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농약 유기재배 사과원의 병해충 발생과 관리 실태
Current Status on the Occurrence and Management of Disease, Insect and Mite Pests in the Non-chemical or Organic Cultured Apple Orchard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18 no.2, 2010년, pp.221 - 232  

최경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이동혁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송양익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남종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이순원 ((사)한국과수병해충예찰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05년부터 2008년에 걸쳐 무농약 유기농산물 인증을 받은 사과원의 변동 상황을 조사하였고, 무농약 유기재배 사과원에서 병해충 발생과 관리 실태 파악을 목적으로, 2006년에는 17명, 2009년에는 13명을 대상으로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는 문제병해충과 병해충 관리를 위해서 사용한 친환경 농자재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07년에는 무농약 유기농산물 인증을 받은 음성 무주 장성 영주 의성 청송 칠곡 지역의 10개 사과원을 대상으로, 2009년에는 충주 예산 영덕 지역의 3개 사과원을 추가한 13개 사과원을 대상으로 피해가 많았던 병해충의 발생상황과 병해충 관리를 위해서 사용한 친환경 농자재에 대해 방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2005~2008년에 걸쳐 사과에 무농약농산물 인증을 받은 농가는 각각 9, 24, 42, 48농가였으며, 유기농산물(전환기 유기농산물 포함) 인증을 받은 농가는 각각 5, 4, 11, 30농가로서, 2005년 대비 2008년에 무농약농산물은 5.3배, 유기농산물은 6배가 증가하였다. 무농약 유기농산물 인증 사과원에서 문제된 병해는 갈색무늬병, 탄저병, 겹무늬썩음병, 그을음(점무늬)병이었는데, 석회유황합제와 석회보르도액을 사용하는 사과원의 경우에 2006년과 2007년에 비하여 2009년에는 갈색무늬병, 탄저병, 겹무늬썩음병의 피해가 적었고, 그을음(점무늬)병은 심하지는 않았지만 문제가 되었다. 문제된 해충으로는 2006년과 2007년에는 사과혹진딧물,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이었으나, 2009년에는 교미교란제, 난황유, 기계유유제를 사용하는 사과원의 경우에 이들 해충의 피해는 크게 적어진 반면에, 일부 사과원에서 사과유리나방과 사과면충으로 인해 새로운 문제가 야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2005~2009, current status on the occurrence and the management of the major disease, insect and mite pests were investigated in the non-chemical or organic cultured apple orchards in Korea. Numbers of certified organic or non-chemical apple orchards increased from 14 in 2005 to 78 in 2008.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 친환경 농산물인증에서 저농약농산물 인증이 2015년에는 폐지될 예정이기 때문에 저농약농산물 인증을 받은 사과원이 원활한 유기․무농약 농산물 인증으로 전환하는 것을 돕고, 유기재배 과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과 유기재배의 기술적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김창길 등, 2009). 본 연구에서는 무농약․유기농산물 인증 사과원의 문제병해충 발생과 피해를 조사하고 이들 병해충 관리를 위한 친환경 농자재의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자, 2006년과 2009년에 무농약․유기농산물 인증을 받은 사과원을 대상으로 문제병해충과 이들이 사용하는 병해충 관리와 관련된 농자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007년과 2009년에는 사과 주산단지인 음성․충주․예산․무주․장성․영덕․영주․의성․청송․칠곡의 무농약․ 유기농산물 인증 사과원을 방문하여 병해충 발생과 피해 및 친환경 농자재의 사용 실태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5-2008. 친환경농산물 연도별 인증 현황. http://www.naqs.go.kr 

  2. 기무라 아키노리(도라지회 옮김). 2008. 무농약.무비료의 기술과 마음 - 자연재배. 중앙생활사. p. 182. 

  3. 김창길.정학균.문동현. 2009. 최근 국내외 친환경 농산물의 생산실태 및 시장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연구속보 제58권. 

  4. 농촌진흥청. 2009. 사과.배 유기재배 현황 및 금후 추진계획. 

  5. 엄재열.이순원. 2009. 저농약 고효율 사과 병해충 방제. 경북대학교. 

  6. 이순원.이동혁.최경희.김동아. 2007a. 사과원의 문제해충과 방제실태 설문조사. 한국원예학회 원예과학기술지 25(3): 196-200. 

  7. 이순원.최경희.이동혁.김동아.송양익. 2007b. 무농약, 유기농업 사과원의 병해충관리 실태 조사 및 실증시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완결보고서. 

  8. 이시카와 다쿠지(이영미 옮김). 2009. 기적의 사과. 김영사. p. 246. 

  9. 자연을 닮은 사람들. 2007. 천연농약 전문강좌. p. 151. 

  10. 황재현. 2009. 친환경.유기농산물 생산.유통.소비시장 현황 - 가격 경쟁력 제고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7(3): 327-345. 

  11. Ames, G. 2001. Considerations in organic apple production. ATTRA's organic matters series. USDA. p. 24. 

  12. Brunner, J. F., M. Doerr, K. Granger and J. Dunley. 2005. Organic management of codling moth with pheromones, Entrust and CM virus. Proc. of the 3rd national organic tree fruit research symposium. 45-46. 

  13. Cornell Univ. 2009. Organic tree fruit production in New York States. http://ipmguidelines.org. 

  14. Ellis, M. A. 2001. Disease management guidelines for organic apple production in Ohio. OSU organic apple disease spray guide. p. 19. 

  15. Granatstein, D., E. Kirby and C. Feise. 2005. Trends of organic tree fruit production in Washington State. Proc. of the 3rd national organic tree fruit research symposium. 3-5. 

  16. Longstroth, M. 2001. Organic apple spray program. Michigan St. Univ. 

  17. Peck, G.M. 2006. Apple orchard productivity and fruit quality under organic, conventional, and integrated management. HortScience 41(1): 1-19. 

  18. Phillips, M. 1998. The apple grower: A guide for the organic orchardist. Chelsea Green Pub. White River Junction, VT. p. 242. 

  19. Trapman, M. and P. J. Jansonius. 2008. Disease management in organic apple orchards is more than applying the right product at the correct time. Proc. 2008 - ecofruit conference : 16-22. 

  20. Wearing, C. H. et al. 1994. Pest control for organic production in New Zealand. Hort-Research Publ. p. 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