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쇼핑몰 패션 제품 설명 소구 유형과 댓글의 방향성.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shion Product Description Appeal Type, the Direction and Type of Consumer Replies on Online Shopping Mall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18 no.3, 2010년, pp.408 - 422  

김보경 (경희대학교 의상학과) ,  김미숙 (경희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and value of fashion product description and consumer replies used in online shopping mall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reliability(objectivity, expertise, trustworthiness)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the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문제 3. 댓글의 방향성(긍정/부정) 및 댓글의 유형(평가/사실)에 따라 댓글의 신뢰도와 제품에 대한 호감도, 구매 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패션몰에서 판매자가 제공하는 제품 설명을 평가적 감정 전달과 사실적 정보 제공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소비자들이 느끼는 신뢰도와 제품에 대한 호감도, 구매 의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 Edell & Staelin13)에 의하면 소비자들은 주관적인 광고에 대해서는 반박적인 주장을 하는 반면 객관적인 광고에 대해서는 지지하는 인지적 반응을 보임으로써 객관적 정보가 제품 태도에 더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패션몰에서 판매자가 제시하는 상품 정보 중 제품 설명의 유형을 광고의 소구 형태 중 하나로 보고, 평가적 감정 전달과 사실적 정보 전달로 분류하여 이에 따라 소비자가 지각하는 신뢰도와 제품에 대한 호감도, 구매 의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온라인 쇼핑몰에서 패션 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가 지각하는 제품 설명과 댓글에 대한 태도와 이용 정도 및 신뢰도에 대해 파악하고, 판매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광고의 소구 형태로 보고 평가적 감정 전달 유형과 사실적 정보 전달 유형으로 분류해, 소비자가 지각하는 신뢰도 (객관성, 전문성, 진실성)와 제품에 대한 호감도, 구매 의도를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온라인 구전 정보로서 댓글의 방향성과 유형에 따라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신뢰도와 제품에 대한 호감도, 구매 의도를 확인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온라인 쇼핑몰에서 패션 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가 지각하는 제품 설명과 댓글에 대한 태도와 이용 정도 및 신뢰도에 대해 파악하고, 판매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광고의 소구 형태로 보고 평가적 감정 전달 유형과 사실적 정보 전달 유형으로 분류해, 소비자가 지각하는 신뢰도 (객관성, 전문성, 진실성)와 제품에 대한 호감도, 구매 의도를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온라인 구전 정보로서 댓글의 방향성과 유형에 따라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신뢰도와 제품에 대한 호감도, 구매 의도를 확인해 보고자 했다.
  •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패션 제품 구매 시 제품 설명과 댓글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용 정도와 태도를 파악하고, 소비자가 지각하는 신뢰도와 제품 설명과 댓글로 인한 제품에 대한 호감도, 구매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판매자의 제품 정보 중 제품 설명 소구 유형(평가적 감정 전달/사실적 정보 전달)과 댓글의 방향성(긍정/부정)ㆍ유형(평가/사실)에 따라 상황을 조작하여 각각의 상황에서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신뢰도와 소비자들의 호감도, 구매 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상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댓글은 긍정ㆍ부정의 방향성과 함께 평가적ㆍ사실적 유형이 공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구전으로서 댓글이 소비자들의 구매 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Holbrook이 입증가능성(verifiability)이라는 개념의 기준으로 분류한 사실적 메시지와 평가적 메시지로 유형화하여 댓글의 유형을 분류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 온라인 구전의 방향성에 대한 연구를 종합해볼 때 구전의 방향성은 크게 긍정, 부정으로 나뉘며, 양면적인 형태(긍정과 부정의 혼합)와 중립적인 형태(객관적인 정보)가 존재하고, 소비자들은 구전의 방향성이 부정적인 경우 긍정적일 때보다 정보를 더 신뢰하며 구매 의도에 부정적인 구전이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구전으로서 댓글의 방향성을 크게 긍정과 부정의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연구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패션몰에서 판매자가 제공하는 제품 설명을 평가적 감정 전달과 사실적 정보 제공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소비자들이 느끼는 신뢰도와 제품에 대한 호감도, 구매 의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아울러 구매자들이 작성한 댓글의 방향성․유형에 따라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댓글에 대한 신뢰도 그리고 제품에 대한 호감도, 구매 의도는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연구문제 1. 온라인 쇼핑몰에서 패션 제품 구매 빈도, 월 평균 피복비, 연령에 따라 제품 설명과 댓글에 대한 이용도, 의존도와 신뢰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연구문제 4. 온라인 쇼핑몰에서 패션 제품 구매 시 제품 설명 소구 유형과 댓글의 방향성ㆍ유형에 따라 소비자가 지각하는 신뢰도와 호감도, 구매 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연구문제 2. 온라인 쇼핑몰에서 패션 제품 구매 시 판매자가 제공하는 제품 설명의 소구 유형(평가적 감정 전달/사실적 정보 전달)에 따라 소비자가 지각하는 정보의 신뢰도와 제품에 대한 호감도, 구매 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류학 분야에서는 댓글의 유형이나 제품 설명 유형이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에 어떻게 작용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자가 제시하는 제품 설명의 유형과 구매 경험자들의 댓글의 방향성과 유형이 소비자들의 구매 의사 결정 과정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뢰도와 소비자들의 호감도, 구매 의도를 알아 보기 위하여 어떤 연구 문제들을 제시하였는가? 연구문제 1. 온라인 쇼핑몰에서 패션 제품 구매 빈도, 월 평균 피복비, 연령에 따라 제품 설명과 댓글에 대한 이용도, 의존도와 신뢰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연구문제 2. 온라인 쇼핑몰에서 패션 제품 구매 시 판매자가 제공하는 제품 설명의 소구 유형(평가적 감정 전달/사실적 정보 전달)에 따라 소비자가 지각하는 정보의 신뢰도와 제품에 대한 호감도, 구매 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연구문제 3. 댓글의 방향성(긍정/부정) 및 댓글의 유형(평가/사실)에 따라 댓글의 신뢰도와 제품에 대한 호감도, 구매 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본다. 연구문제 4. 온라인 쇼핑몰에서 패션 제품 구매 시 제품 설명 소구 유형과 댓글의 방향성ㆍ유형에 따라 소비자가 지각하는 신뢰도와 호감도, 구매 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인터넷 쇼핑몰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인터넷 쇼핑몰이 직접 상품을 볼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감안할 때 상품에 대해 정확하고 풍부한 상품 정보를 제공하면 소비자들의 구매에 도움이 되고 그로 인해 만족을 줄 수 있다11). 온라인상에서 판매자는 소비자의 구매를 촉진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제품 사진들과 함께 제품 설명을 제시하며, 이는 소비자에게 구매 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품 차별화의 역할을 하고 소비자의 정보 비용이나 탐색 비용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어 온라인 쇼핑에서의 상품 설명의 제시도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점에서 광고의 한 유형이라고 볼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댓글은 어떤것을 말하는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댓글은 일정한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가 자신의 구매 경험과 제품 사용 후 만족과 불만족에 대해 온라인상의 게시판을 통하여 알리는 것을 말한다. 최은영14)의 연구에서 온라인 댓글은 소비자 주도적 정보이면서 온라인상의 구전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점에서 신뢰성이 높고 영향력이 큰 구매에 대한 정보원이며, 위험 지각이 높은 의류 상품에 구매자들의 댓글이 제공된다면 구매 결정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서경 (2003). "인터넷상의 구전(word-of-mouth)이 소비자의 제품평가와 구전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준수 (2007). "온라인 정보탐색에 있어 정보원천의 신뢰도가 정보만족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 제품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박은아, 김영우, 서현숙 (2007). "온라인 사용 후기 정보의 영향력."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4. 박은아, 김재규, 도주연 (2007). "사용 후기가 온라인 제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품 유형별 비교."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논문집. 

  5. 박찬, 유창조 (2006). "온라인에서의 구전 커뮤니케이션이 상표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 연구 17권 1호. 

  6. 성영신, 유형열, 장인숙 (2001). "Word of Mouse: On-line상의 소비구전 정보 연구." 한국광고학회 추계 연차 학술대회. 

  7. 손진아, 이은영 (2007). "인터넷 의류쇼핑에서 온라인 구전 정보의 특성 중 방향성과 동의성이 소비자 구매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1권 8호. 

  8. 송소진, 황진숙 (2007). "온라인 패션 구전에 따른 패션 제품관여와 인터넷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31권 3호. 

  9. 안광호, 환선진, 정찬진 (1999). 패션마케팅. 서울:수학사. 

  10. 이두희, 강태윤, 윤원상 (1998). "우리나라 인터넷 이용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과 사용현황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32권 2호. 

  11. 이은실 (2007). "인터넷여성패션 쇼핑몰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은재, 심완섭 (2007). "인터넷 쇼핑 이용후기 메시지의 신뢰평가와 구매시점 및 구매 후 행동 특성연구." e-비즈니스연구 8권 3호. 

  13. 이현선, 리대룡 (2004). "구전으로서 온라인 사용후기 효과에 관한 연구." 홍보학연구 8권 2호. 

  14. 지운철 (2005). "온라인 쇼핑몰에서 사용 후기 메시지가 신뢰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5. 최은영 (2004). "인터넷 쇼핑몰의 의류 상품평 내용과 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2권 6호. 

  16. Alba, J., J. Lynch, B. Weitz, C. Janiszewski, R. Lutz, A. Sawyer and S. Wood (1997). "Incentive Home Shopping: Consumer, Retailer, and Manufacturer Incentives to Participate in Electronic Marketplaces." Journal of Marketing Vol. 36, July. 

  17. Assael, H. (2004). Consumer Behavior - A Strategic Approach. Boston: Houghton Mifflin. 

  18. C. Leavitt (1978). "The Persuasive Effect of Source Credibility: Tests of Cognitive Respon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4. 

  19. Chatterjee, P. (2001). "Online Review: Do Consumers Use Them?" Advances Consumer Research Vol. 28. 

  20. Deutsch, M. and H. B. Gerard (1955). "A Study of Normative and Information Social Influence Upon Individual Judgement."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21. Edell, J. A. and R. Staelin (1983). "The Information Processing of Pictures in Print Advertisement Claims: Testing Hypotheses from Economics of Inform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16. 

  22. Elliott, Kiersten Marie (2002). "Understanding Consumerto-Consumer Influence on the Web." Doctoral Dissertation Duke University. 

  23. Flanagin, A. J and M. J. Metzger (2000). "Perceptions of Internet Information Credibility." Journal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 77, No. 3. 

  24. Holbrook, M. B. (1978). "Beyond Attitude Structure: Toward the Informational Determinants of Attitud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14. 

  25. Marquiz. F. T. (1977). "Advertising Content: Persuasion, Information or Intimidations." Journalism Quarterly Vol. 54. 

  26. Peterson, R. A., S. Balasubramanian and B. J. Bronnenberg (1997).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the Internet for Consumer Marketing."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 24, No. 4. 

  27. Ranganathan, C. and S. Granapathy (2002). "Key Dementions of Business-to-Consumer Web Sites."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 39, No. 6. 

  28. Rinchins, M. L. (1983). "Negative Word of Mouth by Dissatisfied Consumer: A Pilot Study." Journal of Marketing Vol. 47. 

  29. Smith. R. E. and R. F. Lusch (1976). "How Advertising Can Position a Brand."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 16. 

  30. Stauss, B. (1997). "Global Word-of-Mouth: Service Bashing on the Internet is a Thorny Issue." Marketing Management Fal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