002. 

  17. Oh, J. A., Kim, H. J., & Park, J. H. (2008). Effect of aroma therapy on anxiety, blood pressure and pulse of uterine leiomyoma patients before surger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4, 28-35. 

  18. Oh, J. J., Song, M. S., & Kim, S. M.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563-572. 

  19. Park, S. Y. (1999). Stress scale. Gwangju Public Health Center, 11, 84. 

  20. Rhodes, V. A., & McDaniel, R. W. (1999). The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A new format of the index of nausea and vomiting. Oncology Nursing Forum, 26, 889-894. 

  21. Selye, H. (1950). Stress and the general adaptation syndrome. British Medical Journal, June, 1383-1392. 

  22. Watcha, M. F., & White, P. E. (1992).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t's etiology, treatment, and prevention. Anesthesiology, 77, 162-84. 

  23. Weissan, C. (1990). The metabolic response to stress: An overview and update. Anesthesiology, 53, 308-327. 

  24. Won, S. J., & Chae, Y. R. (2011). The effects of aromatherapy massage on pain, sleep, and stride length in the elderly with knee osteoarthriti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 142-14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