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얀센 키네틱스를 기반으로 한 보행 로봇 개발
Development of a Legged Walking Robot Based on Jansen Kinetics 원문보기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20 no.4, 2010년, pp.509 - 515  

김선욱 (경남대학교대학원 첨단공학과) ,  김연균 (경남대학교대학원 첨단공학과) ,  정하민 (경남대학교대학원 첨단공학과) ,  이세한 (경남대학교 기계자동화공학부) ,  황승국 (경남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김동헌 (경남대학교 전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산과 경남의 경우 해안가뿐 만 아니라 습지 지역과 지역을 통과하는 낙동강의 넓은 남해안 벨트 등 다양한 형태의 환경으로 둘러싸여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부정형 지역에서 활동할 수 있는 로봇의 이동 플랫폼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지형에 바퀴가 달린 감시로봇을 사용한다면 모래나 습지표면에 바퀴가 빠져 움직일 수 없다. 또한, 관절 로봇은 속도가 느리고 몸체가 움직일 때마다 기울어져 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래 위, 습지에서 효과적으로 보행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한 생물체 로봇에 카메라, 적외선 센서 등을 장착하고, 이 센서들을 이용하여 소프트 컴퓨팅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위 환경에 반응하도록 한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외부와 통신하며 외부의 명령에 순응하는 행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습지, 모래, 물 위에서 가장 적합하게 작동할 수 있는 생물체를 로봇으로 구현하고, 게 로봇에 부착된 카메라 정보를 통해 필요부분을 감시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전송된 화면을 보고 사용자가 로봇을 제어 할 수 있는 지능형 로봇을 제작하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the mechanism that can walk efficiently in wet land or sand area is proposed. A vision camera is attached to the mechanism, which makes a kind of biologically inspired robot for coast guard. This visionary information enables the biologically inspired robot to react in peripheral en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인 관절 로봇은 속도가 느리고몸체가 움직일 때마다 기울어져 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연구를 통해 테오얀센[8] 기반의 게 모양 형태의 생물체 로봇을 제작하였다. 습지와 해안가 모래위에서 게 로봇에 부착된 카메라 정보를 통해 필요부분을 감시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전송된 화면을 보고 사용자가 로봇을 필요한 위치로옮기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 이러한 몸체가 자신의 몸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모래, 갯벌 환경에 몸체가 빠지지 않으려면 테오얀센 기반의 구조 형체가 가장 이상적이다. 따라서, 1차 연구 목적은 위와 같은 모든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몸체 구동부를 만드는 것이다. 2차 연구 목적은 장착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파악하고 센서 정보의 융합을 통하여 적합한 행동을 선택하고 이를 실제행동으로 옮기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테오얀센 기구를 해안가 모래, 습지 등의 지면환경에 이동 가능하도록 움직이는 동체로 수정하여 몸체 구동부로 이용하려고 한다. 기존의 테오얀센 기구는 조명, 광원효과를 외부에 주어서 디자인 예술에서 소개된 적이 있다.
  • 모터 구동으로 몸체를 이동시키며, 모터의 동작과 각종 센서의 반응을 마이컴으로 제어하여 실제 생물체 행동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주어진 해안가모래, 갯벌의 지면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생물체 로봇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외부와 통신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직접내릴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 본 연구는 해안가모래, 갯벌의 지면에서 보행하는 생물체형태를 모방하기 위하여, 게 걸음과 유사한 움직임을 갖는몸체 구동부를 설계하였다. 모터 구동으로 몸체를 이동시키며, 모터의 동작과 각종 센서의 반응을 마이컴으로 제어하여 실제 생물체 행동을 구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해안가 모래, 갯벌의 지면에서 보행하는게(Crab)의 이동형태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서 지능로봇의이동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기존에 게걸음을 모방한 로봇의경우 보행에 사용된 관절은 4∼6개 정도로 일반적인 로봇매니퓰레이터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각 관절을 제어하는데많은 부담이 되었다.
  • 즉, 로봇 연구자들이 생물학의 원리와 지식을 연구하면 더 진보한 로봇을 창조할 수있다는 것이다. 실제 동물의 모습 혹은 행동 특성을 도구로로봇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설계에 이용하는 것이 생물학과 로봇의 관계에 대한 공통성과 양쪽의 학문 발전에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 그 해답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체 로봇의 내부 구성은? 생물체 로봇의 내부는 중앙처리부, 필요한 정보를 계측하기 위한 센서부,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통신부, 전원공급기로 구성되어있다. 생물체 로봇은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해서초음파 센서를 사용하였으며, 초음파 센서는 장애물 회피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자율적으로 장애물을 회피하게 된다.
넷북은 무엇인가? 원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는 기기로는 블루투스모듈이 내장 되있는소형 노트북의 하나인 넷 북(Netbook)을 사용하고 있다. 넷북은 간단한 인터넷 사용이 주목적으로 채팅과 문서 작업및 E-mail을 보내기 위한 소형 노트북이다. 넷 북 이외에일반 노트북 혹은 Windows 기반의 스마트폰인 삼성 옴니아 시리즈의 휴대폰으로도 제어가 가능하다.
새로운 해안 감시용 보행 로봇을 위한 연구 목적은? 이러한 몸체가 자신의 몸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모래, 갯벌 환경에 몸체가 빠지지 않으려면 테오얀센 기반의 구조 형체가 가장 이상적이다. 따라서, 1차 연구 목적은 위와 같은 모든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몸체 구동부를 만드는 것이다. 2차 연구 목적은 장착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파악하고 센서 정보의 융합을 통하여 적합한 행동을 선택하고 이를 실제행동으로 옮기는 것이다. 또한 대상 로봇을 근거리 혹은 원거리에서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로 외부 환경을 보면서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제어 형태의 비자율(Non-autonomous)형 로봇을구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J. Ayers & J. Witting, Biomimetic approaches to the control of underwater walking machine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A-Mathematical Physical and Engineering Sciences 365, pp. 273-295, 2007. 

  2. M. A. Raibert, Special Issue on Legged Locomotion - Foreword. International Journal of Robotics Research 9, pp. 2-3, 1990. 

  3. R. D. Beer, R.D. Quinn, H.J. Chiel & R. Ritzmann, Biologically inspired approaches to robotics. Communications of the ACM 40, pp. 31-38, 1997. 

  4. R. E. Ritzmann, R. D. Quinn, J. T. Watson, & S. N. Zill, Insect walking and biorobotics: a relationship with mutual benefits. Bioscience 50, pp. 23-33, 2000. 

  5. J. G. Cham, J. K. Karpick & M. R. Cutkosky, Stride period adaptation of a biomimetic running hexapod. International Journal of Robotics Research 23, pp. 141-153, 2004. 

  6. R. Dillmann, J. Albiez, B. Gassmann, T. Kerscher & M. Zoellner, Biologically inspired walking machines: design, control and perception.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A-Mathematical Physical and Engineering Sciences 365, pp. 133-151, 2007. 

  7. J. Ayers & J. Witting, Biomimetic approaches to the control of underwater walking machine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A-Mathematical Physical and Engineering Sciences 365, pp. 273-295, 2007. 

  8. http://www.strandbeest.com/film.html 

  9. A. J. Ingram, A new type of mechanical walking machine,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faculty of engineering in University of Johannesburg,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