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절 링크 이론과 얀센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한 보행 로봇의 운동학 해석
Kinematic Analysis of a Legged Walking Robot Based on Four-bar Linkage and Jansen Mechanism 원문보기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21 no.2, 2011년, pp.159 - 164  

김선욱 (경남대학교대학원 첨단공학과) ,  김동헌 (경남대학교 전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4절 링크 이론(four-bar linkage mechanism)얀센 메커니즘(Jansen mechanism)을 기반으로 다관절 보행 로봇(multi-legged walking robot)인 게(crab) 로봇을 제작하고, 게 로봇의 움직임에 대하여 기구학적인 해석을 제시한다. 제작된 게 로봇은 영상 획득을 위하여 카메라를 장착하였고, 장애물 회피를 위하여 3조의 초음파 센서를 가지고 있다. 또한 RF통신으로 외부에 영상 정보를 전달하며, Blue-tooth 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외부로부터 부여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게 로봇의 설계와 제작을 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로봇 다리의 움직임을 알기 위해서는 관절 변수와 다리 끝단의 위치 및 자세와의 관계를 얻어야 한다. 따라서, 제안된 기구학적 해석은 로봇의 설계와 제작에 있어서 많은 도움을 주며 중요한 과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crab robot is implemented in H/W based on four-bar linkage mechanism and Jansen mechanism, and its kinematics is analysed. A vision camera is attached to the mechanism, which makes the proposed robot a kind of biologically inspired robot for image acquisition. Three ultrasonic sen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4절 링크 이론과 얀센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게 로봇 다리의 구조와 움직임에 대하여 기구학적인 분석을 하였다. 실제 보행 로봇의 다리 길이에 대한 운동학적인 분석으로 모터가 회전 할 때 회전각만큼의 다리 위치와 로봇이 움직였을 때 행동할 수 있는 반경이 되는 절점들의 관절각을 알 수 있었다.
  • 센서와 카메라 등을 탑재하여 오랜 시간 동안 잘 걸을 수 있는 보행 로봇 형태의 설계와 디자인은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테오 얀센 기반의 보행 로봇을 만들기 위해서 기본 배경이 되는 게(crab) 로봇의 다리 길이와 구조, 그리고 움직임에 대한 설명, 마지막으로는 보행 메커니즘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게 로봇은 어떤 모터를 사용하는가? 게(crab) 로봇의 다리 움직임은 다음과 같다. 게 로봇은 베벨기어(bevel gear)가 달린 양축DC모터(dual-axis DC motor)를 사용한다. 양쪽 다리는 하나의 모터로 회전한다.
게 로봇의 다리는 어떤 구조를 모방했는가? 일반적인 2족 로봇(biped-robot) 보행의 경우 좌․우로 흔들린 부자연스러운 몸체의 움직임을 보여 준다. 이와 다르게, 게 로봇의 다리는 테오 얀센 메커니즘(Theo Jansen mechanism)의 다리 구조를 모방 하였고, 자연스러운 보행으로 몸체의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13]. 따라서, 바퀴형 이동로봇처럼 좌우 불균형 없이 자연스럽게 이동 할 수 있다.
게 로봇은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는가? 게 로봇은 베벨기어(bevel gear)가 달린 양축DC모터(dual-axis DC motor)를 사용한다. 양쪽 다리는 하나의 모터로 회전한다. 하나의 양축 DC모터 구조는 좌·우 회전축 위상이 180° 차이가 있는 다리들의 결합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양축 DC 모터 두 개를 사용하면 4조(set)로 이루어진 다리를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구조적으로는 모터의 양축 중에 한 축의 다리 끝단(foot-point)이 지면에 닿아 있고, 또 다른 한 축의 다리는 지면에서 떠 있다. 이러한 형태의 기본적인 다리 구조로 모터에 각 다리가 연결되어 4조를 갖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박성호, 보행 로봇 공학의 이해, 평민사, 2008. 

  2. C.C Brown, J.P. Huisson, “Design and Simulation of a Legged Robot for Operation on Vertical Surfaces,”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tomation, Robotics and Computer Vision, pp.1466-1470, 1996. 

  3. S. Hirose, K. Yoneda, and H. Tsukagoshi, “TITAN VII: Quadruped Walking and Manipulating Robot on a Steep Slope,”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vol. 1, pp. 494-500, 1997. 

  4. J. Zhang, J.Wang, “Gait Planning and Control of a Legged Robot for Trussed Wall-Climbing,”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tomation, Robotics and Computer Vision, pp. 1490-1494, 1996. 

  5. M. G. Bkeer, Introduction to Terrain Vehicle System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69. 

  6. U. Saranli, M. Buehler, and D.E. Koditschek, “RHex: A Simple and Highly Mobile Hexapod Robot,” International Journal of Robotics Research, vol. 20, no. 7, pp. 616-631, 2001. 

  7. J.E. Clark, and M. R. Cutkosky, “The Effect of Leg Specialization in a Biomimetic Hexapedal Running Robot,” ASME Journal of Dynamic Systems, Measurement, and Control, vol 128, pp. 26-35, 2006. 

  8. F. Delcomyn, and M. E. Nelson, “Architectures for a biomimetic hexapod robot,”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vol. 30, no. 1, pp. 5-15, 2000. 

  9. M. Tarokh, and M. Lee, “Kinematics Modeling of Multi-legged Robots walking on Rough Terrain,” Future Generation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Symposia, vol. 4, pp. 12-16, 2008. 

  10. Y. Go, Yin Xiaolei, and A. Bowling, “Navigability of multi-legged robots,” IEEE/ASME Transactions on Mechatronics, vol. 11, no. 1, pp. 1-8, 2006. 

  11. 김선욱, 김연균, 정하민, 이세한, 황승국, 김동헌, “얀센키네틱스를 기반으로 한 보행 로봇 개발,”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제20권, 4호, pp. 509-515, 2010. 

  12. T. Cristina, O. Erika, C. Marco, and D. R. Alessandro, “Analysis and Design of a 1-DOF Leg for Walking Machines,” Robotics in Alpe-Adria-Danube Region, pp. 183-188, 2006. 

  13. http://www.strandbeest.com/ 

  14. S. Molian, Mechanism Design: An Introductory Text, Cambridge University Prss, 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