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관 지압이 자가 통증 조절을 하는 복강경하 전립선절제술 환자의 오심과 구토에 미치는 효과
Efficacy of Nei-Guan acupressure on Nausea and Vomiting in Patients undergoing laparoscopic prostatectomy with Intravenous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1 no.2, 2014년, pp.131 - 140  

신미영 (부산대학교병원) ,  하주영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Nei-Guan acupressure on nausea and vomiting in patients undergoing laparoscopic prostatectomy with intravenous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IV-PC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ugust 13, 2012 and January 31, 2013 at a hospital in 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im 등(2004)의 연구에서 수술 후 24시간 내관혈 자극을 통해 진토억제 효과를 보고한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내관지압을 24시간동안 적용하고자 하였다. Ming 등(2002) 의 연구에서 손목밴드를 24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적용해도 안전하다고 하였으나, 신경이나 근이 흥분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수준 이상의 강도와 시간이 유지되어야 하지만, 일정한 강도의 자극이 지속적으로 주어지면 감각의 크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작아진다는 점과(So et al.
  • , 2005). 그러므로 복강경하 전립선 절제술을 받고 아편 제제를 사용한 IV-PCA를 적용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손목밴드와 스티커 압봉을 이용한 내관 지압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릴리프 밴드는 스스로 작동하는 장점이 있으나 전기자극에 민감한 환자는 이용이 어렵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침습적이며 지속적으로 적용가능한 손목밴드와 스티커 압봉을 이용하여 IV-PCA로 인한 오심과 구토 완화를 확인한 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복강경하 전립선 절제술 환자 중 IV-PCA를 적용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손목밴드 또는 스티커 압봉을 이용한 내관 지압이 아편 제제를 사용한 IV-PCA 적용으로 유발된 오심과 구토 감소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손목밴드와 스티커 압봉을 이용한 내관 지압이 복강경 전립선 절제술 후 아편 제제를 사용한 IV-PCA 적용으로 유발된 오심과 구토에 효과적인 중재방안임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전신마취하에서 복강경하 전립선 절제술을 실시한 후 아편 제제를 사용한 IV-PCA를 적용하는 환자를 대상 으로 수술실 입실 직전 병실에서부터 24시간 동안 손목밴드 또는 스티커 압봉을 이용한 내관 지압이 오심과 구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이다(Table 1).
  • 본 연구의 목적은 복강경하 전립선 절제술 후 아편 제제를 포함된 정맥 자가 통증 조절(IV-PCA)을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손목밴드와 스티커 압봉을 이용한 내관 지압이 오심과 구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자는 지압에 대한 문헌 고찰 후 한의학 전공교수 1인으로부터 내관혈 위치를 확인하고 지압법에 대한 교육을 받았다. 연구진행을 위해 비뇨기과병동 간호사 2인을 보조 연구자로 선정한 후 연구자가 보조 연구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 후 내관 지압 적용방법에 대해 시범을 보였다.
  • 최근 수술 후 통증조절을 위하여 PCA를 이용한 통증조절이 보편화하고 있으나 이에 사용되는 아편 제제에 의한 오심과 구토는 수술 후 환자들이 가장 많이 호소하는 부작용 중 하나로, 불쾌감을 유발하며 PCA 사용을 중단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복강경하 전립선 절제술 환자 중 아편 제제를 사용한 IV-PCA 적용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손목밴드 또는 스티커 압봉을 이용한 내관 지압이 아편 제제로 유발된 오심과 구토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제 1가설 : 내관 지압을 실시한 손목밴드군, 스티커 압봉군과 대조군은 측정시기에 따라 오심 정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 2가설 : 내관 지압을 실시한 손목밴드군, 스티커 압봉군과 대조군은 측정시기에 따라 구토 정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1: 내관 지압을 실시한 손목밴드군, 스티커 압봉군과 대조군은 측정시기에 따라 오심 정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내관 지압을 실시한 손목밴드군, 스티커 압봉군과 대조군은 측정시기에 따라 구토 정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후 오심과 구토의 발생빈도는 어떻게 되는가? 수술 후 오심과 구토는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합병증이라 할 수는 없으나 환자를 괴롭고 불쾌하게 만드는 증상이며, 이러한 증상이 지속할 경우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 등으로 회복이 지연된다(Apfelbaum, Chen, Mehta, & Gan, 2003). 수술후 오심과 구토의 발생빈도는 수술환자의 20∼30%에 이르며 (Watcha, 2002), 일반적으로 수술 후 24시간 이내 발생한다 (Andrew, 1992).
내관을 자극하는 방법 중 비침습적인 방법들을 적용한 선행연구에는 무엇이 있나? 내관을 자극하는 방법으로는 침술이나 전기 침술 등의 침습적인 방법과 지압, 고주파, 경피 신경자극, 압통 침 등과 같은 비침습적인 방법이 있다(Lee & Done, 1999). 비침습적인 방법들을 적용한 선행연구에는 손지압(Lee, 2012; Ming, Kuo, Lin, & Lin, 2002; Shin, 2004)과 손목밴드(Ming et al., 2002; Taspinar & Sirin, 2010), 스티커 침을 이용한 손지압(Kim, 2009), 경피 신경자극 기구(Kim, Yoo, Cho, Shin, & Hahm, 2010) 등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오심과 구토를 감소시켰다.
수술 후 오심과 구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는 무엇인가? 수술 후 오심과 구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자가 통증 조절(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은 통증 제거 목적으로 보편적으로 이용하며, 아편 제제를 경막 외(epidural PCA) 또는 정맥(intravenous PCA, IV-PCA)으로 투여하는데 (Hwang, Shim, Lee, & Kim, 2004), 수술 후 아편 제제를 사용한 PCA의 지속 주입에 따라 부작용과 잠재적 내성이 우려된다(Chen, Liu, Tan, & Chia, 2011). 이러한 아편 제제를 사용한 PCA 적용은 수술 후 오심과 구토를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garwal, A., Pathak, A., & Gaur, A. (2000). Acupressure wristbands do not prevent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fter urological endoscopic surgery. Canadian Journal of Anaesthesia, 47, 319-324. http://dx.doi.org/10.1007/BF03020945 

  2. Al-sadi, M., Newman, B., & Julious, S. A. (1997). Acupuncture in th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naesthesia, 52, 658-661. 

  3. Andrew, P. L. (1992). Physiology of nausea and vomiting.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69, 2-19. 

  4. Apfelbaum, J. L., Chen, C., Mehta, S. S., & Gan, T. J. (2003). Postoperative pain experience: Results from a national survey suggest postoperative pain continues to be undermanaged. Anesthesia and Analgesia, 97, 534-540. http://dx.doi.org/10.1213/01.ANE.0000068822.10113.9E 

  5. Biedler, A., Wermelt, J., Kunitz, O., Muller, A., Wilhelm, W., Dethling, J., et al., (2004). A risk adapted approach reduces the overall institutional incidence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Canadian Journal of Anesthesia, 51, 13-19. 

  6. Chen, W. H., Liu, K., Tan, P. H., & Chia, Y. Y. (2011). Effects of postoperative background PCA morphine infusion on pain management and related side effects in patients undergoing abdominal hysterectomy. Journal of Clinical Anesthesia, 23, 124-129. http://dx.doi.org/10.1016/j.jclinane.2010.08.008 

  7. Dibble, S. L., Chapman, J., Mack, K. A., & Shih, A. S. (2000). Acupressure for nausea: Results of a pilot study. Oncology Nursing Forum, 27, 41-47. 

  8. Dundee, J. W., Chestnutt, W. N., Ghaly, R. G., & Lynas, A. G. (1986). Traditional Chinese acupuncture: A potentially useful antiemetic?. British Medical Journal, 293, 583-584. 

  9. Dundee, J. W., & Yang, J. (1990). Prolongation of the antiemetic action of P6 acupuncture by acupressure in patients having cancer chemotherapy.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83, 360-362. 

  10. Hwang, K. I., Shim, K. D., Lee, S. H., & Kim, H. D. (2004). The effect of continuous infusion of ondansetron on nausea and vomiting during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7, 830-833. 

  11. Jang, S. H. (2004). Easy Learning Acupuncture. Seoul: Seongbosa. 

  12. Kenyon, J. (1988). Acupressure techniques: A self-help guide. Rochester: Inner Traditions. 

  13. Kim, E. J., Ahn, H. J., Park, S. H., Bang, S. R., & Choi, D. H. (2005). Risk factors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Development of Korean risk model.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8, 380-386. 

  14. Kim, M. K., Bai, S. J., Han, J. M., Lee, Y. K., Kim, J. S., & Shin, Y. S. (2004). The incidence of nausea and vomiting in immediate postanesthetic period.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7, 472-476. 

  15. Kim, N. C., Yoo, J. B., Cho, M. S., Shin, E. J., & Hahm, T. S. (2010). Effects of Nei-Guan acupressure on nausea, vomiting and level of satisfaction for gynecological surgery patients who are using 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423-432. 

  16. Kim, Y. J. (2009). Effect of meridian acupressure therapy using sticker needles for nausea, vomiting caused by chemotherapy in lung cancer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7. Klein, A. A., Djaiani, G., Karski, J., Carroll, J., Karkouti, K., & McCluskey, S. et al. (2004). Acupressure wristbands for th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 adults undergoing cardiac surgery. Journal of Cardiothoracic and Vascular Anesthesia, 18, 68-71. http://dx.doi.org/10.1053/j.jvca.2003.10.014 

  18. Lee, A., & Done, M. L. (1999). The use of nonpharmacologic techniques to prevent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 meta-analysis. Anesthesia and Analgesia, 88, 1362-1369. 

  19. Lee, E. Y. (2012). The effect of PCA education and P6 acupressure on post-operative discomfort in elderly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20. Lee, M. Y., & Min, H. S. (2008). Effects of the Nei-Guan acupressure by wrist band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fter middle ear surge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503-512. 

  21. Ming, J. L., Kuo, B. I., Lin, J. G., & Lin, L. C. (2002). The efficacy of acupressure to prevent nausea and vomiting in post-operative pati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9, 343-351. 

  22. Rhodes, V. A. (1990).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25, 885-990. 

  23. Sadighha, A., & Nurai, N. (2008). Acupressure wristbands versus metoclopramide for th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nnals of Saudi Medicine, 28, 287-291. 

  24. Shin, C. H. (2004). Effect of PCA education and P6 acupressure on post operative pain, nausea and vomiting of hysterectomy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5. So, M. S., Kim, J. H., Jang, S. H., Byun, Y. S., Lee, H. G., & Baek, Y. W. (2003). Human physiology (5th ed.). Seoul: Komoonsa. 

  26. Taspinar, A., & Sirin, A. (2010). Effect of acupressure on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in Turkey.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4, 49-54. http://dx.doi.org/10.1016/j.ejon.2009.07.006 

  27. Tramer, M. R. (2004). Strategies for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Anaesthesiology, 18, 693-701. 

  28. Watcha, M. F. (2002). Postoperative nausea and emesis. Anesthesiology Clinics of North America, 20, 709-722. 

  29. Wuhrman, E., Cooney, M. F., Dunwoody, C. J., Eksterowicz, N., Merkel, S., & Oakes, L. L. (2007). Authorized and unauthorized ("PCA by proxy") dosing of analgesic infusion pumps: Position statement with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Pain Management Nursing, 8, 4-11. 

  30. Yoo, Y. C., Bai, S. J., Lee, K. Y., Shin, S., Choi, E. K., & Lee, J. W. (2012).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with propofol reduces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 patients undergoing robot-assisted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Yonsei Medical Journal, 53, 1197-1202. http://dx.doi.org/10.3349/ymj.2012.53.6.11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