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연 강수량, 계절 강수량 및 월 강수량의 확률분포형 결정
The Determination of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Annual, Seasonal and Monthly Precipitation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2 no.2, 2010년, pp.83 - 94  

김동엽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이상호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홍영주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이은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임상준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연 강수량, 계절 강수 량 그리고 월 강수량의 최적 확률분포형을 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전국 32개의 강우 관측소에서 얻은 자료에 대하여 L-모멘트 비 다이어그램과 평균가중거리 값을 이용하여 각 강수량별 최적 확률분포를 산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선정된 최적 확률분포형을 관측 지점별로 적합도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강수량에서는 3변수 Weibull 분포(W3), 봄과 가을에는 3변수 대수정규분포(LN3), 여름과 겨울에는 일반화된 극치분포(GEV)가 관측값에 가장 잘 적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 강수량에서는 1월은 LN3, 2월과 7월은 W3, 3월은 2변수 Weibull 분포(W2), 4월, 9월, 10월, 11월은 일반화된 Pareto 분포(GPA), 5월과 6월은 GEV, 그리고 8월과 12월은 log-Pearson type III 분포(LP3)가 가장 잘 적합하였다. 하지만, 최적 확률분포형의 지점별 적합도 검정의 결과, 1월, 4월, 9월, 10월, 11월의 GPA와 LN3에 대한 기각율이 확률 분포의 매개변수 추정에서의 오류와 상대적으로 높은 AWD 값으로 인하여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편, 23개 관측소의 자료를 추가하여 분석해본 결과 기존의 32개 의 관측소 자료를 이용한 것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종합적으로 보다 적합한 확률분포형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더 장기간의 표본자료를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best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annual, seasonal and monthly precipitation in Korea. Data observed at 32 stations in Korea were analyzed using the L-moment ratio diagram and the average weighted distance (AWD) to identify the best probability dist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연 강수량, 계절 강수량 그리고 월 강수량의 최적 확률분포형을 선정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국 32개 강우 관측소에서 측정된 자료를 이용하여 L-모멘트 다이어그램을 그려서 평균가중거리 값을 계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선정된 강수량별 최적 확률분포형에 대하여 지점별 적합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연 강수량, 계절 강수량 그리고 월 강수량의 최적 확률분포형을 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전국 32개의 강우 관측소에서 얻은 자료에 대하여 L-모멘트 비 다이어그램과 평균가중거리 값을 이용하여 각 강수량별 최적 확률분포를 산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선정된 최적 확률분포형을 관측 지점별로 적합도 검정을 실시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연 강수량, 계절 강수량 그리고 월 강수량의 최적 확률분포형을 선정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 전 지역을 고르게 반영할 수 있는 강수자료를 토대로 가장 효율적으로 확률분포형을 선정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L-모멘트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모멘트 비 다이어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L-모멘트 비 다이어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은 하나의 다이어그램에 관측자료와 여러 종류의 확률분포형을 동시에 나타내므로 비교하기가 쉽고 이해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그 결과에 대하여 자의적인 해석을 할 가능성이 크고, 정량화된 결과치를 얻을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Peel et al.
L-모멘트 비 다이어그램이란 무엇인가? L-모멘트 비 다이어그램은 관측자료와 확률분포형의 L-변동계수와 L-왜도(2변수형 확률분포에 적용) 혹은 L-첨도와 L-왜도(3변수형 확률분포에 적용)를 도시하여 적합한 확률분포형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각 확률분포형을 L-모멘트 비 다이어그램에 나타내는 방법은 아래의 식 (9)를 이용하여 다항식으로 근사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Hosking, 1996; Vogel and Wilson, 1996).
L-모멘트 방법이란 무엇이며, 어떤 장점을 가지는가? 본 연구에서 이용된 확률분포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방법은 Hosking(1990)이 제안한 L-모멘트 방법이다. 이 방법은 확률가중모멘트의 선형조합을 통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전통적인 모멘트 방법과 비교하여 고차 모멘트 추정치가 편향되는(biased) 경향이 작으며(Hosking, 1990), 이상치에 대하여 덜 민감한 경향을 나타내는 등(Royston, 1992; Vogel and Fennessey, 1993)의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w, K. C. A., and W. E. Watt, 1994: Practical use of the L-moments. Stochastic and Statistical Methods in Hydrology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 K. W. Hipel (E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55-69. 

  2. Guttman, N. B., J. R. M. Hosking, and J. R. Wallis, 1993: Regional precipitation quantile values for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 computed from L-moments. Journal of Climate 6, 2326-2340. 

  3. Heo, J., and K. Kim, 1995: A study of the selection of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rainfall data in Korea. Journal of the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Yonsei University 27(2), 193-2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osking, J. R. M., 1990: L-moments: analysis and estimation of distributions using linear combinations of order statistic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52, 105-124. 

  5. Hosking, J. R. M., 1996: Fortran routines for use with the method of L-moments. IBM Research Report RC 20525 (90933), 33pp. 

  6. Hosking, J. R. M., and J. R. Wallis, 1997: Regional Frequency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4pp. 

  7. Kroll, C. N., and R. M. Vogel, 2002: Probability distribution of low streamflow serie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7(2), 137-146. 

  8. Lee, J., J. Lee, B. Kim, and J. Park, 2000: Derivation of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 of individual zone based on the representative probability distribution.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124-129. (in Korean) 

  9. Lee, D., and J. Heo, 2001: Frequency analysis of daily rainfall in Han River basin based on regional L-moment algorithm.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2), 119-1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Markovic, R. D., 1965: Probability of best fit to distributions of annual precipitation and runoff. Hydrology Paper no. 8, Colorado State Univ., Fort Collins, Colorado, USA, 35pp. 

  11. Oh, T. S., J. S. Kim, Y. Moon, and S. Y. Yoo, 2006: The study on application of regional frequency analysis using kernel density function.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9(10), 891-9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Peel, M. C., Q. J. Wang, R. Vogel, and T. A. McMahon, 2001: The utility of L-moment ratio diagrams for selecting a regional probability distribution.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46(1), 147-155. 

  13. Royston, P., 1992: Which measures of skewness and kurtosis are best? Statistics in Medicine 11(3), 333-343. 

  14. Vogel, R. M., and N. M. Fennessey, 1993: L moment diagrams should replace product moment diagrams. Water Resources Research 29(6), 1745-1752. 

  15. Vogel, R. M., and I. Wilson, 1996: Probability distribution of annual maximum, mean, and minimum streamflow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 69-76. 

  16. Yue, S., and M. Hashino, 2007: Probability distribution of annual, seasonal and monthly precipitation in Japan.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52(5), 863-877. 

  17. Zhang, J., and M. A. Stephens, 2009: A new and efficient estimation method for the generalized Pareto distribution. Technometrics 51(3), 306-615. 

  18. 건설교통부, 2000: 한국확률강우량도 작성.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 건설교통부. 

  19. 윤용남, 2007: 수문학 -기초와 응용-. 청운각, 1152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