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제 지향적 그룹 운동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운동 기능과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Group Task-related Program Training on Motor Function and Depression for Patient with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5 no.1, 2010년, pp.25 - 34  

정재훈 (국립재활원 물리치료실) ,  고명숙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물리치료실) ,  이정아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 for gait, balance, and depression for stroke patients by group task-related program training based motor learning theory.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dministrated to the 11 stroke patients (9 male, 2 female) by 5 weeks, 3 t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 학습 이론에 기초한 과제 지향적 그룹 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균형의 변화와 우울증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어지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 본 연구는 운동 학습 이론에 기초한 과제 지향적 그룹 운동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균형 능력과 우울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결과 과제 지향적 그룹 운동 프로그램은 FMA, 체독-맥마스터 뇌졸중 검사의 하지 운동 기능 영역, TUG 검사와 BBS의 향상에는 효과적이었으나, 체독-맥마스터 뇌졸중 검사의 장애 평가 영역, 시공간적 보행변수와 다면적 인성검사 중 우울증 검사 항목에는 효과가 없었다.
  • 이 검사 도구는 캐나다의 체독(Chedoke) 재활센터에서 뇌졸중 환자 치료 팀으로 구성된 연구자들에 의해 1988년부터 뇌졸중 환자를 위한 평가도구로 개발된 검사 도구이다(Gowland 등, 1995). 본 연구에서는 Brummstrom의 운동 회복 단계를 기초로 하여 뇌졸중 환자의 운동 수행능력의 손상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2차적인 장애도 평가할 수 있고, 치료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체독-맥마스터 뇌졸중 검사를 개발하였다. 이 검사 도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 학습 이론에 기초한 과제 지향적 그룹 운동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균형 능력과 우울 정도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가설 설정

  • 반면 뇌졸중 환자에게 실시하는 그룹치료가 우울증의 정서적 지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분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과제 지향적 그룹 운동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기능적 능력뿐만 아니라 심리적 변인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의 기능상 장애는 심리적인 면에서 무엇과 상관성이 있는가? 이러한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을 경우 재활에 많은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된다(신영일 등, 2002; 정미정, 2000). 뇌졸중 환자의 기능상 장애는 심리적인 면에서 우울의 정도와 상관성이 있으며, 뇌졸중 환자 중 25~79%에서 우울증이 나타난다고 보고되었고(Gordon과 Hibbard, 1997), Aström 등(1993)은 발병 1주일 이내에는 25%, 3개 월에는 31%, 2년에는 19%, 3년에서는 29%의 우울증이 보인다고 하였다. Agrell와 Dehlin(1989)는 뇌졸중환자와 비슷한 신체의 결함을 가지고 있는 정형외과적 환자와 뇌졸중환자 사이의 우울증 비교에서 뇌졸중환자의 우울 정도와 유병율이 4배 높다고 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뇌졸중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어지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이들 방법에는 트레드밀과 지지대 (harness)를 이용한 보행훈련(Joseph, 2002), 수중에서의 유산소성 운동, 걷기, 달리기, 사이드 스텝 등의 운동(Chu 등, 2004), 근력강화와 기능적 능력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운동이 뇌졸중 환자를 위해 제공되어지고 있다.
뇌졸중 환자의 기능상 장애는 편마비로 인해 환자가 겪는 마비 측의 운동조절과 일상생활 수준에서의 문제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무엇에도 영향을 미치는가? 뇌졸중 환자의 기능상 장애는 편마비로 인해 환자가 겪는 마비 측의 운동조절과 일상생활 수준에서의 문제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인 면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을 경우 재활에 많은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된다(신영일 등, 2002; 정미정,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김성학, 박래준. 편마비환자의 과제지향 접근법.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4;16(2):54-62. 

  2. 김재욱, 김수민, 박래준. 과제 지향적 기능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3;15(4):65-81. 

  3. 김중술. 다면적인성검사:MMPI 임상적 해석.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4. 민경숙. 뇌졸중, 편마비 노인을 위한 회상중심의 집단미술치료 연구 사례.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석사학위 논문. 2004. 

  5. 신영일, 김찬문, 이형수 등. 뇌졸중 환자를 위한 집단운동치료 프로그램. 대한신경물리치료학회지. 2002;1(2):245-60. 

  6. 원종혁, 김용욱. 뇌졸중 환자 평가를 위한 Chedoke-McMaster Stroke Assessment의 측정자간 신뢰도. 한국전문물리치료사학회지. 1997;4:45-60. 

  7. 이승주, 정성영. 물리치료적용에 따른 일부 뇌졸중환자의 우울증 변화.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1;13(1):33-40. 

  8. 이미옥. 음악치료가 노인 뇌졸중 환자의 우울증과사회적 회피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9. 정미정.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와 삶의 질. 경희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0. 

  10. 한지숙. 편마비 대상자를 위한 이완술이 스트레스와통증,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11. Agrell B, Dehlin O. Comparison of six depression rating scales in geriatric stroke patients. Stroke. 1989;20(9):1190-4. 

  12. Astrom M, Adolfsson R, Asplund K. Major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A 3-year longitudinal study. Stroke. 1993;24(7):976-82. 

  13. Baum EE, Jarjoura D, Polen AE et al. Effectiveness of a group exercise program in a long-term care facility: a randomized pilot trial. J Am Med Dir Assoc. 2003;4(2):74-80. 

  14. Bogle Thorbahn LD, Newton RA. Use of the Berg Balance Test to predict falls in elderly persons. Phys Ther. 1996;76(6):576-83. 

  15. Bontke CF, Boake C. Traumatic brain injury rehabilitation. Neurosurg Clin N Am. 1991;2(2): 473-82. 

  16. Carr J, Shepherd R.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motor skill. 1st ed. Oxford, Butterworth Heinneman, 2003: 209-20. 

  17. Carr JH, Shepherd RB. Neurological rehabilitation. Optimizing motor performance. Oxford, Butterworth Heinemann, 1998. 

  18. Chu KS, Eng JJ, Dawson AS et al. Water-based exercise for cardiovascular fitness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4;85(6):870-4. 

  19. Crutchfied CA, Barnes MR. Motor Control and Motor Learning in Rehabilitation. Atlanta, Stokes ville, 1993. 

  20.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0;81(4): 409-17. 

  21. Di Fabio RP, Badke MB. Relationship of sensory organization to balance function in patients with hemiplegia. Phys Ther. 1990;70(9):542-8. 

  22. Duncan PW, Propst M, Nelson SG. Reliability of the Fugl-Meyer assessment of sensorimotor recovery following cerebrovascular accident. Phys Ther. 1983;63(10):1606-10. 

  23. Fraley CG. Stroke rehabilitation. 1st ed. St. Louis. Mosby. 1998:51-3. 

  24. Fugl-Meyer AR. Post-stroke hemiplegia assessment of physical properties. Scand J Rehabil Med Suppl. 1980;7:85-93. 

  25. Gordon WA, Hibbard MR. Poststroke depression: an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Arch Phys Med Rehabil. 1997;78(6):658-63. 

  26. Gowland C, VanHullenaar S, Torresin W et al. Chedoke-McMaster Stroke Assessment: development, validation and administration manual. Hamilton, Chedoke-McMaster Hospitals and McMaster University, 1995. 

  27. Gunsolus P, Welsh C, Houser C. Equilibrium reactions in the feet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nd of normal children. Dev Med Child Neurol. 1975;17(5):580-91. 

  28. Joseph PW. Endurance exercise following strok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Current Comment. http://www.americanheart.org. 2002. 

  29. Laufer Y, Dickstein R, Resnik S et al. Weight-bearing shifts of hemiparetic and healthy adults upon stepping on stairs of various heights. Clin Rehabil. 2000;14(2):125-9. 

  30. Leroux A. Exercise training to improve motor performance in chronic stroke: effects of a community-based exercise program. Int J Rehabil Res. 2005;28(1):17-23. 

  31. McNevin NH, Wulf G, Carlson C. Effects of attentional focus, self-control, and dyad training on motor learning: implication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Phys Ther. 2000;80(4):373-85. 

  32. Pang MY, Harris JE, Eng JJ. Community based upper-extremity group exercise program improves motor function and performance of functional activitie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6;87(1):1-9. 

  33. Parry RH, Lincoln NB, Vass CD. Effect of severity of arm impairment on response to additional physiotherapy early after stroke. Clin Rehabil. 1999;13(3):187-98. 

  34.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35. Schmidt RA. Motor control and learning. Champaign, Human Kinetics Inc, 1988. 

  36. Shea CH, Wulf G, Whitacre C. Enhancing training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through the use of dyad training. J Mot Behav. 1999;31(2):119-25. 

  37. Shumway-Cook A, Anson D, Haller S. Postural sway biofeedback: its effect on reestablishing stance st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1988;69(6):395-400. 

  38. Surburg PR. Flexibility training: program design. In: Miller PD, eds, Fitness programming and physical disability, Champaign, Kinetics, 1995:395-400. 

  39. Thaut MH, Kenyon GP, Schauer ML et al. The connection between rhythmicity and brain function. IEEE Eng Med Biol Mag. 1999;18(2):101-8. 

  40. Vinogradov S, Yalom ID. Concise Guide to Group Psychotherapy. Washington, American Psychiatric Press Inc., 1990. 

  41. Wade DT. Stroke: rehabilitation and long-term care. Lancet. 1992;339(8796):79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