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냉요법을 이용한 수술 후 구강간호가 복강경 자궁근종절제술 환자의 오심, 구토 및 구강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ostoperative Oral Care Using Cold Therapy on Nausea, Vomiting and Oral Discomfort in Patients with Laparoscopic Myomectomy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9 no.3, 2012년, pp.292 - 301  

정미영 (좋은문화병원) ,  최효선 (좋은문화병원) ,  박경연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ostoperative oral care using cold therapy on nausea, vomiting and oral discomfort after laparoscopic myomectomy.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n experimental group (n=29) and a control group (n=35) sampled from patients admit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술 후 오심 및 구토의 빈도가 높은 복강경 부인과 수술 환자 중 자궁근종절제술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회복 후 24시간에 걸쳐 5회의 냉요법을 적용한 구강간호를 제공하고 그 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냉요법을 이용한 수술 후 구강간호가 복강경 자궁근종절제술 환자의 수술 후 오심, 구토 및 구강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복강경 자궁근종절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회복 직 후, 2시간 후, 6시간 후, 12시간 후, 24시간 후 각각의 시점에 냉요법 구강간호를 제공하고 각 30분 후 오심, 구토 및 구강 불편감을 측정하여 효과를 검정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시차설계이다. 사후설계를 한 이유는 대상자의 응답에 의존하는 조사인데, 수술 회복 직후이므로 신뢰성 있고 정확한 사전조사가 어려울 뿐 아니라, 대상자에게 신속한 수술 후 간호를 제공해야 하는 시점에 연구를 위한 조사를 하는 것이므로 사전조사 측정이 부적절하기 때문이다.
  • 작성된 프로토콜은 다년간의 수술환자 간호경험이 있는 4명의 간호사와 기본간호학 교수에게 검토 받은 뒤 예비조사를 거쳐 수정 보완 후 해당병동 간호사들에게 교육을 하기 위한 유인물과 병동 비치용 가이드라인을 구비하였다. 책임연구자는 구강간호 제공을 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일관된 중재를 수행하기 위해 중재 프로토콜에 따른 구강간호 교육을 실시하고 수행방법 및 절차에 대한 검토와 확인을 통해 중재의 내적타당도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 , 2005). 수술 후 통증은 자가 통증조절기로 조절이 되어 환자들의 통증호소는 줄었으나 상대적으로 증가한 복강경 수술 후 오심에 대한 간호가 절실하여 냉요법을 적용한 구강 간호를 복강경하 자궁근종절제술 환자에게 적용하여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복강경 수술은 개복수술에 비해 오심과 구토의 발생율이 높아 이에 대한 수술 후 간호중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복강경하 자궁근종절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냉요법을 이용한 구강간호가 수술 회복 후 24시간 동안의 오심, 구토 및 구강 불편감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시차설계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회복 직후, 회복 후 2시간, 6시간, 12시간 및 24시간 각각의 시점에서 냉요법을 이용한 수술 후 구강간호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오심과 구강불편감에서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중재의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구토에서는 수술 후 12시간과 수술 후 24시간에 제공한 중재 후, 구토유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설 설정

  • 가설 1 : 냉요법을 이용한 수술 후 구강간호를 받은 실험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오심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 냉요법을 이용한 수술 후 구강간호를 받은 실험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구토발생 유무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 냉요법을 이용한 수술 후 구강간호를 받은 실험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구강 불편감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가설 1: “냉요법을 이용한 수술 후 구강간호를 받은 실험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오심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분석결과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F=7.15, p<.001) 가설 1은 지지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강경 수술은 개복술에 비해 어떤 장점을 지녔는가? , 2005) 수술로 완치가 가능하지만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수술법과 회복 과정에서의 양질의 의료가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에 부응하는 복강경 수술은 개복술에 비해 합병증이 적고 재원기간이 짧고, 수술시간 단축 등의 장점으로 그 시행이 증가되고 있으며(Kang, Yoon, Kim, Lee, & Kim, 2007) 수술 후의 문제 중 하나인 통증은 개복술에 비해 그 정도가 덜할 뿐 아니라 자가 통증조절법의 보편적 사용으로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Kim, Yoo, Cho, Shin, & Hahm, 2010). 반면 개복술에 비해 더 높은 발생율을 보이는 수술 후의 오심과 구토가 복강경 수술 후의 주요 문제 중의 하나로 대두되었다(Choi, Ko, Ahn, & Kim, 2005).
본 연구인 복강경 자궁근종절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회복 후 각 시점에 냉요법 구강간호를 하고 오심, 구토 및 구강 불편함을 측정해 그 효과를 검정하는 실험에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시차설계를 한 이유는? 본 연구는 복강경 자궁근종절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회복 직 후, 2시간 후, 6시간 후, 12시간 후, 24시간 후 각각의 시점에 냉요법 구강간호를 제공하고 각 30분 후 오심, 구토 및 구강 불편감을 측정하여 효과를 검정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시차설계이다. 사후설계를 한 이유는 대상자의 응답에 의존하는 조사인데, 수술 회복 직후이므로 신뢰성 있고 정확한 사전조사가 어려울 뿐 아니라, 대상자에게 신속한 수술 후 간호를 제공해야 하는 시점에 연구를 위한 조사를 하는 것이므로 사전조사 측정이 부적절하기 때문이다. 사전조사 부재로 인한 연구의 내적타당도의 위협을 최소화하기 위해 문헌고찰(Apfel & Roewer, 2003; Hirayama, Ishii, Yago, & Ogata, 2001; Stadler et al.
복강경 수술 시 오심과 구토가 발생하게 되는 원인은? 수술 후 오심과 구토는 아직 명확한 발생기전이 규명되지는 않았으나(Collin, 2011) Joris (2005)는 자가 통증조절기를 사용하는 자에 있어서 주입되는 아편양 제재의 영향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복강경 수술 시 복강 내로 주입된 이산화탄소에 의해 복막이 신장되고 미주신경이 자극되어 오심과 구토가 초래될 수 있다고 하였다. Stadler, Bardiau, Seidel, Albert와 Boogaerts (2003)는 복강경 수술, 부인과 수술, 마취제의 종류 등이, 그리고 일반적 특성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나이가 적을수록, 비만이 수술 후 오심과 구토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고, Gan (2002)은 탈수가 영향요인임을 보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pfel, C. C., & Roewer, N. (2003). Risk assessment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ternational Anesthesiology Clinics, 41(4), 13-32. 

  2. Artuso, D., Wayne, M., Cassaro, S., Cerabona, T., Teixeira, J., & Grossi, R. (2005). Hemodynamic changes during laparoscopic gastric bypass procedure. Archives of Surgery, 140, 289-292. 

  3. Biedler, A., Wermelt, J., Kunitz, O., Muller, A., Wilhelm, W., Dethling, J., et al., (2004). A risk adapted approach reduces the overall institutional incidence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Canadian Journal of Anaesthesia, 51, 13-19. 

  4. Cho, E. A., Kim, K. H., & Park, J. Y. (2010). Effects of frozen gauze with normal saline and ice on thirst and oral condition of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patients: pilot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714-723. 

  5. Choi, D. H., Ko, J. S., Ahn, H. J., & Kim, J. A. (2005). A Korea predictive model for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Journal of Korea Medical Science, 20, 811-815. 

  6. Choi, J. E. (2006). A study on the effect of oral cryotherapy on nausea vomiting and oral intake by anti cancer chemotherapy in cancer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7. Choi, S. H., & Kim, Y. K. (2004). The effect of oral care with normal saline on oral state of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6, 452-459. 

  8. Chung, S. H., Kim, K. O., Lee, J. H., & Lee, K. J. (2009). How much are patients willing to pay for preventi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57, 151-154. 

  9. Collins, A. S. (2011).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 adults: Implications for critical care. Critical Care Nurse, 31(6), 36-45. 

  10. Eo, H. J. (2010). The effects of oral cryoyherapy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fter laparoscopic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Fujii, Y., & Itakura, M. (2010). A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to assess the antiemetic effects of midazolam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 women undergoing laparoscopic gynecologic surgery. Clinical Therapeutics, 32, 1633-1637. 

  12. Gan, T. J. (2002).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 Can it be eliminated?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7, 1233-1236. 

  13. Habib, A. S., Muir, H. A., Schultz, J. R., Olufolabi, A. J., White, W. D., & Gan, T. J. (2007).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following the use of fentanyl or remifentanil in ambulatory gynecologic laparoscopic surgery: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Ambulatory Surgery, 13(1), 16-18. 

  14. Harkreader, H., Hogan, M. A., & Thobaben, M. (2007). Fundamentals of nursing caring and clinical judgment (3rd ed.). Saunders: Philadelphia. 

  15. Hirayama, T., Ishii, F., Yago, K., & Ogata, H. (2001). Evaluation of effective drugs for the prevention of nausea and vomiting induced by morphine used for postoperative pain: A quantitative systematic review. Yakugaku Zasshi, 121, 179-185. 

  16. Jeon, H. J., & Kim, Y. H. (2001). A study on the effect of oral cryotherapy on nausea, vomiting and oral intake by anti cancer chemotherapy in pediatric cancer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7, 108-116. 

  17. Jokela, R., & Koivuranta, M. (1999). Tropisetron or droperidol in th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 comparative, randomised, double-blind study in women undergoing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Acta Anaesthesiologica Scandinavica, 43, 645-650. 

  18. Joris, J. L. (2005). Anesthesia for laparoscopic surgery in: Miller's anesthesia (6th ed.), Philadelphia: Elsevier Inc. 

  19. Jung, J. W. (1994). A study on oral discomfort in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 Kang, Y. W., Yoon, S. G., Kim, E. G., Lee, C. M., & Kim, K. Y. (2007). Comparison of laparoscopic with open resections in colorectal cancer: Analysis of short-term results. Journal of Korean Society Coloproctology, 23, 93-100. 

  21. Kim, N. C., Yoo, J. B., Cho, M. S., Shin, E. J., & Hahm, T. S. (2010). Effects of Nei-Guan acupressure on nausea, vomiting and level of satisfaction for gynecological surgery patients who are using 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3), 423-432. 

  22. Lambert, K. G., Wakim, J. H., & Lambert, N. E. (2009). Preoperative fluid bolus and reducti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 patients undergoing laparoscopic gynecologic surgery. Arthroscopy Association of North America Journal, 77, 110-114. 

  23. Lee, H. S., Song, J. H., Kim, T. J., Han, J. U., Lim, H. K., Shin, H., et al. (2004). Comparison of dexamethasone and ondansetron for the prevention of nausea and vomiting using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after gynecological surgery.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7, 726-731. 

  24. Lee, K. N., & Tae, Y. S. (1999). The effects of mouth care on oral discomfort of cancer patient undergoing chemo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Adult Nursing, 11, 785-795. 

  25. Macario, A., Weinger, M., Carney, S., & Kim, A. (1999). Which clinical anesthesia outcomes are important to avoid? The perspective of patients. Anesthesia and Analgesia, 89, 652-658. 

  26. Oh, D. S., Lee, J. H., Lee, S. E., Kim, Y. H., Lim, S. H., Lee, K. M., et al. (2009). Comparison of ramosetron plus dexamethasone with ramosetron alone in the prevention of nausea and vomiting after gynecologic laparoscopic surgery.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56(2), 169-174. 

  27. Park, J. K., Yoon, S. G., Kim, S. U., Lee, J. H., Kim, J. H., Yi, S. Y., et al. (2005). A clinical analysis of uterine myoma.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8, 436-445. 

  28. Park, S. H. (1997). The survey of nausea-vomiting and diet patterns among pediatric cancer patient received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3(1), 62-70. 

  29. Stadler, M., Bardiau, F., Seidel, L., Albert, A., & Boogaerts, J. G. (2003). Difference in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nesthesiology, 98, 46-52. 

  30. Tramer, M. R. (2001). A rational approach to the control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Evidence from systematic reviews. Part II.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and research agenda. Acta Anaesthesiologica Scandinavica. 45, 14-19. 

  31. Wang B., He, K. H., Jiang, M. B., Liu, C., & Min, S. (2011). Effect of prophylactic dexamethasone on nausea and vomiting after laparoscopic gynecological operation: meta-analysis. Middle East Journal of Anesthesiology, 21, 397-402. 

  32. White, L. A., Vanarase, M., Brockbank, K., & Barrett, R. F. (2001). Patient-controlled analgesia and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Efficacy of a continuous infusion of ondansetron. Anaesthesia, 56, 365-36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