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근린공원 시각적 접근기회 분석- 청주시를 중심으로 -
Visual Access Opportunity Analysis of Neighborhood Park Users using Space Syntax Theory - Focused on Cheongju Cit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9 no.4, 2011년, pp.28 - 38  

이태호 (충북대학교 환경도시공학과) ,  반영운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유남훈 (충북대학교 환경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주변 공간의 가로망 형태에 따른 공원의 시각적 접근기회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도보로 이용이 가능한 도보권 및 근린 생활권 공원 27곳을 최종 선정하였다. 공원을 중심으로 각 유치거리에 따라 GIS를 이용하여 영향권을 설정(buffering)하였으며, 설정된 구역에서의 공간배열 특성을 가로망 중심으로 파악하고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수행을 위해 Arcview 기반의 Axwoman Ver3.0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공간구문론에서 제시하는 연결도, 통합도 등의 지수를 통해 공원의 접근기회를 파악하였으며, 정량적 수치들이 가지는 의미는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공원 유치거리에 따른 공간의 전체적인 배열 특성에 대해서는 통합도, 명료도 값을 활용하였으며, 각 공원의 주출입구 공간은 연결도, 통합도 값을 이용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전체공간에서는 대부분의 통합도 값이 2보다 낮았으나, 명료도의 경우 0.7이상의 값을 가진 공원이 10곳으로 나타났다. 공원의 주출입구 공간에 대한 접근기회는 주출입구 공간의 통합도를 중심으로 살펴봤으며, 도보권 공원에서는 사직 2공원이, 생활권 근린공원에서는 중앙공원과 발산공원 등이 상대적으로 접근기회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공원 접근성에 관한 연구가 시점과 종점간의 물리적 거리 및 환경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반해, 공원을 둘러싼 공간 배열 특성을 고려한 접근성 분석이 이루어졌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공원의 입지계획에 있어 합리적 근거를 부분적으로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visual access opportunities of neighborhood park users using the Space Syntax theor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27 neighborhood parks were selected and 27 axial maps drawn according to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sites. Based on the axial map data, this study has 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분석하였다. 그리고 접근성이 높게 나타난 공원들의 특성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차후 공원의 시각적 접근기회를 높일 수 있는정책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가로 공간을 공원이용이 가능한 잠재수요자의 단위 집합으로 보고 공원을 둘러싼 가로 공간의 관계적 특성을 공간구문론을 통해 정량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청주시 근린생활권 근린공원과 도보권 근린공원의 시각적 접근 기회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의의는 기존 공원에 대한 접근성 논의를 거리적측면이나 물리적 환경 및 제약요인에 대한 논의에서 벗어나, 공간의 배열, 즉 가로 공간의 오픈스페이스 연결성에 따른 접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도시 계획적 측면에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공원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원배치 및 가로망 구성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실제 택지개발지구에서의 공원 배치에 공간 구문론을 활용함으로써 공원의 접근기회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청주시 근린공원의 유치권 내에서의 공간형태에 따른 시각적 접근 기회를 분석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서 도보로 접근이 가능한 도보권 및 근린 생활권 근린공원 27곳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 있다. 특히 건물의 주출입 공간을 연결해 주는 오픈스페이스를 인식단위의 기준으로 분절하고, 나눠진 공간들의 관계를 정략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공간구문론의 각 지수들은 접근성, 통행밀도, 토지이용과 같은 사회적 현상들과 매우높은 상관성이 보여주고 있으며, 그 가운데 통합도(Integration) 와 연결도(Connectivity)는 도시, 건축 및 보행공간에 대한 공간의 연결 특성을 정량적이고 시각적으로 나타 내어 준다(Bafna, 2003: Bill Hillier, 1996; Pen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민규, 임경화, 김영욱, 박영기(2001) 상암 지구의 도로 이용성과 지구 활용성 분석에 대한 연구: 공간 구문(Space Syntax)방법론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17(9): 227-234. 

  2. 박종민, 김민주, 장태현(2008) 산간마을의 접근성 변화에 의한 공간구문론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99-105. 

  3. 성현찬, 민수현(2003) 도시녹지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도시 가로수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1(2): 48-57. 

  4. 이규인(1995) 공간구문모델에 의한 단지계획 대안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9(9): 81-90. 

  5. 이승환(2008)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공공시설의 복합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6. 이춘희, 이주형(2006) 도시접근성 분석에 의한 공공시설입지정책의 시사점. 국제지역연구 22(1): 113-133. 

  7. 임승빈, 허윤정(1995) 도시녹지의 시각적 접근성 측정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3(3): 1-14. 

  8. 최윤경, 민병호(1998) 공간구조와 학습이 길찾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4(7): 53-60. 

  9. 허미선, 진양교(1996) GIS를 활용한 서울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 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30): 42-56. 

  10. Bafna, S.,(2003) Space syntax: a brief introduction to its logic analytical techniques. Environment and Behavior 1: 17-29. 

  11. Beach, L.,(1981) The problem of aggregation and distance for analyses of accessibility and access opportunity in location-allocation models. Environment and Planning A. 13. 955-978. 

  12. Chiesura. A.(2004) The role of urban parks for the sustainable c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8: 129-138. 

  13. Conway, D. J.(1987) Human Response to Tal Buildings. Dowden, Hutchinson and Ross: 112-130. 

  14. Franics, M.(1989) Control as a dimension of public-space quality: Public place and space. 

  15. Hansen, W. G.(1959) How accessibility shapes land use. J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25: 73-76. 

  16. Hillier, Bill(1996)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Hillier, Bill and Julienne Hanson(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Bartlett School of Architecture and Planning University College London. 

  18. Penn. A., Hillier, B. Banister, and D. Xu, J.(1998) Configurational modeling of urban movement networks,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5: 59-84. 

  19. Reilly, W. J.(1929) Methods for the Study of Retail Relationships. University of Texes Bulletin. Ausin. TX: University of Texas. 

  20. White, A. W.(1979) Accessibility and public facility location economic geography. Traffic Quarterly 27(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