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대한 강원지역 벼 재배의 적응
Adaptation Study of Rice Cultivation in Gangwon Province to Climate Change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2 no.2, 2010년, pp.143 - 151  

서영호 (강원도농업기술원) ,  이안수 (강원도농업기술원) ,  조병욱 (강원도농업기술원) ,  강안석 (강원도농업기술원) ,  정병찬 (강원도농업기술원) ,  정영상 (강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원 지역에서의 최근 10년간(2000~2009)의 기상환경을 평년(1971~2000)과 비교하여 벼 재배의 기상환경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고품질 쌀의 안정 생산을 위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평년에 비해 기온이 $0.5^{\circ}C$ 올라가고, 일교차는 $0.1^{\circ}C$ 줄었으며, 강수량은 122mm 많아졌고, 일조시수는 151시간 줄었다. 벼가 본답에서 주로 생육하는 6월부터 9월까지는 연중 기후 변화에 비해 강수량 증가(151mm)와 일조 시간 감소(86시간) 경향이 뚜렷하였는데, 원주 등 남부내륙권에서 가장 큰 폭의 변화를 보였다. 호흡소모계수는 평년에 비해 0.07 높아졌는데, 특히 생식생장기인 7월에 0.13으로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이는 고온에서 호흡이 증가하고 일조시간 부족으로 건물 생산량이 낮아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고품질 벼생산을 위한 등숙 온도인 $20{\sim}22^{\circ}C$를 기준으로 산출한 알맞은 출수기는 평년에 비해 춘천, 홍천, 원주, 강릉은 늦어졌으나, 철원은 앞당겨졌다. 알맞은 출수기 후40일간의 일조시수는 평년에 비해 34시간 줄어 유백미와 사미가 많아질 염려가 있다. 최대 기후등숙량은 원주에서 가장 많이 줄어든 반면, 태백 등 고랭지에서는 등숙 온도 상승으로 높아졌다. 춘천, 철원, 강릉에서의 최근 11년간(1999~2009) 등숙 온도는 대체로 $22^{\circ}C$ 이상이었다. 향후 기후 전망에 의하면 출수기는 빨라지고 등숙 온도는 올라갈 수 있으므로, 중생종이나 중만생종을 재배하거나, 이앙 시기의 조절이나 직파 재배와 같은 재배 관리를 달리하여 출수기를 늦추면 쌀 수량과 품질의 저하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등숙 기간의 기온 상승과 일조량 감소, 강수량 증가 등의 변화된 기상 여건에 잘 적응하는 품종을 육성하거나 선발하여 보급 재배함으로써 고품질 쌀의 안정 생산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rice plants in Gangwon province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climatic conditions during the recent 10 years (2000~2009) with those of normal (1971~2000) years, and by evaluating the rice plant responses. The daily mean air temperature increased by $0.5^{\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강원 지역에서의 최근 10년간(2000~2009)의 기상환경을 평년(1971~2000)과 비교하여 벼 재배의 기상환경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고품질 쌀의 안정 생산을 위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평년에 비해 기온이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i, M. H., and J. I. Yun, 2009: On recent variations in solar radiation and daily maximum temperature in summer.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4), 185-1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ung, U., K. S. Cho, and B. W. Lee, 2006: Evaluation of site-specific potential for rice production in Korea under the changing climat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4), 229-2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ock, G. H., and S. Yoshida, 1972: Accumulation of $^{14}C-labelled$ carbohydrate before flowering and the subsequent redistribution and respiration in the rice plant. Proceeding of Crop Science Society of Japan 41, 226-234. 

  4. Guh, J. O., D. J. Lee, and S. M. Huh, 2003: Quality and Taste of Ri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76pp. (in Korean) 

  5. Hayashi, Y., 2000: Climatic variability and its impacts on paddy rice production in Japan and Korea. Gloabal agro-Environemnt Research Team, NIAST, MAFF, Japan, 54pp. 

  6. Hayashi, Y., H. Toritani, S. Goto, H. Kano, Y. S. Jung. S. Hwang, and H. Kim, 1999: Projection of paddy rice production in the extent of Japan and Korea under possible fluctuation in climate. Journal of Agricultural Meteorology 55(2), 117-125. 

  7. Heu, M. H., C. Y. Lee, Z. R. Choe, and S. I. Kim, 1969: Variablity of protein content in rice grown at several different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7(1), 79-84. 

  8. Kim, C. K., W. S. Hahn, and B. W. Lee, 2002: Boundary line analysis of rice yield response to meteorological condition for yield prediction. II. Verification of yield prediction mode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4(3), 164-1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C. S., J. S. Lee, J. Y. Ko, E. S. Yun, U. S. Yeo, J. H. Lee, D. Y. Kwak, M. S. Shin, and B. W. Lee, 2007: Evaluation of optimum rice heading period under recent climatic change in Yeongnam a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9(1), 17-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won, W. T., 2003: Outlook on climate change.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Conference, 139-158. (in Korean) 

  11. Lee, S. Y., S. S. Kim, J. S. Choi, Y. K. Choi, K. Y. Lee, M. S. Lim, and T. Murakami, 1988: Influence of cultural methods and climatic condition on rice yield in the southern plain and alpine area. Research Report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ice) 30(2), 25-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Park, H. K., M. Xu, K. B. Lee, W. Y. Choi, M. G. Choi, S. S. Kim, and C. K. Kim, 2006: Comparison of rice growth under subtropical and temperate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2), 45-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Park, T. S., 2008: Selection of the Premium Quality Cultivars for Different Agricultural Regions and Finding Major Factors Associated with Eating Quality of Ri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53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RDA, 2004: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Rice and Quality Contro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83pp. (in Korean) 

  15. Son, Y., H. W. Lee, S. Y. Kim, D. Y. Hwang, S. T. Park, and S. J. Yang, 2002: Relationship of climatic factors to rice yield in different area.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esearch report 162-1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Tsuboy, S., 1977: Handbook of Agroclimate. Yanghyendang Press Inc., Japan, 854pp. 

  17. Ying, J., S. Peng, Q. He, H. Yang, C. Yang, R. M. Visperas, and K.G. Cassman, 1998: Comparison of high-yield rice in tropical and subtropical environments: I. Determinants of grain and dry matter yields. Field Crops Research 5(1), 71-84. 

  18. Yun, J. I., 1990: Analysis of the climatic impact on Korean rice production under the carbon dioxide scenario. Korean Journal of Meteorology 26(4): 263-2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Yun, S. H., J. N. Im, J. T. Lee, K. M. Shim, and K. H. Hwang, 2001: Climate change and coping with vulner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4), 220-2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Yun, S. H., and J. T. Lee, 2001: Climate change impacts on optimum ripening periods of rice plant and its countermeasure in rice cultiva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1), 55-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