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시기별 접근성 변화 분석
Chronological Analysis of the Accessibility Change of Outdoor Space in Apartment Complexes Using Space Analysis Method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1 no.4, 2010년, pp.1 - 9  

최재필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변나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  김민석 (서울대학교 건설환경종합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active enhancement of large-scale apartment development in 1970, apartment complexes in Korea have shown considerable changes throughout, with respect to its planning and design. Depending on the government legislations, and economical and social issues of its time, apartments have been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아파트단지 개발과 관련하여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사회적 배경 및 특징과 주택관련 정책·제도를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1970년 이후 각 시기별 국내 아파트단지 개발과 관련한 사회적 배경을 살펴보도록 하자. 1970년대에는 정부주도의 주택·도시개발 촉진 정책이 연속적으로 발표되면서 민간 건설업체들에 의한 주택건설이 급증하는 이른바 아파트건설 붐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의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국내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특성과 그 시기별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을 분석함에 있어서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구성요소 간 관계성을 기반으로 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배치 속성을 단지전체 차원, 더 나아가 근린의 도시적 맥락에서 분석·해석하는 것이다.
  • 이 이외에 공영/민간과 같은 사업유형이나 분양/임대와 같은 입주유형 등의 범위는 따로 제한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대상 범위에 해당하는 모든 아파트 단지에 대하여 전수조사를 목표로 한다. 위와 같은 연구 범위 하에서, 이 논문은 본 연구의 예비 연구 차원에서 특히 각 시기의 사회적 배경과 이슈, 아파트 건설과 관련된 정부의 정책을 바탕으로 21개 단지를 추출하여 분석 대상 세부 범위로 한정하였다.
  • 볼록공간도는 주로 건축내부공간에 활용되고 축선도는 주로 가로공간과 같은 외부공간에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축선도 방식으로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항목별 통합도 평균 및 단지내 분석항목 간 순위자료를 정리한 것이 이다.
  • 이 연구는 수도권지역의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을 분석함에 있어서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구성요소 간 관계성을 기반으로 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배치 속성을 단지전체 차원, 더 나아가 근린의 도시적 맥락에서 분석·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에 대한 예비 연구적 성격으로 진행하였다.
  •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그 의미를 해석하여 각 시기 사회·경제적 배경 아래 실시된 아파트 건설 관련정책과 분석대상 단지에서 시도된 단지계획개념및 외부공간 접근성 변화를 비교하고자 한다.
  • 축선도 작성의 범위로는 아파트단지를 둘러싼 주변도로를 기준으로 400 m만큼 확장시킨 영역으로 한다. 축선도 작성 시 경계효과 (edge effect)에 의한 분석결과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분석대상범위 주변으로 일정범위만큼 확장하여 버퍼존(buffer zone)으로 삼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버퍼존 영역의 범위로서 본 연구에서는 버스정류장의 일반적 간격인 400m 가 아파트단지 경계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계효과를 줄여주는 데 충분할 것으로 판단하여 이와 같이 설정하였다.
  • 각 축선별 도출된 수치 중, 앞서 분류한 단지 외부공간 각 구성요소로의 출입로에 해당되는 축선의 통합도 평균 수치만을 추출한다. 한 단지 내에서 구성요소 간 순위를 매겨 단지 내에서의 비교 및 단지 간 분석항목을 상대적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순위를 파악하는 방식은 분석결과의해석 상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으나 단지 예비연구 시 명료하고 빠르게 접근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가설 설정

  • 단지 외부공간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민공동공간은 근린생활공간과 함께 그 중요성이 높아졌을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그러나 근린생활공간의 접근성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반면, 놀이터, 운동시설 등을 포함하는 주민공동공간의 경우 분석 전 예측과는 다르게 다른 분석항목과 비교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주동출입공간과 유사한 정도의 낮은 순위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접근성이 높지 않음을 의미한다.
  • 셋째,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의 지속적인 증가로 단지 내 근린생활공간·주민공동공간이 다른 공간보다 점차 중요시되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강범준 (2003). 아파트 평면 구성의 경제적 논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28. 

  2. 공동주택연구회 (1994). 공동주택계획의 역사. 서울: 세진사. 41, 62, 204. 

  3. 김소영 (2007). 단지 유형별 가로 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대한주택공사 아파트건설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 

  4. 민형기 (2008). 공동주택단지 부대.복리시설 공급특성 변화 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5. 박태동 (2006).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외부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산업대학교 주택대학원, 서울. 

  6. 변나향 (2007).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시기별 공간구조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7. 손세관.강경호 (2001). 우리나라 공영 아파트단지의 외부공간 특성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2(4), 1-8. 

  8. 오경석 (2001). 서울도심아파트 단지 외부공간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9. 이현주 (1995). 공동주택단지내 주동배치에 따른 외부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10. 전남일.손세관.양세화.홍형옥 (2008). 한국 주거의 사회사. 파주: 돌베개. 393. 

  11. 최재필 (1998). 공간구문론을 사용한 국내 아파트 단위주호 평면의 시계열적 분석: 수도권 4LDK 아파트 단위주호 평면계획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12(7),15-28. 

  12. Hillier, B., & Hanson, J. (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0. 

  13. Hillier, B. (1996). Space is the machine: A Configurational Theory of Architec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